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4.11.22 03:01
[일요시사 정치팀] 박희영 기자 = 국회 상임위원장 선출을 놓고 여야가 내홍을 겪는 가운데 10일, 조국혁신당(이하 혁신당)이 소속 의원 상임위 배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이날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혁신당 조국 대표는 주요 상임위 중 하나인 국방위원회에 배정됐다. 채 상병 사망 사건과 안보 문제가 주요 이슈로 떠오른 만큼 해당 상임위서 존재감을 각인시키겠다는 포석으로 읽힌다. 검사 출신인 박은정 의원 역시 중요 상임위인 법사위원회로 배정됐다. 황운하 원내대표는 국토위원회로 배정됐으며 겸임으로는 예결특위를 맡는다. 전 국립외교원장인 김준형 의원은 외통위원회에 이름을 올렸다. 이 밖에도 강경숙 의원은 교육위원회, 정춘생 의원은 행안위원회, 이해민 의원은 과방위원회로 배정됐다. 가수 출신인 김재원 의원은 문체위원회서 활약할 예정이다. 김선민·서왕진 의원은 각각 복지위원회와 산자위원회로 배정됐으며, 김 의원은 여가위를 겸임하게 된다. 차규근 의원은 기재위원회로 배정될 가능성이 높으며, 신장식 의원은 아직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신 의원은 황 원내대표와 마찬가지로 예결특위를 겸임한다. 한편 혁신당 관계자에 따르면, 이날 혁신당 의원들의 상임위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사면초가’라는 말로는 부족하다. 전방위에서 압박이 가해지고 있다. 방탄 배지를 달고 ‘개딸(개혁의 딸들)’을 앞세웠지만 급소를 향해 오는 칼은 날카롭기만 하다. 여기에 대형 선거에서 연달한 패하면서 책임론까지 불거지고 있다. 선거는 정당 지도부의 무덤이다. 이기면 더 큰 무대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발판을 얻지만 지면 정치생명까지 위협받는다. 선거에 진 후보가 ‘책임지겠다’는 말을 끝으로 국민 앞에서 모습을 감추는 것도 정치생명의 불씨를 꺼뜨리지 않기 위해서다. 자숙 대신 의원 출마 ‘책임론’과 ‘쇄신’은 선거 패배에 흔하게 따라 붙는 표현이다. 누군가는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하고 정당을 새로 고쳐야 한다는 일종의 공식이다. 문제는 이 공식을 따르지 않을 때 발생한다. 국민의 마음, 이른바 표심을 얻어야 하는 상황에서는 공식이 주는 힘이 크다.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은 대선 패배 이후 책임론과 쇄신이라는 정석을 따르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특히 대선후보였던 이재명 의원이 지난 1일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나선 것을 두고 많은 논란이 불거졌다. 일각에서는 불체포특권이 있는 ‘방탄 배지’를 위한 출마라는 비판도 제기됐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우리나라에서 대통령의 권한은 ‘제왕적’이라는 수식어가 붙을 만큼 막강하다. 승자독식의 구조의 대통령선거는 전쟁의 모습을 하고 있다. 이 전쟁은 5년마다 반복된다. 역으로 말하면 어떤 권력도 5년 이상 지속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대통령의 임기가 끝나면 ‘친정부 인사’는 어떤 운명을 맞게 될까. 화무십일홍 권불십년. 열흘 동안 붉은 꽃은 없고 아무리 높은 권세도 10년 동안 지속되지 않는다. 영원한 권력은 없다는 말을 할 때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다. 4~5년에 한 번 선거를 치를 때마다 단골처럼 등장하는 표현이기도 하다. 특히 임기 말에 가까워 올수록 이 말의 무게는 남달라진다. 5년마다 집권 전쟁 문재인정부가 마지막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이제 20여일 후면 차기 대선의 승자가 결정된다. 정권 재창출과 정권교체라는 두 가지 선택지를 두고 국민의 결정을 받는 것이다. 대선은 지난 정부에 대한 평가이자 미래 권력에 대한 기대가 분출하는 장이다. 정권 재창출을 원하는 여당은 현 정부의 긍정적인 부분을 부각시켜 이를 지속해야 한다는 선거전략을 내세운다. 반면 야당은 현 정부의 부정적인 부분을 앞세워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를 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