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5.20 20:00
[일요시사 취재1팀] 김민주 기자 = “빨간 마후라 사나이/하늘의 사나이는 빨간 마후라/빨간 마후라를 목에 두르고/구름따라 흐른다 나도 흐른다/아가씨야 내 마음 믿지 말아라/번개처럼 지나갈 청춘이란다/ 석양을 등에 지고 하늘 끝까지/폭음이 흐른다 나도 흐른다/그까짓 부귀영화 무엇에 쓰랴.” (쟈니 브라더스, <빨간 마후라>, 1964) 한국 남성 재즈 보컬리스트 1세대이자 원로 가수. 보컬리스트 김준의 수식어다. 1940년 1월14일에 태어난 김준은 ‘한국 재즈 100년의 역사’에 기록됐고, 현재까지 보컬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처음 그를 만난 것은 서울시 종로구의 째즈바 ‘천년동안도’였다. 연주자와 보컬 평균 연령 70대 후반인 재즈 그룹이 공연하는 모습은 이색적이었다. 공연 관람자도 보통은 아닌 것처럼 보였다. 관람 연령이 20대부터 60대까지로 모두 ‘재즈 매니아’의 면모가 엿보였다. 산증인 보컬과 연주자는 자유로웠고 관람자도 마찬가지였다. 음악으로 하나가 된다는 게 이런 느낌일까. 그날의 감상평이다. 젊은 재즈 연주자가 넘쳐나는 시대, 노련한 재즈 연주자의 모습 자체가 새로웠다. 김준은 “재즈는 내 인생이다. 나는 언제나 나를 위해 노래한다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서울 강남구 소재 갤러리 송은에서 김준 작가의 개인전 ‘템페스트’를 개최한다. 김준은 제18회 송은미술대상 수상자로 이번 전시는 수상 기념전으로 마련됐다. ‘소리’라는 매체를 참여적이고 공감각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전시가 될 전망이다. 2019년 1월15일 재단법인 송은문화재단은 김준 작가를 송은미술대상 대상 수상자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김준이 선보인 ‘에코시스템: 도시의 신호, 자연의 신호’는 대형 큐브 형태의 설치작업으로, 그가 국내외 레지던시에 머무르며 관찰하고 채집한 결과물이 축적된 아카이브로 구성됐다. 특정 장소 김준은 지질학, 통신학 연구를 기반으로 특정 장소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관찰하고 채집한 결과물을 아카이브 형태로 재구성해 사운드스케이프 작업으로 선보여왔다. 채집한 소리와 이미지를 감각적 결과물로 재구성해 관람객과 공유하는 과정에서 작가만의 특정한 장소는 전시공간으로 이식된다. 또 작가의 시선과 그에 따른 기록은 관람객의 주관적 상상과 경험으로 전이된다. 김준은 사운드스케이프에 기반한 오디오 생태학적 입장의 소리 환경을 다양한 매체로 다루고 있다. 비가시적 세계의 파장이 우리의 생태환경과 인지 감각에 어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