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8.28 01:01
[일요시사 취재2팀] 김준혁 기자 = 한 자영업자가 “소액 광고비만 내면 된다”는 말만 믿고 계약했다가 186만원이 결제된 사연이 입길에 올랐다. 이른바 ‘키워드 광고 사기’를 당한 것이다. 작성자 A씨는 27일 온라인 커뮤니티 보배드림에 “남편이 사기를 당했다”는 제목의 글을 게재했다. 그는 “행복해야 할 제 생일날 사기 고발 글을 쓰고 있는 현실이 답답하다”며 “가족이 시골에 내려와 카고 크레인 일을 시작한 지 5년째인데, 요즘 경기가 어려워 온라인 광고라도 해 보려던 참에 한 업체로부터 전화를 받았다”고 털어놨다. A씨 주장에 따르면 지난 22일, 자신을 ‘네이버 플레이스 검색어 담당자’라고 사칭한 B사 직원은 “월 1만1000원에 네이버 연관 검색어에 노출되도록 광고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처음엔 월 결제 금액이 저렴하다는 점만 강조했으나, 녹취록을 다시 확인해 보니 마지막 계약 단계에서 “1년 동안 월 1만1000원, 이후 3년간은 3만8000원이 부과된다”고 안내했다. 그는 “남편이 몇 분 통화 후 무언가에 홀린 듯 계약을 결정했고, 카드 6개월 할부로 186만원이 결제됐다”며 “월 결제 금액만 생각했던 남편은 놀라서 곧바로 취소를 요청하고, B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대기업이 투자 회사를 만들어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그림이 곳곳에서 목격되고 있다. 정부의 규제 완화를 계기로 이 같은 현상이 한층 확연해진 양상이다. 오너 경영인 입장에서는 꽃놀이패나 마찬가지다. 상생이라는 대의를 내세워 후계자의 경영 성과를 부각시킬 기회가 되기 때문이다. ‘기업형 벤처캐피털(CVC)’은 기업이 주도해 설립 및 운영하는 벤처투자사를 뜻한다. 금산분리 원칙에 따라 그간 일반 지주회사는 CVC를 보유할 수 없었지만, 2020년 12월 공정거래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기업의 CVC 설립이 제한적으로 허용됐다. 당시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지분 100% 보유 ▲외부 자금 40% 미만 조달 ▲펀드 조성 시 총수 일가 및 계열사 출자금 합계액 20% 이하 등이었다. 줄줄이 설립 개정안이 통과된 이후 대기업들은 CVC 설립에 적극 나섰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대기업 산하 CVC는 지난해 말 기준 스타트업 101곳에 총 1764억원을 투자한 것으로 집계됐으며, CVC를 운영하는 대기업은 총 13곳이었다. 이 가운데 두산, GS, 세아 등이 CVC 운영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두산은 2023년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