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4.04 16:55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삼부토건이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를 방만 운영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앞서 삼부토건은 지난해 3월과 6월, 7월에도 임직원 월급을 제날 지급하지 못했다. 6월분 급여는 7월 중순에야 지급을 마쳤다. 지난달까지 총 네 차례의 임금체불 사태다. 이일준 삼부토건 회장은 올해 이사회에 단 6번 참석했다. 견제해야 할 사외이사 출석률도 고작 5번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이일준 회장이 인수한 회사들은 심각한 경영 부진을 겪거나 상장폐지 위기에 처했던 만큼, 삼부토건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 회장이 인수한 기업들은 전환사채(CB) 발행을 통한 기업인수(M&A)에 열중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외부차입 등 자금조달은 삼부토건의 주가 부진으로 이어졌다. 난감한 상상인 이 회장의 화장품 업체 디와이디는 전체 자산의 65%를 삼부토건 투자와 관련해 계상한 가운데 외부감사인으로부터 의견 거절을 받은 바 있다. 최근 삼부토건도 반기보고서 감사 의견 거절을 받아 주식거래가 중지된 상태다. 삼부토건은 3년째 이어지고 있는 영업손실과 유동성 악화 등 재정 문제로 존폐 기로에 놓여있다. 이 같은 악재에 최대주주인 디와이디의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상장폐지 위기에 놓인 코스닥 상장사 셀피글로벌과 대규모 펀드 사기 ‘라임 사태’의 연결고리가 포착됐다. 거래정지 사태의 배후로 지목된 장영준 셀피글로벌 총괄감사위원장은 앞서 라임펀드 자금 19억6000만원을 건네받았다는 의혹을 받은 인물이다. 셀피글로벌의 거래정지 사태 배후로 지목되고 있는 이른바 ‘기업사냥꾼’들이 최근 별건의 사기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동부지검 형사4부(조윤철 부장검사)는 지난달 23일, 안모 씨 등을 사기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 안씨는 2년 연속 감사 의견 거절로 상장폐지 위기에 놓인 셀피글로벌의 소액 주주들로부터 횡령·배임 의혹을 받는 인물이다. 사기 의혹 상폐 위기 지난 2022년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 지지단체인 ‘기본경제특별위원회’ 집행위원장을 맡았던 장영준은 작전세력 개입 의혹에 휩싸인 코스닥 기업 사태에 등장한 바 있다. 장씨는 안씨와 손잡고 코스닥 상장사 디딤이앤에프와 셀피글로벌, 메탈바인 등 3개 회사의 총괄 감사위원장 직위가 각인된 위조 명함을 사용해 논란을 일으켰다. 두 사람이 개입했던 디딤이앤에프와 셀피글로벌은 현재 거래정지 상태다. 특히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컬러 골프공’ 신화를 써내려 온 볼빅이 경영위기에 직면했다. 실적과 재정에서 동반 뒷걸음질이 목격된 가운데, 외부 투자 유치 성공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980년 5월 출범한 볼빅은 컬러 골프공으로 인지도를 확보한 골프용품 제조업체다. 1991년 충북 음성군 대소면에 연 60만더즌 규모의 골프공 생산능력을 갖춘 제1공장을 준공한 이후 본격적인 성공가도를 달렸고, 2009년에는 9년 연속 골프공 수출 1위와 3년 연속 국산 골프공 국내 판매 1위를 달성했다. 잘 나갔지만… 볼빅은 2009년 8월 최대주주 변경과 함께 전환점을 맞이했다. 당시 엠스하이는 볼빅의 기존 최대주주였던 비티앤아이로부터 볼빅 지분 62.26%를 33억원에 사들였고, 문경안 현 대표에게는 경영총괄이라는 임무가 주어졌다. 엠스하이는 문 대표가 2001년 설립한 철근 유통사다. 문 대표 체제는 시작부터 순조로웠다. 2010년 선보인 컬러 골프공이 ‘컬러볼 혁명’의 주역으로 떠오른 덕분이었다. 당시 볼빅이 출시한 컬러 골프공은 흰색 골프공만 있던 골프공 시장에 엄청난 반향을 불러왔고, 이를 토대로 볼빅은 글로벌 골프용품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기에 이르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