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기획> 회장님이 사는 집 -대웅 윤재승

30년 삼성동 토박이 회장님

[일요시사 취재1팀] 박호민 기자 = 일과의 시작과 끝에는 ‘집’이 있다. 잠자리를 넘어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는 것은 당연한 이치. 특히 의식주 가운데 가장 해결하기 어렵다는 점 때문에 많은 환상이 있다. 재계를 이끄는 리더의 보금자리 역시 궁금증을 자아낸다. 그들은 어디서 재충전할까. <일요시사>서 확인했다.
 

▲

 

이번주 살펴볼 회장님 집은 윤재승 전 대웅 회장의 자택이다. 현재 그는 회장직에 물러나 있지만 언젠가 회장직으로 복귀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여전히 그를 대웅의 실질적인 회장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윤 전 회장의 삶과 자택을 살펴본다.

검사 출신

윤 전 회장은 창업주 윤영환 명예회장의 3남으로 부산서 태어났다. 그는 1985년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서울지방검찰청서 1992∼1995년 기간 검사 생활을 했다. 1995년 대웅제약에 감사로 입사하면서 대웅그룹에 합류했다.

장남이 아닌 3남이 회사의 지휘봉을 잡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그는 첫째 형인 윤재훈 알피그룹 회장과 대웅그룹 후계자 자리를 놓고 경쟁했다. 2015년 형제간 경영권 분쟁으로 비화됐지만 윤 전 회장에게 힘이 쏠리면서 윤 전 회장이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윤 전 회장은 지난 8월 운전기사에 대한 폭언으로 회장직서 물러난 바 있다. 하지만 현재 지분 구조를 살펴보면 언제든지 회장 자리에 돌아올 수 있는 구조다.


대웅그룹은 지주사 대웅을 지배구조 정점으로 대웅제약, 한올바이오파마, 대웅바이오, 대웅생명과학, 대웅경영개발원, 산웅개발, 대웅이엔지, 팜팩, 대웅개발, 아이디에스앤트러스트, 에이치알그룹, 힐리언스 등의 계열사를 두고 있다.

윤 전 회장은 대웅의 최대주주로 이들 계열사를 관리한다. 윤 전 회장이 가지고 있는 지분은 11.61% 수준이다. 이 외에 특수관계자 지분을 합치면 38.27%까지 올라간다. 여기에 대웅이 자기주식 25.73%를 가지고 있어 그가 잠시 회장 자리를 비운다고 지배력이 흔들리지 않는 상황이다. 대웅의 회장직은 현재 공석이다.

유명인사 선호하는 동네
제약사 동반자 이웃사촌

대웅의 실적은 회장의 부재 속에서도 선방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반기 대웅의 연결기준 영업수익(매출)은 5964억1819만원으로 전년 5490억303만원보다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 역시 437억6620만원을 기록 전년 393억6938만원보다 증가했다.

윤 전 회장의 자택 주소지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이다. 지난 2일 기준 해당 주소지등기부등본 상으로 1983년부터 소유자를 확인할 수 있는데 윤 전 회장이 이때부터 부지 446.5㎡를 소유했다. 건물의 경우 2016년 12월26일부터 소유권이 확인된다.

윤 전 회장은 지하 1층(27.4㎡), 지상 1층(179.57㎡), 2층(60.71㎡) 규모의 단독주택서 살고 있다.
 

▲대웅제약 본사

이곳은 부유층이 살고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서초동과의 거리는 7km 남짓으로 법조계 출신인 윤 전 회장이 지인들과 소통하기도 유리한 위치인 것으로 보인다.


대림산업의 이해욱 회장은 삼성동 일대의 주택 4채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외에도 이건희 삼성 회장, 배우 전지현씨 등이 삼성동에 자택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제약업계의 경쟁자이자 동료들도 삼성동을 선호한다. 한승수 제일약품 회장을 비롯해 강정석 동아쏘시오홀딩스 회장도 윤 전 회장의 이웃사촌이다. 

이곳은 투자가치가 높은 곳으로 손꼽힌다. 7호선·분당선 환승역인 강남구청역이 인근에 있고, 7호선 청담역도 가깝다. 9호선 선정릉역도 지근거리에 있다. 아울러 영동대교와 가까워 접근성이 높은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2층 단독주택에 거주
실거래가 30억 웃돌아

학군도 양호하게 형성돼있다. 강남8학군으로 분류되며 학부모 사이 선호 지역으로 거론된다. 인근 언북초등학교, 언주중학교, 경기고등학교, 영동고등학교 등이 학군을 형성하고 있다.

편의시설도 잘 갖춰져 있다. 스타필드 코엑스몰이 가깝게 있고 청담패션거리, 청담동거리, 압구정로데오거리 등이 있어 생활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다는 평가다.

또 강남구청, 강남구보건소 등의 관공서가 가까운 점도 이점으로 작용한다. 아울러 인근 은행과 병원이 많은 점도 선호지역으로 꼽히는 이유가 된다. 배꽃근린공원, 삼성은행나무공원, 봉은공원, 청담근린공원 등의 근린시설로의 접근성도 높아 삶의 질을 높인다는 점도 장점으로 거론된다.
 

▲윤재승 전 대웅제약 회장

윤 전 회장의 자택도 이같은 이점을 바탕으로 가치가 상승하고 있다. 서울 부동산정보조회시스템에 따르면 개별주택가격을 처음 공시한 2005년 이곳의 개별주택가격은 12억7000만원이었다. 이후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지난 1월1일 기준 23억5000만원으로 13년만에 두 배 가까이 가격이 상승했다.

통상 실거래가가 공시가격을 웃도는 점을 감안하면 이곳의 단독주택가격은 30억원을 웃돌 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부재 중

부동산 업계의 한 관계자는 “삼성동의 경우 현대자동차의 삼성동 개발 이슈로 인해 가치상승이 예상되는 지역”이라며 “전통적인 부자와 신흥부자가 섞여 있는 곳이라 인프라 개발이 집중되는 곳인 만큼 향후 지가 상승여력이 충분한 지역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