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5.09 16:16
[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MBC 뉴스 채널 선호도가 급등한 것으로 조사됐다. MBC는 올해 4분기 연속 한국인이 가장 즐겨보는 뉴스 채널로도 꼽혔다. 한국갤럽이 27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10~12월 전국 만 18세 이상 3002명을 대상으로 요즘 어느 방송사 뉴스를 가장 즐겨보는지 물은 결과(자유응답) MBC 28%, KBS 14%, YTN 8%, JTBC 7%, SBS 6%, TV조선·연합뉴스TV 각각 4%, 채널A 2%, MBN 1% 순으로 나타났다. 26%는 특별히 즐겨보는 채널이 없다고 응답했다. 특히 MBC에 대한 선호도는 지난 3일 비상계엄 사태 이후 10%p 이상(11월 25%→12월 35%) 급등했다. 갤럽은 “단 이 조사 결과는 개인이 가장 즐겨보는 뉴스 채널에 관한 것으로, 물리적 시청 시간은 반영되지 않았음에 유념해야 한다”며 “시시각각 집계되는 뉴스 시청률과는 다른 의미로 해석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40·50대서 MBC를 특히 선호했고, 70대 이상은 KBS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 특별히 즐겨보는 뉴스 채널이 없는 사람은 저연령일수록 많은 것
[일요시사 취재2팀] 김해웅 기자 = 걸그룹 피프티피프티 ‘편파 방송’ 논란으로 입길에 올랐던 SBS <그것이 알고 싶다>(<그알>)이 24일, 결국 고개를 숙였다. 이날 <그알> 제작진은 입장문을 통해 “‘<그것이 알고 싶다 - 빌보드와 걸그룹’편은 피프티피프티 사태를 통해 지속가능한 K팝이 되려면 무엇이 필요한지 고민하기 위해 제작됐다”고 운을 뗐다. 이어 “방송 과정서 제작진 의도와 달리 K팝 현장서 일하는 많은 분들과 K팝을 사랑하는 팬들의 마음을 상하게 한 점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고개 숙였다. 그러면서 “한국매니지먼트연합, 한국연예제작자협회 등에서 보내온 말씀과 비판도 무겁게 듣겠다”고 사과했다. 제작진은 “이해관계를 둘러싸고 있는 어느 한쪽의 편을 들어주기 위함이 아님을 분명히 밝힌다. 현재 논란이 된 몇몇 사안에 관해선 추가 취재를 통한 후속 방송으로 부족한 부분을 채우겠다”며 “더욱 깊이 있는 취재로 시청자들의 성원에 보답하겠다”고 약속했다. 지난 19일 전파를 탔던 해당 방송은 전속계약 문제로 갈등을 겪었던 피프티피프티와 이들의 소속사 어트랙트를 취재해 보도했다. 당시 <그알>은 피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