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8.04 16:54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의정갈등이 지난 정부에 이어 현 정부까지 흔들고 있다. 대통령 지지율을 떠받치고 있는 지지층에게도 영향이 가는 모습이다. 공정과 원칙을 표방하며 출범한 정부가 전혀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의료계는 몇몇 정부에서 개혁 대상으로 지목됐다. 이전 정부들은 20년 가까이 그대로인 의과대학 정원을 늘리는 방향으로 개혁의 물꼬를 트려 했다. 하지만 의료계의 반발은 거셌다. 파업, 사직, 휴학 등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카드를 동원했다. 결과는 원점. 정부가 의료개혁을 표방하며 내세운 정책은 끝내 진행되지 못했다. 사과도 없어 지난해 2월 의대 정원을 2000명 늘리겠다는 윤석열정부의 발표로 시작된 의정갈등이 1년6개월째를 맞고 있다. 전공의는 집단으로 병원을 떠났고 의대생은 학교를 쉬겠다고 선언했다. 의대 증원에 반발한 의사 수가 늘어나면서 의료 공백이 발생했다. 응급실 뺑뺑이 등으로 서울 한복판에서 환자가 죽는 일도 일어났다. 그럼에도 윤석열정부가 의대 정원 확대에 강경한 태도를 보이자 의정갈등은 파국으로 치달았다. 뒤늦게 의료계와 정치권, 정부 등이 머리를 맞댔지만 의견 차이는 좀처럼 좁혀지지 않았다. 정부는
[일요시사 취재2팀] 김준혁 기자 = 교육부가 정한 의대생 복귀 마감 시한(3월31일)이 종료를 앞둔 가운데, 1년 간 지속돼 온 의대생 집단휴학 사태가 끝날 기미를 보이고 있다. 31일 대학가에 따르면, 4월 초·중순까지 신청 기한을 연장한 강원대와 전북대를 제외한 전국 38개 의대가 지난 21일부터 시작했던 의대생 복학·등록 신청을 종료하기로 했다. 이날 교육부는 이른바 BIG5(서울대·연세대·성균관대·울산대·가톨릭대) 및 중앙대·부산대·충남대 등의 의대생 전원이 복귀했다고 밝혔다(31일 오전 12시 기준). 이외에도 전남대 의대는 600명 중 599명, 조선대 의대도 680여명 중 상당수가 복학원을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순천향대·단국대 등 아직 복귀 현황을 공개하지 않은 의대들도 있지만, 교육 당국에서는 상당수의 의대생들이 돌아오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교육부 정례 브리핑서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전체적인 큰 흐름이 등록 쪽으로 바뀌었다고 들었다. 상당수 의대생이 등록하고 있는 게 맞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업 복귀는 단순한 등록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실질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며 ‘의대생 수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