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4.12 13:48
[일요시사 취재2팀] 김해웅 기자 = 국내 유권자들 10명 중 7명 이상은 현세대의 삶이 부모세대보다 전반적으로 좋은 편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이 지난해 8월23일부터 31일까지 국내 19세~79세 남녀 1035명을 대상으로 ‘귀하의 삶은 귀하의 부모세대에 비해 전반적으로 어떻다고 느끼냐’는 자체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75%가 ‘좋은 편’, 14%가 ‘나쁜 편’이라고 응답했다. ‘비슷하다’는 10%. 성별로는 남성(71%)보다는 여성(79%)이, 연령별로는 30대(29%)보다는 60~79세의 장년층(91%)이 좋은 편이라고 답했다. 직업별로는 학생(59%)보다는 전업주부(90%) 계통의 직업군이 더 좋아졌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월 소득 수준별로는 200만원 미만(69%), 200~299만원(67%), 300~499만원(75%), 500~699만원(82%), 700만원 이상(81%)로 고소득자일수록 더 좋게 느끼고 있었다. 교육 수준별로는 대재 이상(69%)보다는 고졸 이하(82%)가 더 좋다고 느끼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서울(76%), 인천/경기(75%), 대전/세종/충청/강원(69%), 광주/전라/제
사람이 태어날 때부터 시간에 따라 존재했던 공간을 선으로 그려보면 어떨까? 산다는 것, 즉 삶은 시간과 함께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래서 삶은 시간과 공간이 만나는 선의 연속이라 할 수 있을 것 같다. 함수로 말하면, 시간이라는 X축과 공간이라는 Y축이 만나는 곳이 사람이 존재하는 곳, 바로 삶이라는 의미다. 만약, 어떤 사람이 감옥에 갇혀 있다면, 그 사람은 어느 시간대나 항상 같은 공간에 있음으로 함수 ‘Y=a(상수)’로 표현할 수 있고, 식물인간 상태로 있다면, 어느 공간에 있더라도 시간이 멈춘 상태에 있음으로 함수 ‘X=a(상수)’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학의 함수는 Y=aX+b(a≠0) 형태의 1차함수와 Y=aX²+bX+c(a≠0) 형태의 2차함수, 그리고 3차함수 등이 있어, 1사분면에서 4사분면까지 전 영역을 통해 표현된다. 그러나 시간이라는 X축과 공간이라는 Y축으로 표현되는 삶의 함수는 원점(0,0)을 기점(출생)으로 시작하는 함수고, 매우 불규칙적으로 1사분면 영역에서만 존재하는 특별한 함수다. 수학의 함수는 두 개의 변수 X, Y 사이에서, X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값이 변하는 데 따라 Y의 값이 종속적으로 정해질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