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경제팀] 양동주 기자 = 한때 가구업계를 호령하던 보루네오가구가 부진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법정관리를 졸업한 건 위안 삼을 일이지만 안팎으로 산재한 악재를 풀어가는 건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근래에 연이어 불거졌던 경영권 분쟁이 향후 보루네오의 향방을 가늠하는 나침반이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보루네오가구는 최근 몇 년간 힘겨운 시기를 보냈다. 가정용가구 시장 내수 침체라는 직격탄를 맞은 까닭이다. 법정관리 졸업이라는 낭보와 별개로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대비 42% 급감한 541억원에 불과했고 해를 넘기도록 뾰족한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까지 68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데다 당기순손실은 전년동기대비 2배 가량 급등한 69억원에 이른다. 회사 재건에 속도를 내는 것과 별개로 아직까지 안정국면을 논하기엔 무리가 따른다.
아 옛날이여
특히 경영권을 둘러싼 미묘한 기류는 보루네오가구를 향한 미심쩍은 시선을 뒷받침한다. 지난 9월 보루네오가구는 김환생 전 삼우산업개발 사장을 신임 대표이사로 맞이했다. 표면상 신임 대표를 구심점으로 경영정상화를 꾀한다고 해석할 수 있는 사안이다.
문제는 보루네오가구 경영진 교체가 납득하기 힘들 만큼 빈번했다는 점이다. 최근 2년 새 여섯 번이나 대표 교체가 이뤄졌고 전임 송달석 대표 역시 9개월 만에 김 대표에게 바통을 넘겼다. 송 전 대표는 지난해 12월 안섭 전 대표와 함께 각자대표를 맡은 데 이어 올해 3월부터 단독으로 대표직을 수행한 바 있다.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2012년 6월 빈일건·안섭 각자대표체제에서 2013년 5월20일 안섭 대표체제로, 이틀 뒤인 22일에는 안섭·김보경 각자대표로, 8일 후인 30일에는 다시 안섭 대표체제로 돌아갔다.
보루네오가구의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진두지휘했던 송 전 대표의 갑작스런 퇴진 이유는 정확히 밝혀진 게 없다. 동양화재해상보험, 메리츠화재보험에서 임원을 거쳐 메리츠금융서비스 대표를 역임한 금융전문가였던 그는 취임 후 일부 사업을 과감히 정리했다. 100억원이 넘는 규모의 유상증자도 성사시켜 보루네오가구의 자금난을 해소하는 데 일조했다. 재임 기간 동안 임원의 약 절반이 바뀌고 총 직원수는 20% 이상 줄어드는 등 체질 개선에도 공을 세웠다.
내수침체 직격탄 실적 곤두박질
경영권 둘러싸고 미묘한 기류도
이런 상황에서 송 대표가 물러나자 다시금 경영권 분쟁 논란이 불거졌다. 특히 지난 9월 소액주주 8명이 회사를 상대로 주주총회개최금지가처분 소송을 제기하면서 보루네오가구의 경영권 분쟁은 본격적으로 부각되는 양상이다. 소액주주 8명은 이사진 전면 교체를 요구하는 반면 보루네오가구는 부분적인 신규 이사 선임을 추진 중이다.
그 사이 경영권 분쟁은 장기화될 조짐마저 보인다. 주주총회개최금지가처분 결정이 받아들여지면서 지난 3일 예정됐던 임시주총은 무산된 지 오래다. 당초 보루네오가구 측은 임시주총에서 신규 이사 5명의 선임 건을 논의하고 소송을 제기한 소액주주들과 이견 조율을 할 예정이었다. 보루네오가구 측은 인천지방법원에 주주총회개최금지 가처분 결정에 대해 이의제기를 한 상태고 임시주총은 기약 없이 미뤄졌다.
업계와 전혀 접점이 없던 신임 대표의 지난 이력 역시 경영권 논란을 확대시키고 있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김 대표는 보루네오가구에 오기 전까지 가구업계와 무관했던 인물이다. 그가 몸담았던 삼우산업개발은 1994년 설립된 이후 배전반 및 전기자동제어반을 제조해왔다. 지난해 매출은 약 32억원이다.
파리목숨 CEO
결국 자신을 바라보는 주변의 곱지 않은 시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라도 김 대표는 보루네오가구의 실적회복이라는 당면과제를 충족시켜야 하는 상황이다. 이를 위해서라도 김 대표에게 가장 시급한 것은 경영권 안정에 있다. 모든 악재의 근간은 경영권 분쟁에서 시작됐다고 봐도 무리가 없기 때문이다. 취임 직후 김 대표가 “경영권 분쟁을 공론화한 주주들을 언제든지 만날 준비가 됐으며 소통경영에 주력할 것”이라고 언급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djyang@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있으나 마나’ 에이스침대 이사회, 왜?
에이스침대 이사회가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다. 그간 이사회 구성원 변동이 간간히 이뤄졌지만 견제와 감시라는 기본적인 이사회의 임무는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다고 봐도 무방하다.
통상 이사회는 경영진에 대한 감독과 견제 기능을 맡는다. 상장사의 이사회는 주주들의 의견을 대변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에이스침대 이사회는 주주들의 의견을 충분히 전달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일단 구조 자체에서부터 제약이 따른다.
에이스침대 이사회 구성원과 그들의 지분을 살펴보면 의장인 안성호 에이스침대 대표이사의 회사 지분은 74.56%에 달한다. 안 대표의 아버지인 안유수 회장의 지분은 5%. 사실상 전체 지분의 80%가 두 사람에게 몰려있는 셈이다.
이런 경우라면 사외이사의 책무가 막중하다. 사외이사는 이사회가 독립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자유로운 의견 개진을 위해 대주주의 영향력을 받지 않는 전문가가 선출되는 게 일반적이다.
그러나 단 한명의 사외이사인 명승지 이사는 역할을 다하지 않고 있다. 실제로 명 이사는 지난 2002년 사외이사에 선임된 이후 10년이 훌쩍 넘도록 거수기 역할에 충실하다는 일부 소액주주들의 비난을 받고 있다. 대주주 일가에 유리한 결정을 내리는 데 반대하지 않고 있어 사외이사 제도의 취지를 반한다는 것이다.
이렇듯 총수일가의 뜻을 이사회가 반대 없이 받아들이는 사이 업계에서는 명 이사와 안 회장 사이에 보이지 않는 연결고리가 있다는 소문마저 떠돌고 있다. 만약 이 소문이 사실이라면 에이스침대 이사회는 구성에서부터 제 역할을 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명 이사가 선임된 2002년 당시 에이스침대는 결격사유가 없다고 공시했지만 의문은 쉽게 풀리지 않는 상황이다.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