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정치팀] 최현목 기자 = 국회는 의원 300명으로 구성된다. 의원은 국민들의 투표로 뽑힌다. 의원은 국민들을 대신해 국회서 정치를 한다. 그러나 국민들은 국회서 일어나는 일들을 속속들이 알지 못한다. <일요시사>는 국민들의 알 권리를 위해 ‘국회는 지금’이라는 제하의 연속기획을 준비했다.
여의도는 술 문화의 정수가 모이는 곳이다. 좋은 술 문화, 나쁜 술 문화를 가리지 않는다. 여의도 사람들의 나이, 성별, 직군, 계층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민의의 전당’이라는 수식어가 아깝지 않다.
술의 장인
5년 전만 해도 여의도에선 폭탄주가 대세였다. 의원실 보좌진과의 술자리에는 ‘폭탄주 제조의 장인’이 있기 마련이다. 황금 비율을 알고 있는 사람이다. 술잔을 가져간 장인은 소주와 맥주로 정성스레 폭탄주를 제조한다.
정량은 정해져 있지 않다. 장인의 취향과 경험이 정량을 결정한다. 한 술자리서 장인은 폭탄주 한 모금을 정량으로 잡았다. 초반에는 적응하기 힘들었다. 소주의 비율이 생각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이런 비율로 타야지 목 넘김에 좋다”는 것이 그 장인의 지론이었다.
소위 ‘꿀주’를 선호하는 장인도 있다. 99%의 소주에 1%의 맥주를 더하는 식이다. 빛깔이 황금색이라서 꿀주다. 맛도 꿀처럼 달다고 하는데, 보통의 소주와 큰 차이를 느끼지 못했던 기억이 난다.
장인은 제조법을 사사받는다. 보통 자신이 처음 일했던 의원실 보좌진 중 한 명이 스승이다. “18대 때 OOO 의원실 김보(김씨 성을 가진 보좌관의 줄임말)로부터 배웠다. 그 사람에게 배운 제자가 국회에 많다”는 식이다. 의원실 입사 후 첫 회식자리서 사사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장인은 제조뿐 아니라 분배도 담당한다. 술잔이 비면 장인은 잔을 수거해간다. 다른 사람들이 대화를 나누고 있는 사이 제조를 하고 원래의 자리로 술잔을 가져다준다. 그리고 “한잔합시다”라는 말과 함께 ‘짠’.
문득 많은 보좌진들이 폭탄주를 선호하는 이유가 궁금해진 적이 있다. 그래서 술자리 도중에 물어봤다. 2016년 겨울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여기 사람들은 왜 폭탄주를 좋아하는 거죠?” 이유는 다양하겠지만, 당시 함께 술잔을 비우던 보좌진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빨리 취하고 빨리 집에 가야지.”
여의도에는 ‘신데렐라’가 많다. 대중교통이 끊기는 시간이 마지노선이다. 체감상 자차를 이용하는 보좌진과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보좌진의 비율이 비등하다. 저녁에 술자리가 있으면 차를 놓고 출근하는 보좌진도 있다. 잦은 술자리만큼이나 대리비와 택시비도 부담이다.
보좌진·당직자와의 술자리는 예상치 못한 일로 파장이 날 때가 있다. 국회의원 또는 상급자의 급한 업무지시가 원인이다. 일대일로 술을 마시던 모 의원실 보좌진은 “미안하다”는 말과 함께 국회 의원회관으로 복귀했다.
모 정당의 당직자는 전화 한 통을 받고 “잊고 있던 서면준비가 있었다”며 급하게 중앙당사로 복귀했다. 앞사람에게 집중하면서 돌발상황까지 놓치지 않는 것이 여의도에서는 중요하다.
주량도 능력? 끝까지 긴장
마당발이면…선후배 소환도
여의도서 주량은 ‘능력’으로 통한다. 페이스를 놓치지 않으면서 상대방보다 덜 취해야 한다. 혹시 술에 취해 실수라도 하면 큰일이기 때문이다.
