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4.05 00:01
[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지난 16일 배우 김새론(25)의 사망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연예인을 향한 과도한 도덕적 잣대와 악플 문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김새론 비보를 두고 나종호 예일대학교 정신과 조교수는 17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실수하거나 낙오된 사람을 버리고 아무 일 없었다는 듯 지나가는 우리 사회의 모습이 흡사 거대한 ‘오징어 게임’ 같다”고 지적했다. 그는 “음주 운전은 아주 큰 잘못이고 만약 처벌이 약하다면 법체계가 문제 있는 것”이라면서도 “그런데 잘못했다고 해서 재기의 기회도 없이 사람을 사회서 매장시키는 사회가 건강한 사회는 아닌 것 같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개인에 대한 언급은 잘 안 한다”며 “다만, 이번 김새론 배우의 죽음은 벼랑 끝에 내몰린 죽음이란 생각이 너무 강하게 든다. 기사뿐 아니라 그가 일한 카페까지 온갖 악플에 시달리는 걸 봤다”고 설명했다. 나 조교수는 “얼마나 많은 생명을 잃어야 숨쉴 틈도 없이 파괴적 수치심을 부여하는 것이 멈출까? 사회적 대화와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고인의 명복을 빈다. 마음이 너무 아프다”고 애도했다. 김새론의 팬들도 연예인에게만 집중되는 과도한 비난을 지
[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형만 한 아우는 없었다.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 시즌2(이하 <오징어 게임2>)에 대한 외신들의 냉랭한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미국 주요 언론 매체들은 대체로 이번 <오징어 게임2>에 대해 첫 시즌만 못하다는 평가를 내놨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오징어 게임2>가 빨간불을 켰다’는 제목의 기사를 내고 “더 스타일리시한 살육을 보여 주지만 이야기는 정체돼있다”고 비평했다. 그러면서 “시즌1을 본 사람이라면 이미 봤던 것들을 또 보게 될 것”이라며 “시즌2는 이야기를 이어가면서도 7시간 동안 그것을 확장하는 데는 별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또 “게임이 돌아오면서 새로운 반전이 가미된 피 튀기는 광경이 반복되지만, 똑같은 역학 구도 안에서 기쁨보다 고통이 훨씬 더 많다”며 “관객들에게는 괜찮을지도 모르지만, 이 시리즈가 단지 잔혹한 살육을 더 많이 보여주는 수단이라면, 우리는 집단으로 (드라마 속에서 게임을 관전하는)‘VIP’의 저렴한 버전일 뿐일까?”라고 꼬집기도 했다. 영화 전문지인 <할리우드 리포터>도 ‘넷플릭스의 한국 히
지난해 전 세계인을 매료시켰던 <오징어 게임>이 미국 방송계 최고 권위 시상식인 에미상에서 6관왕을 달성하는 쾌거를 이뤘다. 주요 부문 후보에 오른 것도, 비영어권 부문에서 수상한 것도 최초. 특히 이정재가 한국인 최초를 넘어 아시아 국적 배우 최초로 에미상 남우주연상의 영예를 안았다. 그의 발자취를 따라가봤다. ⓒ영화 스틸컷 <parksy@ilyosisa.co.kr>
[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세계적인 인기에 국민 대다수가 어리둥절하다. 한국적 색깔이 뚜렷한 작품에 세계가 이토록 열광하는데 이유를 찾기 바쁘다. 여러 의견을 내놓지만, 정답은 없다. 나라마다 정서가 다른데도, 하나 같이 뜨겁게 반응하는 것을 관통하는 답을 찾기란 쉽지 않다. 국민도 이러한데 작품에 참여한 배우들은 더 얼떨떨할 테다. 데뷔작부터 이러한 성공을 맛본 배우 정호연에게는 아무리 긍정적인 결과라 해도 혼란을 줄 수 있다. 아직 세계적인 인기가 실감이 나지 않는다는 정호연을 만나 <오징어 게임> 후기를 들어봤다. E-스포츠에는 ‘로열로더’라는 말이 있다. 2000년대 초반 스타리그가 한창 주가를 높일 때 튀어나온 말이다. ‘황제가 걸어온 길’이라는 의미의 로열로더는 처음 출전한 개인 리그 대회에서 우승까지 차지한 선수에게 붙여주는 명칭이다. 여유 내공 신인이 경험이 풍부한 선배들을 제치고 우승까지 차지한다는 건 엄청난 재능이 뒷받침될 때나 가능하다. 그런 능력이 아무에게나 주어지는 건 아니다. 또 상황에 따라서는 커다란 운도 필요하다. 배우가 작품 내에서 다른 연기자와 경연을 펼치는 건
[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국내 콘텐츠 업계는 넷플릭스로부터 극진한 대우를 받는다. 이야기적 완성도가 높을 뿐 아니라, 한국 고유 문화가 가진 신선함을 확실히 드러내서다. 국내를 넘어 아시아 전역에서 높은 인기를 얻는 국내 배우의 매력도 한몫한다. 하지만 국내 작품이 전 세계에서 1위를 한 적은 없었다. 동서양을 아우르기엔 한국의 색감이 진해서였을까, 세계의 벽은 높았다. 그런 가운데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기존의 한계를 극복했다. 전 세계 인구가 <오징어 게임>에 심취하고 있다. 그 중심에 배우 이정재가 있다. 1993년에 SBS 드라마 <공룡선생>으로 데뷔해 <모래시계>의 보디가드 재희로 얼굴을 알린 배우 이정재는 ‘X세대의 아이콘’이었다. 귀공자 유형의 수려한 외모와 귀족 같은 엘리트 이미지에 더불어 그 어느 배우도 쉽게 따라할 수 없는 미소는 그만이 가진 무기다. 귀공자의 변신 연기파 배우보다는 비주얼 스타로서 더 각인된 그는 영화 <도둑들> <신세계> <관상> <암살>을 거치며 뛰어난 연기력을 가진 배우로 인정받기 시작했다. 최근 <다만 악에서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