[일요시사 정치팀] 박형준 기자 = 더불어민주당은 무소속 김상욱 의원 영입에 적극적이었다. 민주당이 김 의원을 영입하면 다목적 카드로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른 경우의 수도 많다. 하지만 김 의원 특유의 이미지 구축 방법을 이해하지 못하면, 민주당도 국민의힘처럼 애를 먹을 수 있다.

무소속 김상욱 의원은 지난 8일, 국민의힘을 탈당했다. 김 의원은 이날 국립현충원을 참배한 후 기자회견을 열어 탈당 사실을 밝혔다. 이어 “기회가 된다면,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개혁신당 이준석 대선후보와 만나 현안 해결과 나라를 위한 방향에 대한 고민을 함께 나누고 싶다”고 말했다.
끝내 탈당
김 의원은 지난해 12월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선포한 비상계엄 해제에 참여했다. 이후엔 수시로 당론과 다른 의견을 밝혀 국민의힘서 크고 작은 마찰을 빚어왔다. 지난 1일엔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국민의힘을 비판하면서 “2025년 보수 가치에 충실한 당은 민주당”이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의 이날 발언 이전에도 “민주당이 김 의원을 영입하려고 한다”는 소문은 정가에 파다했다. 민주당에선 김 의원의 탈당 이후 곧바로 김 의원에 대한 호의적인 발언들을 이어갔다. 이 후보도 “김 의원처럼 원칙을 지키고 국민의 입장서 판단·행동하는 정치인들은 흔하지 않은 귀한 존재”라며 “김 의원을 조만간 만나면 좋을 것 같다”고 화답했다.
김 의원이 탈당하기까지 의원실 내부서도 적잖은 혼란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의 지역구 울산 남구갑은 국민의힘의 대표적인 지역 기반이다. 따라서 김 의원의 보좌진 중 지역구에 기반을 둔 사람들은 이미 의원실을 떠났다. 남은 보좌진도 고민을 거듭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상황도 김 의원의 탈당 결심까지 장고를 이었던 이유 중 하나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김 의원은 거취와 관련해 특이한 일정표를 제시했다. 지난 15일엔 민주당 이 후보 지지를 선언했고, 지난 18일엔 광주 5·18 민주묘지서 민주당 입당을 발표했다. 그 이전까진 특정 정당 입당 시점으로는 오는 23일을 제시했다.
지지 후보 표명과 입당은 함께 움직이는 것이 상식이다. 따라서 8일의 시차를 둔 채 별개로 진행하는 것을 두고, 일각에선 “스스로 과대 포장하는 것 아니냐. 왜 이렇게 뜸을 들이느냐”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지난 14일 채널A 라디오 <정치시그널>서 “정치인이 대가를 바라고 정당에 가입하는 것은 비겁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지지 후보 표명은 정당 가입과 무관한 별개의 문제”라며 “국가의 이익과 과제 해결을 기준으로 고민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8일 시차 둔 후보 지지·입당
일각선 “과대 포장” 비판도
김 의원의 주장대로라면, 김 의원이 민주당 이 후보를 지지하면서 개혁신당에 입당할 수도 있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이 사안은 따로 결정하기 어렵다. 상황에 따라, 김 의원이 지난해 12월 이후 구축했던 이미지가 완전히 무너질 수도 있었다.
김 의원은 개혁신당 이 후보와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 후보도 지난 8일 <매경AX>와의 인터뷰서 “김 의원에게 다선 의원을 하고 싶으면 민주당으로 가고, 빡센 개혁을 하고 싶으면 개혁신당으로 오라고 권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개혁신당은 이 후보의 1인 정당 이미지가 강하고, 신생 제3지대 정당 특성상 지역 기반이 취약하다. 김 의원의 구체적인 역할이 모호해질 수도 있다. 개혁신당도 구체적인 영입 시도 움직임은 보이지 않았다. 아울러 김 의원이 지난 4월 기자회견서 민주당과 이 후보의 기본소득제를 호평한 이후 이 후보의 일부 지지자는 김 의원을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기본소득제는 이 후보 지지자들이 비토하는 민주당 이 후보와 기본소득당 용혜인 대표의 대표적인 정책이다.
반대로 민주당은 조직적으로 김 의원 영입을 시도했다.

