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4.03 15:21
[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서울 강동구 싱크홀(땅 꺼짐) 사고 현장서 오토바이 운전자 수색 작업이 12시간 넘게 이어지고 있지만, 싱크홀 속 물과 토사로 인해 소방 당국이 구조에 난항을 겪고 있다. 김창섭 강동소방서 소방행정과장은 25일 오전 진행된 현장 브리핑서 “안타깝게도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해 유감”이라며 “전날과 동일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 24일 오후 6시29분께 강동구 대명초등학교 인근 사거리서 지름 20m, 깊이 20m가량의 대형 싱크홀이 발생했다. 이 사고로 오토바이 운전자 1명이 싱크홀에 빠져 실종됐다. 싱크홀이 발생한 부분은 지하철 9호선 연장 공사가 이뤄지고 있던 구간으로, 길이는 총 160m로 파악됐다. 현재 싱크홀 내부에는 약 2000t의 토사와 물이 섞여 고여있는 상태다. 이 때문에 당국이 매몰자 구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당국은 이날 오전 1시37분경 수색 과정서 싱크홀 기준 40m 아래 오토바이 운전자의 것으로 확인되는 휴대전화를 발견했다. 약 2시간 뒤 오전 3시32분쯤에는 싱크홀 20m 아래서 번호판이 떨어진 오토바이를 발견하고 인양 작업을 벌였다. 김 과장은 “싱크홀에 가까울수록 토사물이 쌓여있는데
[일요시사 취재2팀] 김해웅 기자 = 지난 25일, 문경서 출발해 강원도 고성군 내에 위치한 통일전망대에 가겠다며 강원도 고성군 소재의 제진검문소에서 초병과 실랑이를 벌였던 오토바이족이 소음기 착용, 미인증 등화기를 추가한 것으로 알려지며 역관광을 당하고 있다. 통일전망대는 민간인통제선(민통선) 이북에 있으며 육로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제진검문소를 거쳐야 하는데 문제는 이들이 민통선 안에 경작지를 보유한 영농인이 아니었던 점, 통일전망대 출입을 위한 일반 관광객들은 군당국에 사전 출입신고를 한 뒤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이 과정 자체가 없었다는 점이다. 지난 27일, 온라인 자동차 커뮤니티 ‘보배드림’에는 ‘오토바이로 검문소 뚫으려던 빙신들 영상 뜸’이라는 제목의 글이 게재됐다. 해당 글에는 JTBC 뉴스 영상 및 KBS 뉴스 화면 캡처 이미지와 함께 당시 오토바이족들이 이용했던 오토바이 사진들이 첨부됐다.해당 글 작성자는 “보배에 능력자 형님들 저거 신고 좀 해주세요”라며 ▲소음기 불법 튜닝 ▲소음기 신고 후 불법 튜닝 ▲경음기(싸이렌) 부착 ▲미인증 등화(안개등) 추가 설치 클로즈업 사진도 함께 올렸다. 해당 게시글에 보배 회원들은 “저런 사람들은 처벌해야
[일요시사 취재2팀] 김해웅 기자 = 지난 25일, 강원도 고성군 소재의 민통선(민간인출입통제선) 북쪽에 위치한 통일전망대에 가겠다며 오토바이로 제진검문소를 통과하려던 남성을 향해 공포탄이 발사돼 논란이 일고 있다. 군 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후 12시경 A씨 등 3명 남성은 검문소를 지키던 초병에게 통일전망대를 가겠다며 진입을 시도했다. 하지만, 통일전망대는 민통선 안쪽에 있는 데다 출입을 위해선 비무장지대(DMZ) 출입사무소에 사전 출입신고까지 마쳐야 하는데 이들은 해당 과정을 거치지 않았다. 또 현행 규정상 오토바이는 민통선 안으로의 출입 자체가 제한돼있다. 군 당국 관계자는 “초병의 통제에 불응해 욕설과 위협을 가하면서 오토바이로 강압적 진입을 시도했으며 이를 제지하는 과정서 매뉴얼에 따라 공포탄으로 경고 사격을 했다”고 밝혔다. 반면 A씨 등은 군 당국의 설명과는 달리 무리하게 진입을 시도하지 않았을뿐더러, 제지에 순응해 기수를 돌리는 과정서 초병이 갑자기 총을 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오토바이 시동을 끈 상태서 되돌아가기 위해 움직이던 중 총이 발사됐으며 갑작스런 총성에 적잖이 놀랐다는 입장이다. 누리꾼들은 해당 언론 보도를 접한 뒤 군 당국
배달 어플 이용자가 급감하기 시작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최대 호황을 누렸던 배달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오를 대로 오른 배달료와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배달음식을 찾는 사람들이 줄어든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한 시민은 “며칠 전 한 치킨 프랜차이즈의 대표 메뉴를 주문하려다 배달료 6000원이 추가되는 것을 보고 주문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배달업계는 이탈 고객을 붙잡기 위해 ‘알뜰배달’을 시행하는 등 대응책 마련에 분주해졌다. 사진은 지난 24일 서울 강남구의 한 배달업체 앞 화물트럭에 배달 오토바이가 실려 있는 모습. 글·사진=고성준 기자 joonko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