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상in <일요시사TV> ‘긍정 VS 부정’ 어떤 사고방식이 생존에 유리할까?
여기 컵이 하나 있습니다. 컵에는 정확히 반만큼의 물이 담겨 있죠. 그런데 이걸 바라보는 사람마다 전혀 다르게 반응합니다. “물이 반이나 남았네.” 낙관적 시각입니다. 아직 남은 자원에 주목하죠. “물이 반밖에 안 남았잖아…” 비관적 시각입니다. 다가올 결핍에 대비하려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야! 야! 갖다 쏟아버려!” 이것은 ‘명수적 사고’라 부르기도 하죠. 오늘 우리가 진지하게 고민할 문제는 따로 있습니다. 긍정적인 사고와 부정적인 사고, 과연 둘 중 무엇이 더 생존에 유리할까요? 여기 두 명의 탐험가가 있습니다. 그리고 사막 한가운데 고립됐습니다. 남은 식수는 단 두 병. 구조 신호가 닿기까진 이틀. 뜨거운 태양과 극심한 탈수 위험. 민수: “최악이야. 최대한 움직이지 말고, 물도 아껴. 열 손실을 줄여야 해.” 태훈: “괜찮아. 구조대가 올 거야. 우리가 해낼 수 있어.” 민수는 철저히 위험 중심적 사고, 태훈은 철저히 희망 중심적 사고로 상황을 대처합니다. 둘 중 누가 살아남을 확률이 높을까요? 그리고… 둘 중 누가 더 ‘지금 이 순간’을 견뎌낼 수 있을까요? 이제 뇌 과학과 진화심리학의 렌즈로 들여다보죠. 인간의 뇌는 200만년 전부터 지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