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재벌 금수저들의 ‘엘리베이터 승진’ 현주소

천방지축 황태자 설익은 주인 행세

[일요시사 취재1팀] 박호민 기자 = 제약업계의 3·4세가 대거 경영에 참여하면서 업계의 관심이 쏠렸다. 이른바 금수저라는 시각을 극복하고 경영성과를 도출해낼지에 관심이 집중됐다. 그들의 경영 성적표가 속속 나오고 있는 가운데 이들은 자신의 가치를 증명해내고 있을까.
 

▲ (사진 왼쪽부터)남태훈 국제약품 대표, 윤인호 동화약품 상무, 이상준 현대약품 대표

국내서 금수저 출신들이 가족 기업에 입사해 임원에 오르기까지 얼마나 걸릴까. <CEO스코어데일리>에 따르면 오너 일가가 임원으로 근무 중인 77개 그룹 185명의 승진 현황을 조사한 결과 입사 후 임원에 오르기까지 평균 4.2년의 시간이 필요했다.

2세 저물고
3·4세 시대

이들의 입사 평균은 29.7세, 임원 승진은 33.9세로 집계됐다. 일반 직원의 경우 임원 승진 평균 나이가 51.4세인 점을 감안하면 금수저 출신들의 경영인 승진은 일반 사원에 비해 17.5년이나 단축되는 셈이다.

제약업계서도 엘리베이터 승진이 이뤄지고 있다. 특히 제약업계는 다른 업권에 비해 연혁이 길다. 따라서 2세 시대가 저물고 3·4세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2월 현대약품은 이상준 대표이사 사장에 대한 인사를 단행하면서 3세 경영체제를 맞았다. 이한구 대표이사 회장이 대표직서 물러나면서 자연스러운 세대교체가 이뤄졌다. 이 대표는 현대약품 창업주 고 이규석 회장의 손자로 3세 경영인에 해당하는 셈이다. 이 대표는 동국대 독어독문과를 나와 미국 샌디에이고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졸업했다.
 


현대약품에 입사한 것은 2003년이었다. 그가 임원직에 오른 것은 2008년 상무에 오르면서다. 입사 5년 만에 ‘별’이 됐다. 2012년 미래전략본부장을 거쳐 지난 2017년 신규 사업 및 R&D 부문의 성과를 근거로 신규 사업 및 R&D부문 총괄 사장직에 올랐다. 현재 그는 김영학 사장과 공동 대표체제로 회사를 이끌고 있다.

그의 성적표는 어떨까.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3분기 별도 누적 기준 1010억2046만원의 매출액을 시현했다. 전년도 978억4228만원 대비 31억7817만원 상승했지만 수익성은 악화됐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4억6075만원인 전년 동기에 대비 6억5489만원이 감소했다. 경영 수장 1년차의 성적표로는 아쉬움이 남는 대목이다.

오너 일가 4년 만에 임원 승진
제약업계는 지금 세대교체 중

이 대표에 대한 승계 상황은 현재진행형이다. 회사를 장악할 만큼 확실한 지분이 없기 때문이다. 현대약품의 지분율을 살펴보면 이한구 회장이 17.88%로 최대주주 신분이다. 이 대표는 2대주주이긴 하지만 지분이 4.92%에 불과해 아직 회사에 대한 장악력이 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따라서 이번 현대약품 성적표는 아쉬움이 남는 대목일 수 있다.

일성신약의 경우 가족 세습경영의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일성신약은 현재 2.5세 경영 체제를 갖추고 있는 모양새다. 일성신약은 1954년에 설립돼 1985년 한국거래소에 상장했다. 윤병강 창업주 시대서 ‘윤석근’ 시대로 넘어간 뒤 그의 딸 윤형진 상무이사가 경영에 참여하고 있다. 윤석근 대표이사의 경우 3분기 기준 8.44%로 최대주주 신분이지만 윤 상무(1980년생)가 8.03%로 지분 차이가 크지 않은 상황이다. 

윤 대표의 동생은 윤덕근 상무이사로 재직 중이다. 특히 지난해 윤 대표의 두 아들 종호·종욱씨를 사내이사로 선임하면서 가족 경영체제를 공고히 했다. 가족 경영의 결과는 어떨까. 지난 3분기까지의 성과는 아쉬움이 남는다. 해당 기간 매출액은 453억6083만원으로 전년 511억8434만원 대비 58억2350만원 감소했다. 영업이익의 경우 16억1663만원으로 전년 22억7334만원보다 6억5671만원이 줄었다.

무리한 승계 한계?
불황 따른 결과?


국제약품도 남태훈 대표의 3세 경영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남 대표는 1980년생으로 창업주 고 남상옥 회장의 손자이자 남영우 국제약품 명예회장의 장남이다. 미국 메사추제츠 주립대 보스턴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그는 국제약품 계열사 효림산업을 거쳐 2009년 국제약품 마케팅부 과장으로 부친 회사에 입사했다.

