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4.25 17:44
[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미국 할리우드에 아시안 슈퍼 히어로의 시대가 가까워지고 있다. 한국의 마동석과 박서준을 비롯해 중국계 배우들도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로 합류하고 있다. 캡틴 아메리카나 토르처럼 키 크고 잘생긴 백인들의 주무대였던 메이저 히어로 무비에서 매우 의미 있는 변화다. 이른바 정치적 올바름으로 표현되는 ‘PC주의’ 거대한 물결이 히어로 무비도 변화시킨 셈이다. 서양인의 눈에 비친 아시아인은 보잘것없는 존재였다. 외모부터 못생기고 하찮았다. 영화 <티파니에서 아침을>에서 주인공인 오드리 햅번을 귀찮게 하는 일본인 이웃 주민이 대표적이다. 이해도 부족 이뿐 아니라 할리우드에서 아시아에 대한 이해는 매우 부족했다. 한국도 마찬가지다. 일부 작품에서 한국어를 연기하는 배우의 수준은 실소가 나올 정도다. 외국인들이 따라 하는 한국어는 제대로 발음하지도 못할뿐더러, 비문도 적지 않다. 유튜브에 조금만 찾아봐도 온몸을 굳게 만드는 할리우드 배우들의 한국어 연기를 쉽게 찾을 수 있다. 국경을 두고 첨예하게 대치 중인 남북한 관계를 몰랐는지, 영화 <007 언리미티드> 제작진은 남한 배우 차인표에게 북한 테러리스트를 연기해달
[기사 전문] PC란 Political Correctness, 곧 ‘정치적 올바름’을 뜻한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특정 집단을 향한 차별적 발언을 지양하자’는 관점이다. 최근에는 동물권에 대한 고려까지 포함되어, 아주 넓은 영역을 아우르고 있다. PC는 소수자나 약자를 존중해야 한다는 좋은 취지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최근 도를 넘은 PC주의에 지친 사람들이 대거 생겨났고, 이에 따라 ‘피씨충’이라는 별칭까지 등장했다. 그래서 PC의 그늘을 몇 가지 양상에 따라 살펴보기로 했다. 첫 번째는 ‘단어에 대한 과도한 검열’이다. 2015년, 미 대선 후보로 나온 트럼프는 “사람들은 더 이상 ‘크리스마스’라는 단어를 쓰지 않습니다. 그게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다는 이유로요. 백화점에 가도, 빨간 페인트를 칠해 놓았으면서 ‘새해를 축하한다’라거나 다른 말을 하죠. 그거 알아요? 우리는 다시 ‘메리 크리스마스’라고 말할 겁니다”라고 말했고 사람들은 환호했다. 왜일까? 당시 미국에서는 비기독교인들의 입장을 고려해, ‘메리 크리스마스’라는 말을 쓰는 것 자체를 꺼리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이는 건국 이후 매년 크리스마스를 기념해온 미국의 관습과는 전혀 맞지 않는 극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