특히 보좌진들은 기자와의 술자리서 실수를 경계한다. 알고 지낸 지 얼마 되지 않은 기자라면 더욱 조심하게 된다고. 그래서 “술자리가 끝난 후 필름이 끊겼다”고 진술(?)하는 보좌진을 더러 볼 수 있다. ‘툭’하고 긴장의 끈이 풀려서다. 이 때문에 기자와의 술자리를 가지지 않는 보좌진도 상당수 있다.
안주를 결정하는 일은 어려우면서 중요한 일이다. 취향의 영역이라 결정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보통은 ‘종목’을 먼저 결정한다. 한식, 중식, 일식 또는 고기, 회, 찜, 탕 중 그날 어떤 것이 당기는지 고르는 식이다.
종목을 고르면 그다음은 일사천리다. 여의도서 해당 종목을 가장 잘하는 집을 가면 된다. 연예인 이영자씨의 ‘맛지도’처럼 엑셀로 정성스레 정리된 여의도 맛지도가 존재한다.
의원과의 술자리는 보좌진·당직자와의 그것과는 분위기부터가 다르다. 격식이 차려진 느낌이 크다. 그런 성향의 의원들과만 술을 마셨는지도 모를 일이다. 들리는 얘기로는 자유한국당의 모 의원은 동네 큰형님처럼 격식 없이 분위기를 리드한다고 한다. 마시는 사람과의 친밀도가 가장 큰 요인으로 사료된다.
여의도 술자리에서는 생각보다 일 얘기가 자주 오간다. 정보 교환이라는 원래 목적이 충실히 이뤄지는 셈이다. 연결고리가 국회뿐이라면 얘기의 주제는 거의 대부분 일 얘기로 흘러간다. 보좌진과 당직자로부터 가장 많이 듣는 질문이 “요즘 뭐 취재하고 있어요?” “이번 주 무슨 기사 썼어요?” 등이다. 이는 기자들끼리의 술자리서도 마찬가지다.
정치는 생물이라는 말이 있다. 여의도 술자리도 생물처럼 다변화한다. 세 명이서 시작한 술자리는 어느새 네 명, 다섯 명으로 늘어난다. ‘여의도 마당발’과 함께라면 더욱 그렇다. 근처에 있던 선배, 후배들을 소환한다. 분위기는 갑자기 명함을 주고받는 자리로 변한다.
변호도…
2017년 가을에 있었던 일이다. 대여섯 명이서 시작한 술자리는 몇 시간이 지나자 열 명 이상으로 늘었다. 분위기는 서서히 무르익어갔다. 그때 모 의원실 보좌진이 한마디 꺼냈다. “우리 영감(모시는 국회의원을 일컫는 여의도 은어) 그렇게 나쁜 사람 아닙니다. 욕을 많이 먹지만, 자기 사람 잘 챙깁니다. 언론서 이미지를 워낙 비호감으로 끌고 가서….” 때로 술자리는 자신이 모시는 의원을 변호하는 장으로 바뀌기도 한다.
<chm@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손학규와 연태고량주
바른미래당(이하 바미당) 이준석 최고위원이 같은 당 손학규 대표가 단식투쟁 결정 직전 술을 마신 상태였다고 주장했다. 자신에 대한 ‘음주 유세’ 의혹이 제기된 직후다.
앞서 바미당 임헌경 전 사무부총장과 노영관 부대변인은 4·3보궐선거 당시 이 최고위원이 술을 마시고 유세 차량에 올라탔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 최고위원은 지난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서 열린 임시 최고위원회의서 “이런 식으로 앞뒤 잘라서 인신공격할 것 같으면 나도 (손)대표님께서 나랑 연태고량주 드시고 음주상태로 긴급 의총에 가서 단식 결의하신 일이 없는지 대표직을 걸고 답하시라고 물어보면 된다”고 반격했다. <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