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시사 취재2팀] 김준혁 기자 = 교육부가 정한 의대생 복귀 마감 시한(3월31일)이 종료를 앞둔 가운데, 1년 간 지속돼 온 의대생 집단휴학 사태가 끝날 기미를 보이고 있다.
31일 대학가에 따르면, 4월 초·중순까지 신청 기한을 연장한 강원대와 전북대를 제외한 전국 38개 의대가 지난 21일부터 시작했던 의대생 복학·등록 신청을 종료하기로 했다.
이날 교육부는 이른바 BIG5(서울대·연세대·성균관대·울산대·가톨릭대) 및 중앙대·부산대·충남대 등의 의대생 전원이 복귀했다고 밝혔다(31일 오전 12시 기준). 이외에도 전남대 의대는 600명 중 599명, 조선대 의대도 680여명 중 상당수가 복학원을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순천향대·단국대 등 아직 복귀 현황을 공개하지 않은 의대들도 있지만, 교육 당국에서는 상당수의 의대생들이 돌아오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교육부 정례 브리핑서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전체적인 큰 흐름이 등록 쪽으로 바뀌었다고 들었다. 상당수 의대생이 등록하고 있는 게 맞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업 복귀는 단순한 등록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실질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며 ‘의대생 수업 복귀’의 기준을 제시했다.
‘학생들이 등록만 하고 수업을 거부할 경우, 의대 모집 인원이 5058명으로 돌아가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의대협회) 등)각기 다른 입장을 가진 관계자가 수긍할 정도의 복귀가 이뤄진다면 정부는 (증원 철회) 약속을 지킬 것”이라고 답변했다.
다만 “대학들이 등록일을 연장하고 있고, 등록금 납부일을 4월로 늦춘 곳도 있어 실제 복귀율 자체는 빨리 집계되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이달 복학 등록이 완료되더라도 실질 복귀율 산정까지는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로써 당초 이번 주 중으로 예상됐던 교육부의 전원 복귀 판단 및 내년도 의대 모집 정원 발표는 내달 말경으로 미뤄질 전망이다.
앞서 지난 7일 교육부는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 한국의과대학·의대협회와 함께 ‘학생 복귀 및 의대 교육 정상화’ 대책을 발표했다.
이날 교육부는 3월 말까지 집단휴학 중인 의대생들이 복귀할 경우, 의대협회 건의를 수용해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2024학년도 수준인 3058명으로 동결하겠다고 예고했던 바 있다.
반면 3월 말까지 복귀하지 않는 경우에는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5058명으로 증원하겠다는 방침이었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도 “교육부는 관계 부처, 의대협회 등 현장 전문가들과 지속해서 협력하며 의학교육 정상화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며 “정부와 대학의 의지를 믿고 학생들이 조속히 현장에 복귀해 학업을 이어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당부하기도 했다.
<kj4579@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