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5.21 14:22
[일요시사 정치팀] 박 일 기자 =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을 지냈던 국민의힘 당권주자 윤상현 의원이 지난 17일 “한국 외교는 더 이상 갈지(之)자 행보를 멈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정부가 유엔서 ‘크림자치공화국 및 세바스토폴 인권결의안’ 채택 과정서 기권을 선택한 데 대해 “인권 정책에 대한 일관된 기준과 실천 방안을 정립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윤석열정부는 ‘글로벌 중추국가’를 목표로 한국이 국제사회 위상에 걸맞는 책임을 다하겠다고 천명했는데 그렇다면 적어도 인권 영역에 대해서는 좌고우면할 여지가 없다”고도 했다. 크림공화국 및 세바스토폴시는 과거 소련 붕괴 후 우크라이나 지역이었다가 지난 2014, 러시아 합병 당시 러시아로 편입된 바 있다. 이번 인권결의안 표결서 정부가 기권을 선택한 데 대해 외교부는 흑백으로 나눠 찬반을 정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해당 결의안은 특성상 찬성보다 기권 국가가 더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윤 의원에 따르면 해당 결의안은 16일(현지시각), 표결에 부쳐져 찬성 78국, 반대 14국, 기권 79국으로 채택됐다. 그는 “자유 민주 진영 78개국이 동참했지만 우리는 기권했고 반대한
[일요시사 정치팀] 박 일 기자 =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재산 및 인명피해를 쏟아내고 있는 러시아가 7일(현지시각), 유엔 인권이사국 지위를 조기 종료하기로 결정했다. 이날 <타스통신>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러시아는 외교부 성명을 통해 “뉴욕 유엔총회서 채택한 러시아연방의 유엔인권이사회축출 결의안이 불법적이고 정치적인 동기로 결정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유엔회원국이자 주권국가인 러시아가 독립적인 국내 외교정책을 펼치는 것에 공공연하게 이를 처벌하기로 한 것으로 간주한다”고 밝혔다. 이어 “유엔인권이사회가 지금은 이를 자국의 목적을 위한 기회로 활용하려는 나라들에 의해 독점돼있다”고 비난했다. 아울러 “비록 이번엔 인권이사국 탈퇴를 결정했지만 러시아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인권보호에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결의안 통과에 대한 근거는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부차 등지에서 저질렀던 민간인 학살 영상 등의 증거들로 제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CNN 등에 따르면 유엔총회는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서 열린 특별회의를 통해 러시아의 유엔 인권이사회 이사국 자격을 정지하는 결의안에 대해 찬성 93표, 반대 24표, 기권 58표로 가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