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신규 면세점들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백화점과 결합해 면세점을 운영한 업체들이 그나마 선방했다면 단독으로 면세점을 운영하거나 호텔과 결부시켜 면세점을 운영한 업체들은 저조한 성적표를 꺼내들었다. 서울 시내면세점 특허권을 노리는 현대면세점은 백화점과 면세점의 결합 시너지를 자신하고 있다.
현재 서울시내 면세점은 백화점(쇼핑몰)+면세점, 호텔+면세점, 단독 면세점 등 크게 세 가지 형태로 나뉜다. 이 가운데 백화점과 함께 들어선 면세점의 운영효율이 다른 형태의 면세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부터 새로 면세점을 연 대기업 신규 면세점서도 이 같은 경향이 두드러진다.
성공 보증수표
대기업 신규 면세점 4곳 모두 초기 적자를 내고 있다는 점은 이견의 여지가 없다. 다만 매출 면에선 뚜렷한 차이를 엿볼 수 있다. 신세계백화점 본점에 들어선 신세계면세점이 매출 면에서 단연 양호한 실적을 거둔 반면, 63빌딩에 면세점을 오픈한 갤러리아63면세점과 그룹 본사에 면세점을 연 두타면세점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지난 5월 개장한 신세계면세점 명동점은 최근 평균 하루 매출 약 22억원, 최대 매출 30억원대를 기록하고 있다.
한화 갤러리아면세점63은 지난 3분기 780억원(일평균 8억5000만원)으로 2분기보다 4%가량 증가한 매출을 올렸지만 영업적자는 131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51% 급증했다. 두타면세점은 올해 상반기에만 104억원의 매출로 서울 시내 면세점 가운데 가장 적은 매출을 기록했었다.
유통업계에선 백화점이 갖는 ‘집객효과’가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한다. 통상 백화점을 찾는 내국인이나 외국인이 워낙 많다 보니 백화점과 결합한 형태의 면세점 운영이 유리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면세점이 잡화 중심의 구성인데 반해 백화점은 식품·패션·F&B 부문이 중심이라는 점에서 상호 보완의 기능도 갖추고 있다.
실제로 롯데백화점 본점에 자리 잡은 업계 1위 ‘롯데면세점 소공점’은 백화점+면세점 형태로 운영된다. 백화점 4개층을 쓰는 롯데면세점 소공점의 올 3분기까지 누적 매출은 2조2000억원에 이른다.
이렇다 보니 이번 서울시내 면세점 특허 입찰에 롯데면세점 소공점과 유사한 전략을 들고 나온 현대면세점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대면세점은 무역센터점 3개층(8~10층)을 리모델링해 특허면적 1만4005제곱미터(4244평) 규모의 면세점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7월, 서울지역 시내면세점 특허 심사 당시 계획했던 면적(2개층, 1만2000제곱미터)보다 약 17%가량 늘어난 규모다.
더욱이 무역센터점은 국내 최고 수준의 식품관을 갖추고 있다. 면세점 특성상 유치가 어려운 F&B 상품군이 동일 건물 안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식도락을 중시하는 최신 관광객 트렌드에 효과적으로 대처 가능하다.
백화점은 공연장, 식당가, VIP 고객 중심의 서비스 시설 등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면세점을 이용하는 관광객들에게 일반 면세점과 차별화된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는 강점도 있다.
입증된 시너지 효과
현대면세점 관계자는 “유통업계서 유일하게 문화공연 전담 조직을 운영하는 현대백화점은 국내 최고수준의 문화콘텐츠 개발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며 “이를 활용해 다양한 한류문화공연을 선보일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