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재벌기업 오너 일가의 과도한 등기임원 겸직이 논란이 되고 있다. 겸직이 무분별하게 이뤄지면 해당 계열사의 자율경영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부정적 시선이 팽배한 탓이다. 반면 책임경영 강화 차원서 무조건 나쁘게 볼 필요가 없다는 주장도 있다.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공개한 국내 30대 그룹 상장·비상장사 등기임원 겸직 현황 조사 결과를 보면 2개 이상 회사에 등기임원으로 등재된 오너 일가는 총 51명이었다. 경영활동에 참여 중인 오너 일가 구성원 89명 가운데 절반 이상(57.3%)이 2개 이상 계열사 등기임원을 겸직하고 있다.
곳곳에 보이는
오너 일가 이름
오너 일가의 등기임원 겸직이 가장 활발하게 이뤄지는 곳은 GS그룹다. GS 창업주는 8형제를 뒀다. 고 허정구 전 삼양통상 명예회장, 고 허학구 전 LG전선 부회장, 고 허준구 전 GS건설 명예회장, 고 허신구 전 GS리테일 명예회장, 고 허완구 전 승산 회장, 허승효 알토 회장, 허승표 피플웍스 회장, 허승조 GS리테일 부회장이 이들이다.
GS그룹의 많은 후손은 등기임원으로 경영에 참여한다. GS 일가의 계열사 등기임원 등재율은 34.8%다. 30대 그룹 평균(21.1%) 대비 높다.
GS그룹 오너 일가 가운데 계열사 등기임원에 가장 빈번하게 이름을 올린 인물은 허광수 삼양인터내셔날 회장이다. 현재 허광수 회장은 ▲삼양통상 ▲삼양인터내셔날 ▲옥산유통 ▲켐텍인터내셔날 ▲보헌개발 ▲삼정건업 ▲지에스아이티엠 ▲경원건설 등의 등기이사로 등재된 상태다.
이외에도 허남각 삼양통상 회장이 5개, 허연수 GS리테일 대표가 4개 계열사에서 등기임원이다. 또한 허동수 GS칼텍스 회장이 3개, 허세홍 GS글로벌 대표가 3개, 허용수 GS EPS 대표가 3개, 허창수 GS그룹 회장이 3개 계열사에서 등기임원을 겸직하고 있다.
LS그룹 오너 일가는 4인이 등기임원을 겸직하고 있다. 구자용 E1 회장이 5곳으로 가장 많고 구자균 LS산전 회장, 구자엽 LS전선 회장, 구자은 LS엠트론 부회장이 3곳으로 동일하다.
LS그룹은 구태회 전 LS전선 명예회장의 아들인 구자홍 LS니꼬동제련 회장과 구자엽 LS전선 회장, 구자철 예스코 회장을 포함해 구평회 전 E1 명예회장의 아들인 구자열 LS 회장과 구자용 E1 회장, 구자균 LS산전 회장 등이 계열사 경영을 나누어 담당하는 ‘형제경영’ 체제를 이어가고 있다.
받는 돈이…
연봉 때문?
한진그룹에선 조양호 회장이 6곳의 계열사에서 등기임원으로 이름을 올렸고 조원태 대한항공 사장이 5곳, 조현민 진에어 부사장이 4곳서 등기임원직을 수행하고 있다. 조원태 사장과 조현민 부사장 모두 조양호 회장의 자녀다.
현대자동차그룹 역시 오너 일가 구성원 3명이 등기임원을 겸직 중이다.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이 5곳으로 가장 많았고 정몽구 현대자동차 회장과 정의선 현대자동차 부회장은 4곳의 계열사 등기임원직서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롯데그룹을 비롯해 효성그룹, OCI그룹, 금호아시아나그룹에선 등기임원을 겸직하는 오너 일가가 2명씩인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그룹에선 신동빈 회장(9곳)과 신영자 롯데장학재단 이사장(6곳)이 계열사 등기임원에 이름을 올렸다. 롯데그룹과 마찬가지로 효성그룹서도 조현상 사장과 조현준 회장이 각각 6곳의 계열사 등기임원이다.
OCI그룹 오너 일가 가운데 이복영 삼광글라스 회장이 4곳, 이화영 유니드 회장은 3곳의 계열사 등기임원을 겸직하고 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의 박삼구 회장과 박세창 사장은 각각 3곳의 계열사 등기임원이다.
이외에 하림그룹(김홍국 회장), LG그룹(구본준 LG 부회장), 영풍그룹(장형진 회장)은 등기임원을 겸직하는 오너 일가가 1명씩이다.
30대 그룹 오너 절반 이상 임원 직함 2개
나온 이름 또 나오고…장단점은?
30대 그룹 오너 일가 중 등기임원에 가장 많이 등재된 인물은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이다. 김 회장은 현재 ▲하림 ▲하림홀딩스 ▲팜스코 ▲팬오션 ▲하림식품 ▲농업회사법인익산 ▲엔에스쇼핑 ▲제일사료 ▲선진 등 12개 계열사에 등기임원으로 이름을 올렸다.
