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4.15 16:40
[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와 관련 전남도가 국비 460억원을 투입해 무안국제공항 인근에 추모공원을 건립하겠다고 밝혀 타당성 논란이 일고 있다. 참사의 원인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상황서 성급하게 국민 세금을 투입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지난 6일 전남도청 브리핑룸서 “무안국제공항 인근에 460억원을 투입해 7만㎡ 규모의 추모공원 조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추모탑과 유가족을 위로하는 숲과 정원, 방문객 센터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이를 두고 정치적 목적이 개입된 것 아니냐는 의혹과 함께 실효성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당초 무안공항 자체도 ‘정치 공항’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곳이다. 지난 1999년 IMF 외환위기로 항공 수요가 불확실한 상황서도 ‘서남권 거점 국제공항’이라는 명목으로 무안국제공항 건설이 추진됐다. 하지만 당시 실세 정치인의 지역구라는 점서 ‘정권의 입김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무안군은 김대중 전 대통령(DJ)의 최측근이었던 한화갑 전 의원의 지역구(무안·신안)였으며, DJ 고향(신안군 하의도)과도 가까운 곳이다. 무안공
탑승객 181명 중 부상 2명, 사망 179명. 제주항공 여객기 추락으로 대형 인명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역대 발생한 국내 항공기 사고도 재조명되고 있다. 이륙 후 3분·착륙 전 8분을 ‘마의 11분’으로 부를 정도로 이착륙 사고 발생 위험이 크다. 실제 이와 관련된 사고가 적지 않게 발생했다. <kangjoomo@ilyosisa.co.kr>
2024년 12월29일 오전 9시 3분경, 제주항공 2216편이 태국 방콕 수완나품 공항서 출발해 전남 무안군에 위치한 무안국제공항으로 착륙 도중 불명의 이유로 사고가 일어나 179명이 사망하고 2명이 중상을 입었다. 2024년의 마지막 날인 12월31일,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희생자 합동분향소가 서울시 본관 정문 앞에 설치돼 오는 4일까지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된다. 합동분향소 공식 운영 시각은 매일 오전 8시부터 오후 10시까지다. 분향소 주변에 경찰 인력을 배치해 시민의 안전과 질서 유지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추운 날씨에도 합동분향소를 찾는 시민들의 발길은 끊어지지 않고 있다. 촬영·편집: 추치원 <cldnjs0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