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5.09 13:48
여러분은 혹한의 겨울을 홀로 견뎌야 한다면 어떻게 하실 건가요? 눈을 감으면 얼어붙고, 잠들면 다시는 깨어나지 못할지도 모릅니다. 생존을 위해 우리는 끝없는 싸움을 벌여야 합니다. 자연 속에서 잠들지 않기 위해 몸부림치는 생명체들의 극단적인 생존법을 소개합니다. 1. 북극곰: 얼음 위에서 깨어 있기 북극곰은 혹한의 북극서 살아남기 위해 독특한 생존 전략을 사용합니다. 북극곰은 먹이가 부족한 겨울철에도 최대한 움직이며 체온을 유지하려 합니다. 하지만 먹잇감이 없는 기간이 길어지면, 활동량을 줄이고, 심지어 반(半)동면 상태에 들어갑니다. 일반적인 동면과 달리, 체온을 크게 낮추지 않고 깨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죠. 만약 깊은 잠에 빠진다면, 에너지 소비가 증가해 굶주림에 더 빨리 직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알래스카 다람쥐: 영하 3도서 깨어나는 비밀 알래스카 다람쥐는 혹독한 겨울 동안 동면에 들어갑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동면과는 다릅니다. 체온을 영하 3도까지 낮추면서도 완전히 얼어붙지는 않습니다. 이 과정이 없다면 혈액이 얼어 조직이 파괴될 수도 있기 때문이죠. 스스로를 냉동과 해동 사이에서 조절하는 능력이야말로 다람쥐가 혹한을 이겨내는
수능을 앞둔 지금, 혹시 수면 시간을 줄여가면서 공부하고 있나요? 유튜브나 인터넷에 검색해 보면 상위권 대학에 합격한 선배들이 보통 ‘6~7시간 정도 규칙적으로 잠을 잔다’는 장면이나 글을 많이 볼 수 있는데요. “저 사람들은 원래 머리가 좋은 사람들이니까, 저렇게 잠을 자도 괜찮은 거 아냐?”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충분한 수면 시간과 패턴을 갖는 것이 공부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지금부터 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간은 살아가면서 언제나 잠과 함께했습니다. 과학이 발전하면서 뇌와 잠에 관한 연구 또한 활발해졌는데요. 그 결과, 수면은 다섯 단계로 나뉘고, 이 단계들이 90~120분 사이 주기로 반복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여기서 얕은 수면 상태와 깊은 수면 상태를 합쳐서 ‘비렘수면 상태’라고 합니다. 이 상태에서 우리의 뇌세포는 노폐물을 청소합니다. 그렇다면 뇌 속에 남아있는 노폐물을 청소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처음에는 사물과 사람을 착각하고 이후에는 정신분열 증세와 방향감각 상실, 운동능력 소실 등 다양한 증상이 발생합니다. 실제로 미국의 ‘랜디 가드너’라는 고등학생이 264시간(약 11일)을 안 자고 버틴 실험을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