김홍국 회장에 이어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30대 오너 일가 가운데 등기임원 겸직 2위에 호명됐다. 신동빈 회장은 ▲롯데지주 ▲호텔롯데 ▲롯데쇼핑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에프알엘코리아 ▲롯데케미칼 ▲롯데제과 ▲롯데건설 ▲롯데칠성음료에서 등기임원에 이름을 올린 상태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을 비롯한 5명은 6개 회사에서 등기임원을 맡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을 포함한 4명은 5곳,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외 5인이 4곳에서 등기임원직을 겸직 중이다. 3곳의 계열사에서 등기임원에 이름을 올린 30대그룹 오너 일가는 구본준 LG그룹 부회장을 비롯한 10명이다.
오너 일가 구성원들이 계열사 등기임원에 겸직하는 것에 대해서는 찬반이 팽팽하다. 과도한 겸직은 해당 계열사의 자율경영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부정적 시선과 책임경영 강화라는 긍정적 시선이 교차하기 때문이다.
등기임원 겸직에 반대하는 가장 큰 주체는 국민연금이다. 지난해 국민연금은 주주에 올라 있는 상장사 정기주주총회에서 반대한 총 361개 안건에 반대표를 던졌다. 이 가운데 그룹총수의 사내이사 선임 안건도 다수 포함돼있다.
국민연금이 이사선임에 반대한 오너 일가는 신동빈 회장(롯데케미칼, 롯데칠성음료)과 조양호 회장(한진칼, 한진), 김홍국 회장(선진, 팜스코), 조원태 사장(한국공항, 한진칼, 한진) 등 4명이었다. 이들 안건은 연금의 반대표와 관계없이 모두 통과됐지만 해당 그룹들에겐 분명한 경고 메시지로 받아들여졌다.
겸직 두고
찬반 팽팽
올해 정기 주주총회서 국민연금의 등기임원 겸직에 대한 반대 입장은 명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총 600조원 규모의 연기금을 굴리는 국민연금은 투자한 기업의 주총 등에서 적극적인 의결권을 행사해 기업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장기 성장을 이끌어내도록 유도하는 기관투자가 의결권 행사 지침 ‘스튜어드십 코드’를 올해 안에 도입하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오는 3월 임기가 만료되는 30대 그룹 오너 일가 등기임원은 22명이고, 이 중 4명을 뺀 나머지 18명(81.8%)이 2개사 이상 겸직하고 있다. 이들에 대해서도 국민연금은 올해 주총서 반대표를 던질 가능성이 크다.
반면 그룹 총수의 원활한 경영을 위해선 다수 계열사 임원 겸직이 불가피하다는 반론도 나온다. 오너 일가의 계열사 임원 겸직 시 상근 여부, 적정한 보수지급 여부를 따져보는 게 먼저라는 것이다.
실제로 상장사 임원 보수 공개가 시작된 지 4년이 지났지만 재벌 총수 4명 중 1명의 연봉이 불투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회사인 지주회사나 주력 계열사의 등기임원으로 이름을 올리지 않고 있어 연봉 공개 대상서 제외됐기 때문이다.
2016년 사업보고서 기준 대기업집단 26곳의 총수 26명 중 7명은 지주회사나 주력 상장 계열사의 등기임원으로 등록돼있지 않았다.
7명은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 이재현 CJ그룹 회장, 이준용 대림그룹 명예회장,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 등이다.
등기임원이 아닌 총수들은 일선서 물러나 자녀가 실질적인 총수로서 역할을 하거나 회사에 상장사가 없는 경우 등이 해당한다. 이건희 회장은 아들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등기임원으로 등록돼있고, 이준용 명예회장의 경우 아들인 이해욱 대림산업 부회장이 등기임원이다.
현재 연간 5억원 이상의 보수를 받는 상장사 등기임원은 의무적으로 보수를 공개하게 돼있는데 미등기임원인 총수들은 대상서 제외된다.
여기저기서
직함 몇 개?
다만 올해부터는 이들 연봉도 공개될 것으로 보인다. 국회는 지난해 자본시장법을 개정해 '2018년부터 연봉 5억원 이상을 받는 상장회사 미등기임원과 직원이 회사 내 연봉 상위 5위 이내인 경우에는 보수 내역을 매해 반기마다 공개'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등기이사를 맡지 않고 연봉 공개를 피해온 총수 일가 역시 보수를 공개해야 한다.
재계 관계자는 “오너 일가가 계열사 등기임원을 맡는 경우 경영 의사결정에 직접 책임을 지는 책임 경영 강화라는 장점도 있다”며 “등기임원서 제외되면 오히려 불투명한 경영 환경에 대한 불만이 더 커질 것”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