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김정수 기자 = 일본의 한국 수출 규제 조치로 촉발된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반일감정이 뒤엉키면서 불매운동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불매운동의 불똥은 국내 기업으로 향하기도 한다. 소비자들의 오해가 이들을 ‘불매 리스트’에 올린 것이다. 당사자들은 하나같이 “억울하다”며 입을 모은다.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이하 한상총련)는 지난 15일, 기자회견을 통해 일본산 담배와 맥주를 시작으로 음료와 스낵, 소스류 판매까지 전면 중단을 선언했다. 한상총련은 “매출 감소를 무릅쓰고 일본 제품 판매 중단 운동을 벌이고 있는 것은 치욕의 역사를 잊지 않고 일본의 만행을 규탄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소비자들의 동참 아래 ‘가지 않습니다 사지 않습니다’ ‘독립운동은 못했어도 불매운동은 한다’ 등의 슬로건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리스트 올라
일본제품 정보를 소개하는 사이트들은 호황(?)이다. 최근 ‘노노재팬’이라는 이름의 사이트가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노노재팬은 단순히 일본 제품 정보를 알려주는 데 그치지 않고, 대체 상품을 소개해주고 있다.
토종기업들은 일제 불매운동으로 반사이익을 얻고 있다. 모나미가 대표적이다. 모나미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최대 수혜기업으로 꼽힌다. 모나미는 일제 불매운동이 터지면서 일주일 만에 문구류 매출이 553.7% 수직 상승했다.
반대로 ‘오해’를 사는 기업들도 있다. 일본 제품으로 잘못 소개된 경우다. 지난 5일 코카콜라는 “일본 불매 이슈와 함께 언급되고 있는 조지아 커피와 토레타는 일본산 제품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조지아 커피와 토레타는 한국 코카콜라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상품이다.
일본어 느낌이 강한 사명 때문에 오해를 받는 기업들도 있다. 60년 넘은 한국 토종 브랜드 도루코가 대표적이다. 도루코는 1955년 동양경금속이라는 이름으로 시작해 1960년 한일공업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이듬해부터 도루코라는 브랜드 이름이 유명해지면서 회사는 1979년 사명을 아예 도루코로 바꿨다.
카시트 시장 점유율 1위의 다이치도 비슷한 경우다.
다이치는 토종 기업이지만, 일본어 사명으로 일본 제품이라는 오해를 받는다. 다이치는 일본어로 ‘최고’라는 뜻이다. 다이치는 1981년 제일산업으로 시작해 자동차 제조업체에 부품을 납품하던 회사였다. 다이치는 이후 유아용 카시트 시장에 뛰어들어 1995년부터 개발에 착수했다. 다이치는 일본인 설계 고문을 영입, 일본 카시트 업체와 기술 제휴를 맺고 사명을 오늘날의 다이치로 바꿨다.
불매운동 일파만파, 소비자들 적극적
오해받는 기업들 “우리는 아니에요”
쿠팡과 다이소도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쿠팡은 손정의 회장이 일본 소프트뱅크서 자본을 유치했다는 이유로 불매 대상이 되기도 했다. 쿠팡은 “우리나라서 설립돼 성장했고, 사업의 99% 이상을 한국서 운영한다”고 해명했다.
다이소 역시 “외국인투자기업으로 분류되는 한국기업”이라고 선을 그었다. 다이소는 그간 ‘일본 다이소와 완전 별개’라며 여러 차례 강조했지만 일본 기업이라는 인식이 소비자들 사이서 남아있는 것으로 보인다.
세븐일레븐도 일본 기업으로 언급된다. 세븐일레븐은 미국서 시작됐지만 일본 슈퍼체인 이토요카도가 지분을 전량을 사들여 일본계로 분류된다. 그러나 한국법인인 코리아세븐은 일본 세븐일레븐이 아닌 미국 세븐일레븐과 계약해 1989년 설립됐다. 현재 지분은 롯데 일가가 대부분 보유하고 있다.
다이소와 세븐일레븐도 대주주는 모두 한국 기업으로 일본과 무관하게 독자 경영을 하고 있지만 SNS 등에서는 ‘불매 대상 일본 기업’ 카테고리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불똥은 편의점에도 튀었다. BGF리테일 운영의 편의점 CU는 일본 훼미리마트 브랜드를 빌려썼지만 2012년 라이선스 계약이 종료돼 한국 브랜드로 전환됐다. 훼미리마트 지분 25% 역시 2014년 주식상장을 통해 모두 정리했다. 현재 CU 지분의 절반 이상은 지주사 BGF와 특수관계인이 보유 중이다.
롯데그룹 역시 진땀을 흘리고 있다. 롯데는 그간 ‘한국 기업, 일본 기업’ 논란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19대 국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한국과 일본이 축구를 하면 한국을 응원하느냐’는 질문을 받았을 정도다. 롯데는 수년간 일본 기업 이미지를 벗기 위해 노력했지만 이번 일제 불매운동으로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전전긍긍
일본 기업과의 합작사가 언급된 것이 불매운동의 배경 중 하나로 작용했다. 롯데는 유니클로 한국 법인의 지분을 49% 보유하고 있다. 무인양품과 롯데아사히주류, 롯데미쓰이, 롯데캐논, 롯데JTB, 한국후지필름 등은 롯데와 일본기업의 합작사다.
<kjs0814@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일본 인연에 긴장하는 기업들
불매운동에 반일감정이 촉매제로 작용하면서 기업들의 과거 전력이 주목을 받고 있다. 포카리스웨트로 유명한 동아오츠카는 일본 오츠카 제약과 동아쏘시오홀딩스(동아제약그룹)가 각각 50%, 49.99%의 지분을 갖고 있다. 대표자 역시 한국인과 일본인이 나란히 맡고 있다. 단순히 일본 기업이라고 단정 짓기 어렵다.
다만 일본 오츠카제약이 과거 일본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국회의원을 간접 후원하면서 논란을 촉발, 동아오츠카 불매운동이 일기도 했다. 동아오츠카는 일본 오츠카제약에게 매년 배당금 등을 지급하고 있다.
지난해 초 남양유업은 일본 전범기업 제품을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 생산, 소비자들의 거센 비판을 받았다. 남양유업은 일본 모리나가제과의 ‘밀크 카라멜 우유’를 생산했다.
모리나가제과는 지난 2012년 국무총리실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희생자 등 지원위원회가 조사한 299개 전범기업 명단에 이름을 올린 기업이다.
GS리테일도 한데 묶여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GS리테일이 해당 제품을 편의점 GS25를 통해 판매했기 때문이다. 논란이 일자 두 회사는 생산과 판매를 즉시 중단했다.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