이후 기획관리부 차장, 영업관리부 부장을 역임했다. 이후 영업관리실 이사대우를 거쳐 2013년 판매총괄 대표이사 부사장에 오르면서 경영 전면에 등장했다. 4년 만의 부사장 진급은 동종업계서도 상당히 빠른 축에 속한다는 평가다.
 

그의 체제 아래서 국제약품은 비교적 고른 성장세를 기록했다. 최근 3개년 매출을 살펴보면 2015년 1176억원, 2016년 1206억원, 2017년 1233억원의 매출을 시현한 것.

그러나 국제약품이 리베이트 논란에 휘말리면서 이 같은 호성적은 빛이 바랬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 10월 국제약품은 2013년 1월부터 2017년 7월까지 4년간 전국 384개 병·의원 의사에게 42억8000만원 규모의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를 받았다. 경기남부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남 대표를 비롯해 이들로부터 리베이트를 수수한 의사 등 관련자 총 127명을 입건했다.

경찰 조사에 따르면 이들은 영업직원들에게 특별상여금이나 지원금, 출장비 등을 예산으로 처리해 영업부서에서 실비를 제외한 지급금을 회수하는 수법을 통해 자금을 모았다. 조성된 자금은 의사 등에게 리베이트 형식으로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교롭게도 올해 매출마저 감소하면서 그의 경영능력에 의문부호가 찍힐 전망이다. 지난 3분기 누적 연결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875억5955만원, 27억1921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8억1462만원, 2억1944만원 감소했다. 향후 그의 경영자로서의 능력에 의심이 따라다닐 것으로 예상되는 대목이다.

수장되자 적자 행진
리베이트 사건 빵빵

동화약품은 올해 4세 경영 체제에 시동을 걸었다. 동화약품은 지난 신년인사를 통해 윤인호 이사를 상무로 승진시켰다. 윤 이사가 입사한 지 4년 만에 상무로 진급한 것이다. 윤 이사는 미국 위스콘신 메디슨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2013년에 동화약품에 합류했다. 재경·IT실 과장을 거쳐 이듬해 중추신경계팀 차장, 2015년 전략기획실 부장, 2016년 전략기획실 생활건강사업부 이사 등으로 입사 후 매년 진급했다.

이로써 동화약품은 4세 경영인 시대로 넘어가고 있는 모습이다. 윤 이사는 기업 내 오너 체제를 처음 갖춘 윤창식 명예회장의 증손자다.

다만 승계를 위한 지분 정리는 이제부터 시작이다. 동화지앤피는 지주사격으로 동화약품을 지배하고 있다. 동화약품의 주요주주 지분율을 살펴보면 동화지앤피가 지분 15.22%로 최대주주 신분이다. 윤 회장은 5.18%를 가지고 있으며, 우호지분으로 분류되는 가송재단은 6.39%를 쥐고 있다. 윤 이사는 0.88%로 장악력이 높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윤 이사가 가지고 있는 동화지앤피의 지분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없다. 따라서 승계작업을 위해 경영능력 검증이 필수라는 분석이 나온다.

윤 이사가 상무에 오르고 매출은 성장세를 나타냈지만 수익성은 다소 아쉽다는 평이다. 지난 3분기 별도 누적 기준 매출은 2312억1644만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1920억2866만원 대비 391억8777만원 증가한 것. 다만 영업이익은 78억884만원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 111억3055만원보다 33억2170만원 뒷걸음질치면서 아쉬움을 남겼다. 


영업이익이 감소한 원인은 판관비 증가 영향이 컸다. 지난해 654억897만원의 판관비를 지출해 전년도 598억1625만원보다 55억9271만원이 증가했다. 따라서 영업과 마케팅 파트를 맡고 있는 윤 이사의 능력에 눈길이 쏠린다. 윤 이사는 향후 판관비 효용성 제고를 위해 고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신신제약은 2세 경영체제로 전환했다. 신신제약은 신년인사에서 이병기 이사를 대표이사로 선임했는데 그는 창업주 이여수 회장의 아들이다.

오너 일가의 승진치고는 1957년생인 이 대표의 나이가 적은 편은 아니다. 이 대표가 전자공학 관련 진로를 선택했기 때문이다. 이 대표는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 학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 미시간대학교서 컴퓨터공학 석사, 산업공학 박사 과정을 거쳤다. 이후 명지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한국학술진흥재단 책임전문위원과 대한산업공학회 이사 등을 맡았다.

이 대표의 회사 장악을 위한 지분율은 낮다. 오히려 이 회장의 사위인 김한기 부회장이 이 대표의 지분을 웃도는 상황이다. 신신제약의 지난 3분기 기준 지분구조를 살펴보면 이 회장이 25.6%로 최대주주 신분이다. 뒤이어 김 부회장이 12.6%의 지분으로 2대주주 신분이다. 이 대표는 3.6%로 김 부회장보다 9%p 적다. 재계에선 이 대표가 회사의 장악력을 높이기 위해 추후 어떤 행보를 보일지 주목하고 있다.
 

