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4.12.22 16:30
<외계+인> 1부의 흥행 참패, 2부를 편집하면서 어떤 마음이었나요? - 시나리오를 새로 쓴 건 아닌데 본질은 변하지 않지만 여러 가지 디테일들을 많이 바꾸려고 노력했어요. 이하늬씨의 첫 번째 등장은 이것과는 좀 다른 장면이었는데 그 장면보다 조금 더 빠르고 좀 임팩트 있고 ‘민개인’이라는 캐릭터가 어떤 건지 본능적으로 알 수 있게 신을 새로 써서 너무너무 바쁜 그에게 하루만 시간을 내달라고 해서 재촬영했어요. 1부 재편집하면 너무 좋은데 한 번 해보고 싶기도 하고 꿈에서 계속 아른거려서? ‘내가 뭘 잘못했던가’ 해서 제작자와 얘기를 많이 하는데 우리가 지금 그런 거에 신경 쓸 때가 아니다? 2부나 열심히 하자고 했고 2부 작업 끝난 지 한 달이 채 안 돼요. 아마 이게 끝나고 나면 뭔가 새로운 자극이 들어오고 그렇다면 어떤 방식이든지 다시 재편집해보는 것도, 저한테도 너무너무 즐거운 작업이 될 것 같고 혹시나 다른 버전을 보고 싶어 하시는 분들이 있다면 저는 언제나 열려 있습니다. 속편이 나온다면 출연 의향이 있나요? - 류준열 당연하다고 말씀드리고 싶고 사실 이 영화를 처음 시작할 때 1·2부로 나눌 때도 “감독님 이거는 1·2부로 끝낼 게 아
김영권의 <대통령의 뒷모습>은 실화 기반의 시사 에세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재임 시절을 다뤘다. 서울 해방촌 무지개 하숙집에 사는 이들의 이야기를 듣고 있노라면 당시의 기억이 생생히 떠오른다. 작가는 무명작가·사이비 교주·모창가수·탈북민 등 우리 사회 낯선 일원의 입을 통해 과거 정권을 비판하고, 그 안에 현 정권의 모습까지 투영한다. “배우라먼 그리 생각할 수도 있겠쥬만….” “아짐씨야말로 착각 마시우. 배우들이 영화 속에서는 짐짓 멋지고 낭만스레 연기를 해도, 현실에서는 얼마나 영악하고 진짜 외계인처럼 사는지 모르시는구먼.” “실없는 소리 그만하시라요.” 나는 탁자 위의 찻잔을 들어 한 모금 마셨다. “아까 얘기로 돌아가죠. 물론 분단 이후 오랜 세월 동안 서로 많이 달라졌겠지만… 제가 볼 땐 북한 분들이 외국인만큼이나 멀리 느껴지진 않는데, 왜 남한 사람들이 외계인 같아 보였는지요?” 공산주의 나무 내가 말했다. “글쎄, 뭐랄까…. 한 가지 예를 들어, 자유로움은 좋지만서두 너무 지나치니까네 방종스러워 보이는 면도 있습데다. 물론 자유가 없는 것보단 낫겠지만 어느 정도 절제의 미덕이란 것두 있으니깐…. 거 왜 유명하신 도올 선생님두 참된
사람이 태어날 때부터 시간에 따라 존재했던 공간을 선으로 그려보면 어떨까? 산다는 것, 즉 삶은 시간과 함께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래서 삶은 시간과 공간이 만나는 선의 연속이라 할 수 있을 것 같다. 함수로 말하면, 시간이라는 X축과 공간이라는 Y축이 만나는 곳이 사람이 존재하는 곳, 바로 삶이라는 의미다. 만약, 어떤 사람이 감옥에 갇혀 있다면, 그 사람은 어느 시간대나 항상 같은 공간에 있음으로 함수 ‘Y=a(상수)’로 표현할 수 있고, 식물인간 상태로 있다면, 어느 공간에 있더라도 시간이 멈춘 상태에 있음으로 함수 ‘X=a(상수)’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학의 함수는 Y=aX+b(a≠0) 형태의 1차함수와 Y=aX²+bX+c(a≠0) 형태의 2차함수, 그리고 3차함수 등이 있어, 1사분면에서 4사분면까지 전 영역을 통해 표현된다. 그러나 시간이라는 X축과 공간이라는 Y축으로 표현되는 삶의 함수는 원점(0,0)을 기점(출생)으로 시작하는 함수고, 매우 불규칙적으로 1사분면 영역에서만 존재하는 특별한 함수다. 수학의 함수는 두 개의 변수 X, Y 사이에서, X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값이 변하는 데 따라 Y의 값이 종속적으로 정해질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