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5.09 10:14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다우키움그룹 오너 2세가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핵심 계열회사에서 사내이 사 선임을 앞두고 있으며, 발언권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일찌감치 후계자로 지목됐던 그에게 남은 과제는 언제쯤 경영 일선에 나서느냐 정도다. 키움증권은 오는 26일 정기 주주총회 개최를 예고한 상태다. 정기 주총에서는 ▲현금배당 승인 ▲정관 일부 변경 ▲이사 선임 ▲이사 보수 한도 승인 등의 안건이 다뤄질 예정이다. 가장 눈에 띄는 안건은 김익래 전 다우키움그룹 회장의 장남 김동준 키움인베스트먼트·키움PE 대표의 사내이사 선임이다. 이사회 진출 1984년생인 김 대표는 2011년부터 사람인HR, 이머니, 다우기술 등을 거쳤고, 2018년 3월 키움인베스트먼트 대표이사에 올랐다. 2021년 1월부터 키움PE 대표이사직도 겸하고 있다. 김 대표는 사내이사 선임을 계기로 키움증권에서 역할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일단 키움PE는 김 대표의 사내이사 선임에 앞서 키움증권 산하에 편입된 상태다. 다우기술의 자회사인 한국정보인증은 지난달 25일 이사회를 열고 키움PE 지분 40%(378억원)를 키움증권에 매각하기로 의결했다. 같은 날 키움투자자산운용 역시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다우키움그룹의 경영권 승계 작업이 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그룹 지배구조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감지됐고, 후계자의 영향력은 갈수록 확대되는 형국이다. 어느덧 오너의 장남은 고속 승진을 거듭하며 지배구조의 정점에 우뚝 섰다. 다우키움그룹은 97개 법인으로 이뤄진 기업집단이다. 8곳의 상장사와 89곳의 비상장사가 소속돼있으며, 지주 회사 격인 다우데이타와 사업 회사인 키움증권이 그룹의 핵심이다. 예고된 밀어주기 그룹 오너인 김익래 회장은 국내 벤처업계에서 ‘살아있는 전설’로 불린다. 1986년 다우기술을 창업한 김 회장은 소프트웨어 한글화 작업을 바탕으로 인터넷 솔루션, 전자상거래, 시스템 통합 등으로 사업 영역을 넓혔다. 1992년 IT서비스기업 다우데이터 설립, 2000년 키움닷컴증권을 통해 금융업에 진출하며 그룹의 뼈대를 다졌다. 지난해 3분기 기준 다우키움그룹의 지배구조는 ‘김 회장→다우데이타→다우기술→키움증권’ 순으로 이어진다. 다우데이타의 다우기술 지분율은 44.85%, 다우기술의 키움증권 지분율은 48.33%다. 키움증권이 지배하는 ▲키움인베스트먼트 ▲키움저축은행 ▲키움투자자산운용 ▲키움프라이빗에쿼티 등 금융 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