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정치팀] 신승훈 기자 = 친박, 친노 등 친(親)정치가 십 수년째 지속되고 있다. 각 계파는 정권이 바뀌면서 부침을 겪기도 하고 정권을 쟁취하면서 계파를 강화하기도 했다. 최근 여권에서는 계파갈등이 최고조에 이르면서 분당설까지 나돌고 있다. <일요시사>는 대한민국 친(親)정치의 흑역사를 되돌아봤다.
지난 22일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는 친박(친 박근혜), 비박(비 박근혜)이라는 이름으로 구분 짓는 표현은 삼가달라고 요청했다. 친박은 주류, 비박은 비주류로 표현해 달라는 것이다. 정 원내대표는 비박이라는 표현이 자칫 박 대통령에 반대하는 뜻인 반박(반 박근혜)으로 오해를 살 수 있다고 했다.
패거리정치 현상
최근 새누리당이 계파 갈등이 최고조에 달하며 분당설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정 원내대표의 발언은 계파 간 갈등 구도를 타계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하지만 근래의 한국 정치는 대통령 또는 대선 후보에 대한 지지 여부에 따라 계파를 구분 짓는 현상이 팽배했고, 일각에서는 이 같은 현상을 패거리정치라고 치부하기도 한다.
1인 권력자에 기대는 친노(친 노무현)-친박 구분 전에는 과거 동교동(김대중 전 대통령 계열), 상도동(김영삼 전 대통령계)와 같이 정치적 이해관계가 같은 정치인들이 파벌을 형성해서 당권 경쟁에 많이 이용돼 왔다. 이후 정치인들이 파벌을 형성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권력자와 생각과 정치적 이념을 같이한다는 뜻의 친(親)정치가 새롭게 시작됐다.
현재 국내 정치권의 계파는 여당의 경우, 박근혜 대통령을 중심으로 한 친박, 진박, 비박 등으로 구분 짓고 야당은 친노, 비노(비 노무현), 친문(친 문재인), 친안(친 안철수) 등으로 나뉜다. 전·현직 대통령의 성 앞에 친(親)을 붙여 부른 것은 친노가 처음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친노의 어원은 2002년 <조선일보>의 ‘말말말’에서 “민주당내 세력은 당시 노무현 후보에 대한 선호를 중심으로 친노, 반노(반 노무현), 비노로 구분하기로 한다”를 시작으로 생겨났다. 친박의 어원은 2007년 이명박 전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의 경선 과정에서 친이와 친박으로 구분된 것에서 유래된다.
친이와 친박은 대권 후보를 둘러싼 갈등을 빚기도 했다. 당시 친박계는 이 전 대통령과 관련된 BBK의혹에 대해 집요하게 파고들었다. 우여곡절 끝에 이 전 대통령이 대통령 후보로 나서면서 친이와 친박의 갈등은 봉합됐지만 이듬해 총선 공천을 앞두고 친이계가 주도한 공천에서 친박계 의원들이 무더기 탈락하는 이른바 ‘공천학살’이 이루어졌다.
당시 친박계 의원들은 무더기 공천 탈락하며 집단 탈당했고 공천학살에 반발해 탈당했던 친박계가 다시 국회로 입성하면서 친이와 친박의 갈등이 재점화됐다. 이후 박 대통령이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새누리당은 친박계가 득세하게 됐다.
새누리 내부 갈등 고조
더민주 친노주의 부활?
2008년의 공천학살을 재현하듯 2012년 총선에서는 박근혜 비대위 체제가 들어서면서 친이계가 총선 공천에서 무더기 탈락했다. 4·13 총선 공천 전까지만 해도 당내 주류인 친박 진영의 위세는 대단했다. 심지어 지난 2007년 이명박 대선 경선 캠프에서 활동하며 당시 경쟁 관계였던 박근혜캠프에 '창'을 겨누고 MB 정부 고위직까지 지냈던 한 인사는 계파 성향에 대한 질문에 거리낌없이 "당연히 친박으로 분류해 달라"고 할 정도였다.
