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8.15 01:01
[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올해 상반기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기 대비 2.1%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물가지표는 비교적 안정된 흐름을 보였지만, 일부 먹거리 물가가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며 물가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3일 통계청과 국가통계포털(KOSIS)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 소비자물가지수(2020=100)는 116.17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 오르는 데 그쳤다. 2022년 4.6%, 2023년 3.9%, 지난해 2.8%로 점차 낮아지는 추세를 이어가며, 상반기 기준 2021년(2.0%)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하지만 전체 물가지표는 상대적으로 안정됐음에도, 일부 먹거리 품목은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품목별로는 무가 54.0%로 가장 큰 폭으로 뛰었고, 보리쌀(42.0%), 오징어채(39.9%), 배추(27.0%), 김(25.1%) 등도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특히 올해 초부터 가격 인상이 이어진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도 각각 3.7%, 3.1% 상승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언급으로 이슈가 된 라면은 6.9% 오르면서 2023년 9월(7.2%) 이후 21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 밖에 김치(14
유난히 심했던 폭염으로 배추 가격이 폭등해 이른바 ‘금배추’가 됐다. 한 포기 가격이 2만원대를 넘어 시민들은 김장철을 앞두고 충격에 빠졌다. 정부는 중국산 배추를 대량 공급해 가격을 잡겠다고 밝혔지만, 적절한 해결책이 아니라는 목소리도 있다. 김장을 앞두고 있는 서민들 걱정이 깊어진다. 사진은 지난 25일, 서울 소재 한 대형마트에서 배추값을 보고 놀라는 한 시민의 모습. 글·사진=문경덕 기자 k13759@ilyosisa.co.kr
김장철이 다가오는 가운데 배추 가격이 상승하며 서민물가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최근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로 소금 가격까지 덩달아 오르며 절임배추 가격이 그야말로 ‘금배추’가 됐다. 김장을 앞두고 서민들 시름이 깊어진다. 사진은 지난 11일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배추를 고르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 글=고성준 기자 joonko1@ilyosisa.co.kr
배추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지난여름 폭우와 태풍 등 기상조건이 악화되며 고랭지 배추 작황이 타격을 입은 것이 배춧값 상승의 원인으로 보인다. 올해 김장을 포기하고 포장 김치를 구매하려는 시민들로 한 대형마트에서는 포장 김치가 품절되기도 했다. 배추 가격은 가을배추가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10월 말 전까지는 고공행진을 이어갈 듯하다. 사진은 지난달 26일 강원 춘천시 서면 일대 배추밭에서 농민들이 방제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 글·사진=고성준 기자 joonko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