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4.02 01:01
각종 예능프로그램서 활약 중인 김대호 아나운서가 결국 프리를 선언했다. 14년간 몸담았던 MBC를 떠나는 것. 벌써부터 전현무처럼 연 수십억원대 소득을 올리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고정 마이크를 놓고 방송계에 안착한 아나운서 출신 예능인들을 모아봤다. <parksy@ilyosisa.co.kr>
[일요시사 취재2팀] 김해웅 기자 = 김대호 아나운서가 14년 동안 몸담았던 MBC에서 퇴사했다. MBC 측은 지난 4일 “김대호 퇴사 절차가 마무리됐으며, 오늘 사표를 수리해 의원면직 처리했다”고 밝혔다. 아나운서국 아나운서1팀 차장으로 근무했던 그는 퇴사 후 본격 프리랜서의 길을 걸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대호도 이날 자신의 SNS에 “0204 이사”라는 글과 함께 사진을 게재하며 퇴사 사실을 알렸다. 그는 “돈 벌러 나갑니다. 내 인생에 변화가 찾아온 시점”이라고 적었다. 앞서 지난 31일, 김대호는 MBC 예능프로그램 <나 혼자 산다>(이하 <나혼산>)를 통해 퇴사 사실을 고백했던 바 있다. 그는 “2011년에 입사했으니 14년 정도 됐고 회사 생활을 열심히 한 건 자부한다”면서도 “일이 바빠지면서 힘도 들었지만 마흔이 넘었다. 지금 아니면 변화하지 못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내 인생서 가장 좋은 타이밍은 아니지만, 내 손으로 삶의 고삐를 당길 수 있는 마지막 타이밍(이라고 생각했다)”이라며 “지난 파리올림픽 중계를 거치면서 ‘회사에서 할 수 있는 건 다 했다’는 생각이 들었고, 마음이 편해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불안
[일요시사 취재1팀] 김민주 기자 = <일요시사>는 ‘일요신문고’ 지면을 통해 억울한 사람을 찾아 그들이 하고 싶은 말을 담고 있습니다. 작은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이겠습니다. 이번에는 직장 내 괴롭힘을 당한 한 직장인의 사연입니다. 폭언과 따돌림 등 ‘직장 내 괴롭힘’ 신고가 지난 한 해에만 1만 건이 넘게 접수됐다. 지난 4월7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접수된 직장 내 괴롭힘 신고는 모두 1만28건이다. 하루 평균 27.5건 꼴로, 전년보다 12% 늘었다. 직장 내 괴롭힘을 금지한 개정 근로기준법이 2019년 7월16일 시행된 후부터 근로자들의 피해 신고는 계속 늘고 있다. 2019년 7~12월 2130건서 2020년 5823건, 2021년 7774건, 2022년엔 8961건으로 증가했다. 승진하고… 도입 첫해 반년간의 신고 건수를 1년으로 단순 환산해 비교해 보면 5년 사이 신고가 2배 이상 늘어난 셈이다. 지난해의 경우 신고 유형별로는 폭언이 32.8%로 가장 많고, 부당인사가 13.8%, 따돌림·험담이 10.8% 등이다. 지난해 1028건의 신고 가운데 9672건의 처리가 완료됐고, 356건이 아직 처리 중이다. 처리 완료 사건 중 64
[일요시사 정치팀] 박 일 기자 = ‘위드 코로나’ 즉, 단계적 일상 회복으로의 방역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전국 보건소 역학조사 인력 증원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전국적으로 보건소 근무 인력의 퇴사율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시급한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은 14일, 보건소 근무자의 퇴사율이 코로나19(이하 코로나) 발생 이전에 비해 대부분의 지역에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고 밝혔다. 신 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4년간 보건소 공무원 퇴사율 현황에 따르면, 충북, 전남 등 다섯 지역을 제외하고 코로나가 발생한 2020년도의 퇴사율이 전년대비 증가했다. 또, 코로나 확산으로 보건소 업무에 과부하가 걸리기 시작한 지난해에는 전국적으로 470여명의 보건소 공무원이 퇴사했고, 휴직을 신청한 인원은 1730여명에 달했다. 퇴직자 비율이 가장 빠르게 늘어난 지역은 세종시로, 2019년 대비 약 2배 수준으로 증가했고 (1.2%→2.3%), 부산과 강원이 그 뒤를 이었다(부산 2.5%→4.5%, 강원 0.8%→1.4%). 코로나 팬데믹(대유행) 여파를 겪은 대구와 경기 지역의 퇴사율도 전년대비 약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