20대 총선도 마찬가지로 친박계인 이한구 공천위원장을 중심으로 비박계 공천학살이 이루어졌다. 친이계 좌장이라 불리던 이재오·조해진 의원 등이 공천에서 탈락했고 박 대통령으로부터 ‘배신의 정치’라는 소리를 들었던 유승민 의원은 공천위와의 힘겨루기 끝에 결국 탈당하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그 결과 새누리당은 총선에서 패배했고 친박계와 비박계 간 갈등의 골은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깊어진 상황이다. 향후 당권과 대권이 남아 있는 만큼 친박-비박 간 갈등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당권 도전을 선언한 친박계 핵심으로 분류되는 이정현 의원은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서 "진박이네 친박이네 하는 계파를 완전히 초월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야 한다"면서 "그러지 않으면 도로 새누리당으로 돌아가게 된다"고 주장했다.
야당도 여당과 마찬가지로 친노로 인한 갈등이 수년 간 지속되고 있다. 2002년 친노는 노무현 전 대통령을 대통령 만들기에 성공하면서 본격적으로 세력화했다.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인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와 ‘좌희정 우광재’로 불렸던 안희정 충남지사, 이광재 전 강원지사, 유시민 전 장관과 한명숙 전 총리, 이해찬 의원 등이 친노의 핵심 인물로 부상하며 주류로 활약했다.
총선 전 ‘친 마케팅'
총선 후엔 ‘탈 계파’
정권을 잡은 친노 진영은 ‘대북송금 특검’을 벌여 호남세력과의 노선을 달리했고 특히 2004년 대통령 탄핵소추를 겪으면서 친노계는 부침을 겪었다. 이후 열린 17대 총선에서 당시 야당인 한나라당이 되레 '탄핵 역풍'을 맞으면서 친노계 중심의 열린우리당은 제1당에 오르게 된다.
후로 2007년 대선에 참패하면서 스스로를 ‘폐족’이라 칭했다. 이들은 다시 2년 뒤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기사회생했다. 하지만 2012년 총선과 대선의 패배로 친노는 책임론에 직면, 세가 위축됐다. 당시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 체제 붕괴 뒤 치러진 전당대회에서 문 전 대표가 당선되면서 친노는 다시 주류로 부상했다.
이번에 치러진 4‧13 총선에서 더민주는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와 호남유력 인사들이 대거 이동하면서 몰락의 위기에 빠지기도 했다. 하지만 친노는 김종인을 구원투수로 내세우면서 총선에 제1당의 지위를 되찾았고 더민주의 주류임을 재확인시켰다.
일각에서는 최근 친박-비박 간 갈등이 9년 전 열린우리당의 친노-비노 갈등과 닮았다고 평가하고 있다. 당시 친노는 비노를 향해 ‘당을 떠날테면 떠나라’고 엄포를 놓았고 현재 친박은 비박을 향해 ‘차라리 당을 떠나라’고 하고 있다. 당시 열린우리당은 해체되면서 정권 창출에 실패했다. 새누리당의 계파갈등은 내년 대선 정국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 다시 부각된 친노패권주의를 놓고 당 안팎에서 말이 많다.
노 전 대통령의 마지막 비서관 출신인 더민주 김경수 당선자는 “친노 세력이 정치권에서 계파로 큰 의미가 없어졌다”고 주장했다. 김 당선자는 한 라디오 방송에서 “노 전 대통령의 가치와 철학을 동의하고 좋아한다는 의미에서 친노라면 존재한다”면서도 “정치권에서의 친노 논란은 친노 프레임을 통해 이익을 얻고자 하는 정치세력에 의한 것이거나 흥미위주의 접근”이라고 말해 부정적 의미의 친노에 대해서는 반대했다.
계파, 언제 청산?
일각에서는 총선 전까지만 하더라도 친박-친노 마케팅을 앞세워 당선이 돼 놓고 이제 와서 ‘친박-친노는 아니다’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 정치 전문가는 “계파를 청산하지 않는다면 어느 때고 내분이 재연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쇄신의 걸음을 떼기 위해서라도 계파 청산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