민주당 김민석 수석 최고위원은 김 의원에게 “합리적 보수가 관심 있게 지켜볼 선택지 중 하나가 민주당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에 몸담았던 민주당 이언주 의원도 “김 의원의 탈당은 정해진 순서였다”며 “이 후보를 비롯한 민주당은 김 의원을 크게 환영한다”고 말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지난 18일 진행된 5·18 민주화운동 제45주년 기념행사에 김 의원을 초대했다. 김 의원은 지난 행사에 참석해 민주당 입당을 선언했다.
김 의원은 지난해 12월 이후 윤 전 대통령과 국민의힘 지도부를 강하게 비판했다. 따라서 민주당으로선 김 의원이 합류하면, 국민의힘 시절 소신 행보를 매개로 김 의원을 오는 2028년 총선서 상징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일각에선 김 의원이 민주당에 “서울 용산·서초서 활동하고 싶다”는 제안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 용산은 윤 전 대통령의 대통령 관저가 있던 곳이고, 국민의힘 권영세 전 비대위원장의 지역구다. 서울 서초엔 윤 전 대통령의 사저가 있다. 이 중 서울 용산은 권 전 비대위원장과 김 의원의 대결이 성사되면, 윤 전 대통령을 둘러싼 치열한 격전지가 될 가능성이 있다.
권 전 비대위원장은 지난 2020년 총선과 지난해 총선서 민주당 강태웅 후보를 상대로 연이어 이겼지만, 표 차이는 각각 890표와 6110표에 불과했다.
친윤 대항마 카드로
다양한 활용 가능?
김 의원이 현재 지역구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민주당 후보로 출마해도 상당한 주목을 받을 수 있다. 울산 남구갑은 지난 2000년 이후 국민의힘 출신 국회의원만 배출한 곳이다. 김 의원도 지난 2월 <일요시사>와의 인터뷰서 “그냥 가만히 있으면 최소 3선은 하는 곳”이라며 “동료 의원들도 ‘안정적으로 3선 하고, 울산시장 하면 되는 소황제·황태자 아니냐’면서 저를 부러워했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울산 남구갑에 전은수 전 최고위원을 배치했고, 전 전 최고위원은 김 의원의 지난 총선 맞상대였다. 친문(친 문재인) 성향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전 전 최고위원의 지역구를 그대로 유지할지는 장담하기 어렵다. 하지만 전 전 최고위원을 그대로 출마시키고, 김 의원을 울산 남구을로 옮겨 국민의힘 5선 김기현 의원과 맞대결시킬 수도 있다.

서울 용산과 마찬가지로 울산 남구갑도 이 대결 구도가 성립되면, 윤 전 대통령을 둘러싼 치열한 격전지가 될 수도 있다. 김 의원은 윤 전 대통령에 의해 국민의힘 대표직서 쫓겨난 적이 있다. 하지만 친윤(친 윤석열) 성향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고,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지난 1월 윤 전 대통령 체포 시도 저지에도 참여했다.
김 의원을 보다 서둘러 선거에 투입하고자 한다면, 내년 지방선거에 출마시키는 방법도 있다. 민주당은 지난 2018년부터 울산시장 선거에 송철호 전 울산시장을 연이어 공천했다. 송 전 시장은 그 이전에도 무소속·민주노동당 후보로서 2회 출마하는 등 총 4회에 걸쳐 울산시장으로 출마했다.
하지만 그는 만 75세의 고령이기 때문에 내년 지방선거에 출마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크다. 민주당이 김 의원을 울산시장 후보로 출마시킬 가능성도 있다.
지역구는?
민주당서 이 후보가 직접 나서면서까지 김 의원 영입에 관심을 보인 이유를 확인하려면, 김 의원의 높은 활용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다만 김 의원은 지난해 12월 이후 홀로 당내 압박을 견뎠다. 아울러 시각에 따라선 얄미워 보일 정도로 원칙론을 언급하면서 천천히 이미지를 구축했다. 이를 비난하는 안티가 생겼을 정도였다.
이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민주당도 국민의힘처럼 김 의원에게 애를 먹을 수도 있다. 우리는 무소속 초선 의원 1명이 가장 유력한 대선후보의 입까지 움직이는 특이한 상황을 보고 있다.
<ctzxp@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