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국내 대기업들이 한 발 빠른 정기 인사 단행을 예고하고 있다. 새해를 앞두고 이뤄지던 인사 시기가 두 달 이상 빨라진 기업들도 보인다. 대대적인 ‘물갈이’가 이뤄질 가능성을 점치는 목소리마저 나온다.
지금껏 대기업 정기 인사는 매년 12월에 단행되는 게 일종의 관례처럼 여겨졌다. 그러나 올해 분위기는 예년과 확실히 다르다. 예상에 없던 조기 인사 바람이 곳곳에서 감지되는 까닭이다. 연말 정기인사의 척도가 되는 임원 평가시기를 예년보다 앞당겨 시행하는 모습도 곳곳에서 눈에 띈다.
얼른 끝내자
이 같은 기류의 최전선에 서 있는 곳이 바로 한화그룹이다. 지난 10일 사장단 인사를 단행한 한화그룹은 벌써부터 대변혁을 예고하고 있다. ‘불확실한 경영환경에 대한 기민한 대응’을 조기 인사 배경으로 꼽는다.
경영기획실장인 금춘수 사장을 부회장으로 승진시키고, ㈜한화(무역 부문), 한화테크윈(시큐리티부문), 한화63시티 등 다수 계열사의 대표이사를 교체한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17일 대표이사에서 사임한 최길선 회장을 대신해 강환구 현대미포조선 사장을 현대중공업 대표이사 사장으로 내정했다. 권오갑 사장을 부회장으로 전격 승진 발령하는 등 사장단 및 사업대표 교체 결정도 뒤따랐다. 이는 지난해 11월 초 사장단 인사를 단행했던 것과 비교하면 20일 정도 시기를 앞당긴 것이다.
현대중공업의 사장단 인사 키워드는 ‘세대교체’로 귀결된다. 최근 노조 파업 등의 악재로 내부 변화가 시급하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기존 '최길선-권오갑' 투톱 체제에서 '강환구-권오갑' 체제로 변화를 꾀한 것이란 분석이다. 내부서도 경영 정상화를 위해 3조5000억원 규모의 경영개선계획을 내놓는 등 각고의 노력에 나선 만큼 확실한 변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퍼졌던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과 현대자동차, SK그룹 등 재계 ‘빅3’의 인사 향방에도 업계 안팎의 관심이 쏠린다. 특히, 전례 없던 배터리 결함으로 최신형 스마트폰 '갤럭시노트7'의 판매중단을 선언한 삼성의 경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등기이사 선임과 함께 대규모 인적 쇄신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삼성그룹은 그간 ‘성과가 있는 곳에 보상이 있다’는 신상필벌 원칙을 고수해 왔다. 이런 상황에서 ‘갤럭시노트7’ 생산·판매 중지 이슈와 연관된 사업부문의 고위급 임원의 경우 ‘문책성 인사’를 피하기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판매 부진과 품질 결함이라는 이중고에 신음하던 현대차그룹에서도 변화의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 벌써 두 번 인사가 단행됐다. 장원신 해외영업본부장이 북경현대기차 총경리 자리로 보직을 바꾼 데 이어 지난 14일에는 이광국 현대워싱턴사무소장 전무가 국내영업본부장(부사장)으로 승진했다. 기존 임원에 대한 문책이었다는 평가가 뒤따랐다.
대기업 인사 앞당겨 물갈이 가능성↑
신상필벌 내세워 위기탈출 플랜 시동
12월 말에 실시하는 정기 인사 이전에 핵심 임원의 보직 변화가 몇 차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내수 부진 극복을 위해 새로운 인사 배치와 품질 결함 수습을 위한 조직 개편도 예상된다.
SK그룹도 유력한 조기 인사 후보군으로 꼽힌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현재 경영 환경을 전쟁에 준하는 비상 상황으로 언급하고 있다. 최 회장은 지난해 경영에 복귀하면서 큰 변화를 주지 않았지만 올해는 다르다.
최 회장은 책임 경영을 선언하며 2년 만에 등기임원으로 복귀했고, 변화와 혁신을 지속 강조해 왔다. 핵심 계열사를 포함, 사장단과 임원진 모두 대규모 인사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최 회장 경영 복귀 이후 별다른 인사 단행이 없었던 만큼 이번에는 인사의 폭이 넓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LG그룹과 롯데그룹 역시 조기 인사 흐름에 동행할 가능성이 높다. LG그룹은 스마트폰 사업의 부진과 LG화학과 LG생명과학 합병 등 사업재편 요소가 산재한 만큼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신격호 회장에 대한 검찰 수사로 혼란스럽던 롯데그룹은 어수선한 분위기를 쇄신해야 할 필요성이 감지된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그룹 내 세대교체가 한층 빨라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외에도 한진해운 법정관리 사태 등 힘겨웠던 한진그룹과 허창수 회장이 직접 나서 조직문화 쇄신 필요성을 강조한 GS그룹 역시 정기 인사에 적지 않은 변화가 예상된다.
칼바람 부나
재계 관계자는 “아직 인사 계획을 밝히지 않았더라도 조만간 대기업 다수가 쇄신을 앞세울 가능성이 높다”며 “위기와 변화를 강조하는 만큼 올해 인사는 일찍부터 눈에 띄는 변동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djyang@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막오른 ‘뉴삼성’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 27일 임시주주총회에서 등기이사로 선임됐다. 그동안 이 부회장은 삼성전자에서 부회장 직함만을 갖고 있던 이 부회장이 경영 전면에 나서게 됨을 의미한다. 등기이사에 오르면 의사결정 권한과 그에 따른 민형사상 책임을 져야 한다.
이 부회장의 입김이 사업 재편에 어떤 영향을 줄지 관심이 집중된다. 삼성전자는 프린터사업부를 HP사에 매각한데 이어 컴퓨터사업부도 정리할 수 있다는 소문이 무성하다. 반면 이 부회장이 직접 챙기는 자동차 전자장치(전장) 사업, 바이오, 사물인터넷(IoT) 등은 탄력을 받을 수 있다. 지배구조 전환에 대한 궁금증도 증폭되고 있다. 법적 걸림돌과 막대한 비용에도 불구하고 이재용 부회장의 완전한 경영 승계를 위해선 삼성전자를 포함한 그룹의 지주사 전환이 불가피한 수순이다.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