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 김태일 기자 = 서울 이태원에서 수백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벌어졌다. 국내에서 엄청난 인명피해를 낸 사고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잊을만 하면 일어났던 참사에 국민들은 참담함을 금치 못했다. 수십년간 이어져온 참사의 역사. 국내에선 어떤 사고들이 있었을까.
국내 참사의 역사는 1995년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사고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지반 공사 중이던 대구백화점의 인부가 실수로 가스관을 파손시켰다. 문제는 이때 누출된 가스가 하수관을 통해 대구 지하철 1호선 상인역 공사장으로 유입됐다.
이전부터 쭉
가스는 한동안 괴어있다가 폭발을 일으켰다. 폭발 후 50m에 달하는 불기둥이 솟아오르고 400m에 달하는 건설 현장이 무너져 내렸다. 이 폭발 사고로 사망 101명, 부상 202명 등 총 300여명의 사상자를 냈으며 차량 150대 이상, 건물 80여채가 파손되는 등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다.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 사고 이후 2개월 만인 6월29일 서울의 삼풍백화점이 붕괴해 사상자 약 1500명이 발생했다. 원인이 부실공사로 밝혀지자 안전 불감증의 대표적 사례로 거론됐고 전국적인 건축물 안전실태 조사와 건축법의 강화 계기가 됐다.
당시 사회적으로 매우 큰 파장을 일으키며 많은 작품들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고객의 생명보다 자신의 회사에 대한 티끌만한 이익을 더 중시했던 삼풍그룹의 모습에 대국민 분노가 들끓었고 앞선 성수대교 사건과 더불어 문민정부에 사고 공화국이란 오명을 씌어버린 대표적인 사례로 남게 됐다.
2003년 2월18일 대구 지하철 1호선 중앙로역에서 대구 지하철 참사 사고가 발생했다. 대한민국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역대 최악의 지하철 사고로 손꼽히는 대형참사로, 전 세계 지하철 사고 사망자 수 2위를 기록한 철도 사고로 기록됐다. 대한민국의 철도 안전은 이 사건을 기점으로 크게 바뀌게 된다.
1990년대부터 꾸준히 발생
안전 불감증이 불러온 참사
방화범 김대한은 자신의 신변을 비관하다 극단적 선택을 하기 위해 지하철에 올라탔다. 그의 손에는 주유소에서 구입한 휘발유 2L가 들려있었다. 현재는 철도안전법 상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 물질을 열차에 소지하고 탑승하는 것이 제한돼있으나, 당시에는 그런 법이 없었기 때문에 김대한은 아무런 제지 없이 열차에 승차할 수 있었다.
열차가 중앙로역에 정차하는 순간, 김대한은 미리 들고 있던 석유 플라스틱 통에 불을 붙였다. 불이 삽시간에 전동차 의자와 바닥 천장에 옮겨붙어 결국 수 초만에 큰 불이 발생했다.
결국 사망 192명, 실종 6명, 부상 151명이라는 큰 피해를 남겼다.
2014년 4월16일 세월호가 침몰했다. 인천에서 제주로 오가는 청해진해운 소속 여객선 세월호가 전라남도 진도군 관매도 부근 해상(맹골수도)에서 침몰하면서 승객 304명이 사망, 실종된 국내 대형 참사였다.
특히 세월호에는 제주도로 수학여행을 가던 안산 단원고 학생 325명과 교사 14명이 탑승했으며 어린 학생들의 피해가 컸던 대형 참사로 기록됐다. 이 참사로 피해 학생이 집중된 경기도 안산시와 전라남도 진도군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됐으며 국민들의 사회적 충격이 매우 컸던 국가 대형 참사였다.
이 사고 이후 대한민국은 갈등과 분열 등 엄청난 후폭풍이 닥쳤고 국내 현대사에 엄청난 영향을 끼친 사고였으며 현재까지도 진행형이다. 21세기에 일어난 대형 참사이기에 국민들의 충격이 그만큼 컸다. 이 사고는 전 국민들에게 안전의 중요성을 결정적으로 깨닫게 했다.
참담한 결과
이태원에서 발생한 대규모 압사사고와 관련 30일 오전 10시 기준 사망자는 151명, 부상자가 82명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외국인 사망자는 19명이다. 피해자 대다수는 10대와 20대였다. 사망자의 성별은 남성이 54명, 여성이 97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