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4.11.23 03:01
영문학 전공, 정치판 15년, 문예창작과 재입학, 소설가 15년 그리고 육체노동 5년차. 쉽사리 접해보기 어려운 삶을 이어온, 주로 역사소설을 집필해온 황천우가 경력에 걸맞은 소설 <수락산 저녁노을>을 발간했다. 동 작품은 일시적으로 정치판을 떠나 의식 혁명을 꿈꾸던 저자가 전혀 예상치 못한 사건으로 인해 다시는 정치판에 발을 들일 수 없는 환경에 처하자 자신과 비슷한 처지의 인물을 내세워 운명의 실체 여부를 살피고, 그와 병행해 저자가 직접 소설에 참여하며 자신의 이야기를 전달하고 있다. 저자가 선택한 인물은 왕, 왕세자, 왕세손의 3중 철벽을 깨고 보위에 오른 조선조 제 7대 임금인 세조, 즉 수양대군이다. 대군의 운명을 타고 태어난 그를 통해, 그에게 덧씌워졌던 올가미를 풀어나가면서 동시에 동고동락(同苦同樂)의 세상을 기치로 내걸고 운명을 타개해나간다. 그 과정에 수양대군이 일으킨 계유정난으로 유교의 한계를 절감하고 스스로 머리 깎고 중으로 변신한, 삶의 전성기를 수락산에서 보낸 김시습과 저자가 살면서 체득한 기(氣)론, 생사론, 종교론, 정치론 등 주요 사상 심지어 사랑론, 궁합론까지 곁들이며 인간의 삶의 의미를 되새기고 있다. <수락
조만간 선보일 소설 <수락산 저녁노을> 중 일부 소개한다. 『“조정에서 왜 하필이면 절에서 기우제를 지내느냐로 반대가 심했습니다.” “한심한 인간들 같으니라고. 그러면 이 가뭄에 농부들을 동원해 이 행사를 치르길 바라는 겁니까.” “그게 대군께서 언급하신 실질적인 정치 아닌가 싶습니다.” “아저씨께서 바로 말씀하셨습니다. 지금 조정은 물론 조선 사회가 틀에 박힌 유교 교리에 함몰돼 실용은 등한시하고 있습니다. 정치란 바로 실용을 중시해 백성들을 배고프지 않게 해주어야 하는 게 아닙니까?” “대군 말씀이 지극히 온당합니다. 그런데 조정은 백성들의 삶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하는 위선에 몰두하고 있으니 그게 걱정입니다.” “결국 제 밥그릇만 채우자는 이야기지요.”』 <수락산 저녁노을>은 유교의 교리에 의하면 절대로 보위에 오르지 못했을 수양대군, 즉 세조가 그를 정면으로 부정하고 실용을 앞세워, 동고동락(同苦同樂)의 세상을 기치로 대군의 굴레를 벗어나 보위에 오르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상기 내용은 지독한 가뭄을 맞아 수양대군이 흥천사(성북구 돈암동 소재)에서 기우제를 지내자 김종서를 비롯한 조정 대신들이 조선이 표방한 숭유억불에 위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