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2팀] 김해웅 기자 = 전주서 신축 아파트 중심으로 국민평형(전용 84㎡) 6억원 시대가 들어갔다. 아파트 공급이 적었던 탓에 신축이 귀하다 보니 시세가 크게 오른 것으로 해석된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전주 효자동1가서 2022년 12월에 입주를 시작한 ‘힐스테이트어울림 효자’ 전용 84㎡ 실거래가는 지난해 8월, 6억2200만원을 기록했다. 효자동2가서 2020년 5월에 입주한 ‘전주효천대방노블랜드에코파크’ 전용 84㎡도 지난해 12월 6억4,000만원에 손바뀜이 일어났다.
분양‧입주권에도 프리미엄이 높게 형성되고 있다. 지난해 2월에 분양해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전주 ‘서신 더샵 비발디’ 전용 84㎡ 분양‧입주권은 최고 5억8,010만원(2024년 11월)에 거래되며 6억을 앞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5월에 분양한 에코시티더샵4차 전매제한이 풀리는 2025년 6월 이후 전용 84㎡ 아파트 분양권값이 6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에코시티서 사실상 마지막 분양 단지인 데다 브랜드 프리미엄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전주시가 중노송동 기자촌주택 구역을 재개발해 1월 분양하는 ‘더샵 라비온드’ 아파트 분양가를 3.3㎡당 1465만원으로 권고하면서 향후 시세 추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주시 권고가격은 서신 더샵 비발디 분양가보다 낮기 때문에 이를 적용할 경우 전용 84㎡ 분양가는 5억원 안팎으로 예상된다. 더샵 라비온드는 대규모 브랜드 아파트단지로 조성되는 점을 감안할 때 입주 후 가치상승이 예상된다는 게 주변 부동산 중개업소들의 전망이다.
단지는 지하 3층, 지상 최고 25층, 28개동으로 1단지 1138가구와 2단지 1088가구를 합친 총 2226가구로 조성된다. 이 가운데 전용 39~117㎡ 타입 1426가구를 일반분양한다.
분양 관계자는 “전주서 최근 4년간 분양된 아파트는 총 3617가구에 그칠 정도로 공급 가뭄 양상”이라며 “대규모 단지 분양도 거의 없어 전주 최대 단지인 더샵 라비온드에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다”고 말했다.
<haewoo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