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4.18 17:15
[일요시사 취재1팀] 김태일 기자 = 영등포는 타 지역 사람들이 약속을 정하는 만남의 장소로 유명하다. 다양한 지역의 사람들이 모여드는 건 당연한 일. 또한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역세권으로 유동인구가 많은 대표적 대형 상권 중 하나. 지금은 빛을 많이 잃었지만, 집창촌은 아직 건재하다. 요즘 영등포의 상황은 어떤지 <일요시사>가 직접 찾아가 봤다. 영등포역 인근에는 롯데백화점, 신세계백화점, 타임스퀘어 등 대형 쇼핑센터들이 밀집돼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맞은편 영등포역 메인 상권인 먹자골목은 시설과 환경 등이 낙후된 데다 홍대·강남·명동 등에 대형 상권이 발달하면서 상권이 축소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양한 지하철노선 개통과 함께 각 지역의 테마거리 및 먹자골목이 발달하면서 고객층이 분산되기 시작했다. 카바레, 콜라텍 여전히 성업중 상권 전문가와 상인들은 과거보다 상권이 상대적으로 약해졌다고 입을 모은다. 과거 전성기때만큼은 아니지만, 이곳 상권은 대형 쇼핑센터 이용객 흡수 요인과 인근 직장인 고객 유입 등으로 외식·유흥업을 중심으로 상권을 이어가고 있다. 유흥업소 및 음식점들이 밀집한 먹자골목을 찾았다. 영등포역 1번출구로
[일요시사 취재1팀] 김태일 기자 = 성매매특별법 시행으로 집창촌들은 거의 자취를 감췄다. 하지만 집창촌이 사라지고 남은 자리는 허술한 관리와 무관심으로 인해 방치돼있다. 노숙자들의 쉼터로 전락해버린 집창촌 거리. 기자가 직접 찾아가 봤다. 서울 영등포의 한 거리. 과거에 유해업소가 밀집해 있어 청소년 통행제한구역으로 지정됐다가 2014년 해제됐다. 하지만 사람들에게 집창촌 거리라는 인식이 강하게 박혀있어 현재는 이도 저도 아닌 꼴로 방치돼있다. 재개발 언제? 바쁘게 오가는 사람들과 차량들로 북적이는 도로를 등지고 철길 쪽을 향한 골목으로 들어가면 딴 세상이 펼쳐진다. 오후 2시를 넘긴 한낮이지만 술에 취한 채 길바닥에 쓰러져 쪽잠을 자는 사람들이 눈에 들어온다. 수염을 덥수룩하게 기르고, 언제 빨았는지도 모를 만큼 얼룩진 옷을 입고, 길바닥에 주저앉아 막걸리를 마시는 사람들, 반쯤 풀린 눈으로 지나가는 이들을 노려보는 사람들. 대부분 50·60대 남성들이지만 20·30대나 여성들도 눈에 띈다. 10년 넘게 이곳에서 노숙생활을 했다는 A씨(63)는 도로에 누운 채 기자를 쳐다본다. 수건, 숟가락, 속옷 등이 바닥을 어지럽히고 있다. 나이가 들고, 심장도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