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5.20 13:28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남양유업의 주인이 바뀌었다. 외조카 황하나 마약 사건 등 논란에 휩싸인 홍원식 회장은 2021년 초 사임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그해 5월 본인이 보유한 남양유업 지분 절반 이상을 한앤컴퍼니(한앤코)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후 홍 회장 측은 주식매매계약 해제를 통보하면서 긴 싸움을 택했지만, 결과는 참패로 끝났다. 사모펀드(PEF) 운용사 한앤코가 지난 4일, 남양유업 홍원식 회장과 아내 이운경 고문, 손자 홍승의군을 상대로 낸 주식양도 소송 상고심서 최종 승소했다. 대법원 2부(주심 천대엽 대법관)는 이날 오전 10시30분경 “남양유업은 대금을 지급받음과 동시에 한앤코에 주식을 넘기라”며 2심 판결을 유지했다. 대법원의 상고 기각으로 원심이 유지되면서 한앤코는 남양유업 최대주주로 올라서게 됐다. 60년 종지부 남양유업 매각을 둘러싼 법적 다툼은 이른바 ‘불가리스 사태’를 계기로 시작됐다. 코로나19가 확산 중이던 지난 2021년 4월 남양유업은 “자사 제품인 불가리스가 코로나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발표해 허위·과장광고 논란에 휩싸였다. 당시 식약처는 이광범 전 남양유업 대표이사와 남양유업 항바이러스면역연구소장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기업 경영진의 진가는 위기 상황에서 드러난다. 회사 안팎에서 불거진 사건‧사고를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기업의 이미지가 좌우된다. 추락하는 이미지에는 날개가 없다. 2013년 이후 남양유업의 이미지가 꼭 그런 꼴이다. 최근에는 회장에 이어 대표이사를 둘러싼 논란이 불거졌다. ‘남양이 또 남양했다.’ 남양유업 기사에 심심찮게 댓글로 달리는 표현이다. 남양유업과 관련된 사건·사고를 두고 ‘그럴 줄 알았다’ ‘또?’라는 의미와 조롱이 담겨있다. 웬만한 사건이 아니면 별다른 반응도 없다는 웃지 못할 이야기가 나올 만큼 남양유업의 이미지는 땅에 떨어진 상태다. 이미지 추락 2013년 5월 남양유업 본사 영업사원이 대리점주에게 폭언과 욕설을 퍼부은 사건, 이른바 남양유업 사태가 일어났다. 영업사원이 대리점주에게 밀어내기식 강매를 하는 내용의 녹음파일이 유튜브에 공개되면서 공분이 일었다. 갑의 횡포를 뜻하는 ‘갑질’이라는 단어가 일상 언어로 자리 잡기 시작한 것도 이때부터다. 남양유업 사태에 대한 경영진의 책임 전가, 모호한 태도, 소극적 입장 표명 등의 대처 방식은 업계 1위 기업을 단숨에 바닥으로 끌어내렸다. 경영진의 입장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