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초역세권에 들어선 신축 집합건물서 갖가지 잡음이 불거지고 있다. 부실공사의 흔적이 곳곳서 발견되는가 하면 공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서 입주가 이뤄졌다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건설사와 건물관리업체는 긴밀한 입주민들의 불만을 외면하려 한다는 지적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지하철 9호선 양천향교역 랜드마크로 손꼽히는 '대방디엠시티1차'는 지난해 초 공급이 이뤄진 대규모 집합건물이다. 시행은 중소건설사, 시공은 대형건설사가 맡는 일반적인 형태와 달리, 총 1281호실로 구성된 대방디엠시티1차는 대방건설이 시행·시공을 모두 맡아 축조됐다.
속 빈 강정
A/S까지 고려할 때 입주자들이 안전성에 높은 점수를 준 건 당연했다. 하지만 입주 1년이 흐른 지금은 전혀 다른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복수의 입주민들은 건축공사가 지난해 5월까지 계속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공급이 이뤄진 1월전까지 끝났어야 할 공사가 사실상 입주가 시작된 이후까지 이어졌다는 것이다. 가장 피해가 컸던 건 저층 상가에 입주한 사람들이었다.
육중한 건설장비들이 상가 주요 길목을 점거했고 수개월 동안 상가 입주민들은 제대로 된 영업을 할 수 없던 까닭이다.
한 입주민은 “공급 날짜를 못 맞추게 되니까 부랴부랴 눈에 보이는 곳만 적당히 끝내고 입주시킨 채 세부 공사를 추가로 한 격”이라며 “상인들의 금전적인 피해는 이루 말할 수 없고 한동안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된 상태였다”고 주장했다.
이해하기 힘든 설계상의 문제점도 불거졌다. ‘EPS(Electric Power Saving, 건물의 일반전력 절전용 제어장치)’ 장치가 개별 상가 내부서 발견됐다.
EPS 장치는 중앙전력공급실(변전실)서 공급하는 전력을 각층 EPS실에 설치된 분기 분전함을 통해 각층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관계자외의 출입을 금하는 장소에 설치돼야 한다.
현재 건물 관리업체서 이 장치를 제어하려면 개인 소유 공간을 거쳐야 한다. 공동 배선 장비가 분양받은 개별상가 구역에 있었다는 건 설계 당시 이 구역에 대한 분양을 고려하지 않다가 추후 분양수익을 높이기 위해 설계변경이 가해졌음을 추측하게 한다.
입주자 입장에선 느닷없이 공간을 침해당한 꼴이다.
또한 1층 바닥에 모르타르 작업을 약속한 채 실제 공사에서 이를 생략하자 몇몇 입주자는 자비를 털어 모르타르 공사를 해야 했다. 이후 항의가 계속되자 대방건설은 작업 비용에 대한 보상을 약속했지만 200만원가량을 들인 상인들에게 회사 측은 10만원의 배상액을 내놓을 뿐이었다.
건물 곳곳서 드러난 부실 공사의 흔적이야말로 입주민들이 가장 우려하는 대목이다. 지난해 여름 대방디엠시티1차에서는 비가 새들어오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했다.
건물 내부에는 빗물이 심각할 정도로 들어찼고 심지어 엘리베이터는 물이 10cm 넘게 고이는 진풍경이 연출됐다. 공급이 시작된지 불과 6개월가량 지난 시점이었다. 한술 더 떠 최근에는 지하주차장 바닥 곳곳서 갈라짐 증상이 나타나고 있다.
대방건설은 입주민들의 A/S 요청을 받아들여 보수작업을 벌였지만 입주민들은 이마저도 미봉책에 불과했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한 입주민은 “신축 1년이 채 안 된 건물서 물이 새고 갈라지는 게 정상인가”라며 “물이 들어찬 엘리베이터의 경우 땜질 처방에 그쳤다. A/S 기간이 끝나면 똑같은 문제가 해마다 되풀이될 수밖에 없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마곡지구 랜드마크라더니…
1년도 안돼 여기저기 하자 흔적
최근에는 건물관리업체와 대방건설의 연결고리를 주목하는 입주자도 부쩍 증가하고 있다. 현재 대방디엠시티1차 관리업무는 D사가 맡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대방디엠시티1차의 ‘관리소장’으로 이름을 올린 구모씨가 구교운 대방건설 회장의 친인척으로 의심받는다는 사실이다.
통상 신축 건물은 A/S와 관련해 관리·감독을 관리소서 도맡는다. 이 과정서 관리업체와 시공사가 긴밀한 관계라면 주민들의 불만사안을 회피할 위험성이 도사린다. 이를 막고자 현행 집합건물법 제9조의3항에서는 분양자의 관리의무 등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다.
분양자에 의한 불법적인 관리인 선정과 관리소 파견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엄모씨가 해당 건물 관리의 총괄책임자이자 운영 전반을 대표하는 ‘관리인’ 직책에 이름을 올린 과정에 대해서도 물음표가 붙는다. 중요한 사안임에도 입주자들에게 충분한 고지 없이 관리인 선임이 통과됐고 이때부터 입주민들의 목소리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공교롭게도 대방디엠시티1차는 인근 주상복합건물들 사이서도 관리 수입과 운영 수입이 높은 축에 속한다. 게다가 대방디엠시티1차에서 매달 D사로 입금되는 금액만 약 1억원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이 가운데 70%가량이 인건비로 소비되고 있다.
속타는 입주자들
한 입주자는 “관리소장인 구씨는 대방건설 오너와 친인척이 확실시 되고 있으며 관리인 엄씨는 대방건설에서 손을 쓴 인물이라는 게 공공연한 소문”이라며 “엄청난 월급을 받으면서도 건설사에 대한 입주민들의 성토를 제대로 알리려 하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djyang@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대방건설은 어떤 회사?
아파트 건설 및 도급공사업을 주목적으로 하는 대방건설은 경기도 고양에 거점을 둔 중견 건설사다. ‘대방노블랜드’라는 아파트 브랜드를 내세워 인지도를 높이고 있으며 최근 공공택지 입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등 전국 각지서 주택분양을 활발히 하고 있다.
1991년 설립된 광재건설을 모체로 하고 있으며 1998년 현재의 상호로 변경했다.
대방건설은 창립 25년만에 시공능력평가액 1조원을 바라보는 건설사로 성장했다. 2010년 시공능력평가 108위에 머물렀으나 2011년 30위나 순위가 상승하며 78위로 100위권에 첫 진입했다.
이후 2012년 62위, 2013년 58위, 2014년 53위 등 꾸준히 순위를 끌어올렸다.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