▲ 이병기 신신제약 대표(사진 왼쪽)와 허승범 삼일제약 부회장

신신제약의 지난 3분기까지의 누적 매출은 487억9140만원으로 전년 동기 476억4537만원 대비 11억4603만원 증가했다. 그러나 수익성은 악화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24억8247만원, 22억7466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2억4065만원, 6억8609만원 감소했다.

삼일제약은 허승범 삼일 부회장 체제로 굳혔다. 지난 7월 삼일제약은 최대주주가 허강 회장 외 8명에서 허승범 부회장 외 8명으로 변경됐다고 밝혔다. 허승범 부회장의 보유 주식수가 62만2926주(11.33%)서 72만8758주(11.21%)로 증가하면서 허강 회장의 지분율 9.95%(64만7052주)를 넘어섰다.


후계구도 
뒤바뀔 수도

허 부회장은 허 회장의 아들이자 고 허용 명예회장의 손자로 3세 경영인이다. 1981년생으로 미국 트리니티대학을 졸업, 지난 2005년 삼일제약 마케팅부에 입사해 회사에 합류했다. 이후 기획조정실장, 경영지원본부 등을 거쳤다. 2013년 3월 대표이사에 오르면서 경영 전면에 얼굴을 비쳤다. 이는 제약업계서도 최연소 수준의 대표이사 진급이다.

지난 2014년 3월 대표이사 부사장에 오르면서 경영 영향력을 넓혔고 같은 해 9월, 사장직을 꿰차면서 초고속 승진을 했다. 올해 부회장직으로 승진하면서 회장직 진급만 남겨두고 있는 상황이다.
 

경영인으로서 허 부회장은 지난해 악몽같은 한 해를 보냈다.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은 920억3781만원으로 전년도 967억5806만원보다 47억2025만원 감소했다. 특히 영업이익이 급감하면서 당기순손실로 전환했다. 영업이익은 13억701만원을 기록, 전년 동기 38억5328만원 대비 25억4627만원 감소했다. 그 여파로 2016년 8억8660만원이었던 당기순이익은 12억6656만원 당기순손실로 전환했다.

무리한 투자 수익악화
욕설 파문으로 아웃도

올해도 부진한 모습이다. 지난 3분기 누적 기준 712억483만원으로 전년 663억690만원 대비 48억4414만원 증가하는 데 성공했지만 당기손익뿐 아니라 영업이익마저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영업손실 37억6777만원, 당기순손실 55억8009만원 수준으로 집계된 것. 이에 따라 허 부회장의 경영능력에 의심의 시각이 불가피해진 상황으로 그가 어떤 카드를 내놓을지 관심이 쏠린다.

윤재승 대웅제약 전 회장은 구설에 휘말리면서 회장직서 물러나야 했다.

지난 9월 윤 전 회장의 욕설이 담긴 녹취록이 한 언론을 통해 공개됐다. 녹취록에 따르면 윤 회장은 직원의 보고가 마음에 들지 않자 “정신병자 XX 아니야. 이거? 야. 이 XX야. 왜 이렇게 일을 해. 이 XX야. 미친 XX네. 이거 되고 안 되고를 왜 네가 XX이야”라는 말을 쏟아냈다.

직원의 설명에도 “정신병자 X의 XX. 난 네가 그러는 거 보면 미친X랑 일하는 거 같아. 아, 이 XX. 미친X이야. 가끔 보면 미친X 같아. 나 정말 너 정신병자랑 일하는 거 같아서”라며 욕설 섞인 말을 했다.
 

당시 그의 형과 경영 후계자 자리를 놓고 치열하게 경쟁한 뒤 올라선 회장직이라 더욱 허무하다는 평이 뒤따랐다. 대웅제약의 창업자인 윤영환 명예회장은 슬하에 3남1녀를 뒀다. 윤 회장 위로는 첫째 형 재룡, 둘째 형 재훈 전 부회장이 있다.

지난 2009년 윤 명예회장은 1997년부터 12년간 대표이사직을 맡아 대웅제약을 이끈 윤재승 회장 대신 차남 윤재훈 전 부회장에게 회사 경영 전반을 넘기면서 차기 후계자로 낙점하는 듯했다. 

그러나 3년 후인 2012년 윤 명예회장은 윤 회장을 다시 대표로 앉히면서 후계자 자리는 윤 회장에게 돌아왔다. 재계에선 윤 전 부회장이 회사를 이끄는 동안 대웅그룹의 전체적인 실적이 부진한 것이 후계자 선택에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후 2년 뒤 2014년 9월 윤 회장이 공식적으로 회장직에 오르면서 회사를 이끌어왔다. 그러나 5년 만에 욕설 논란으로 회장직서 물러나게 되면서 경영인으로서 아쉬움을 남겼다.

경영 능력
시험대 올라

재계의 한 관계자는 “제약업계에는 최근 2세 경영인 시대를 넘어 3·4세 경영으로 접어들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업계 전반의 부진으로 이들 경영인들은 자신의 경영능력을 의심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