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기획]'일감 몰빵' 기업 내부거래 실태 (75)하림그룹-한국썸벧판매-한국썸벧

  • 김성수 kimss@ilyosisa.co.kr
  • 등록 2012.11.05 10:29:25
  • 댓글 0개

엄청난 축산재벌…무더기 융단지원

[일요시사=김성수 기자] 기업의 자회사 퍼주기. 오너일가가 소유한 회사에 일감을 몰아주는 '반칙'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시민단체들이 귀에 딱지가 앉도록 지적해 왔지만 변칙적인 '오너 곳간 채우기'는 멈추지 않고 있다. 보다 못한 정부가 드디어 칼을 빼 들었다. 내부거래를 통한 '일감 몰아주기' 관행을 손 볼 태세다. 어디 어디가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 기획으로 정부의 타깃이 될 만한 '얌체사'들을 짚어봤다.

 

닭으로 유명한 하림그룹은 지난달 기준 총 62개의 계열사를 두고 있다. 이중 오너일가 지분이 있으면서 내부거래 비중이 높은 회사는 '한국썸벧판매'와 '한국썸벧'이다. 두 회사는 계열사들이 일감을 몰아줘 적지 않은 실적이 '안방'에서 나왔다.

지난해 560억 지원

1999년 설립된 한국썸벧판매는 동물용 의약품 제조업체다. 당초 동진제약에서 2010년 현 상호로 변경됐다.

문제는 자생력이다. 계열사들이 '힘'을 실어주지 않으면 사실상 지속이 어려운 형편.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분석 결과 매출의 80% 정도를 내부거래로 채우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통해 수백억원의 고정 매출을 올리고 있다.

한국썸벧판매는 지난해 매출 707억원 가운데 560억원(79%)을 계열사들과의 거래로 올렸다. 일거리를 준 곳은 하림(171억원)을 비롯해 팜스코(124억원), 제일사료(118억원), 제일곡산(60억원), 선진(46억원), 천하제일(23억원), 익산(7억원), HBC(6억원) 등이다.


그전에도 마찬가지였다. 하림(156억원), 제일사료(149억원), 팜스코(141억원), 제일곡산(79억원), 선진지주(56억원), 천하제일(44억원), 익산(6억원), HBC(5억원), 선진브릿지랩(3억원) 등 계열사들은 2010년 한국썸벧판매의 매출 788억원 중 640억원(81%)에 달하는 일감을 퍼줬다.

2009년의 경우 매출 557억원에서 내부거래로 거둔 금액이 477억원(86%)이었다. 하림(129억원)과 제일사료(99억원), 팜스코(96억원), 제일곡산(60억원), 선진지주(53억원), 천하제일(30억원), 익산(6억원), 선진브릿지랩(3억원) 등과 거래했다.

그전엔 내부거래 내역을 공시하지 않아 확인할 수 없다. 한국썸벧판매는 ▲2002년 148억원 ▲2003년 207억원 ▲2004년 234억원 ▲2005년 251억원 ▲2006년 260억원 ▲2007년 282억원 ▲2008년 355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한국썸벧판매는 계열사들을 등에 업고 거둔 안정된 매출을 기반으로 꾸준히 몸집을 키워왔다. 공시를 시작한 2002년 이후 단 해도 적자를 낸 적이 없다. 매년 영업이익은 20억∼70억원, 순이익은 20∼120억원을 올렸다. 총자산의 경우 2002년 106억원에서 지난해 765억원으로 9년 만에 7배 이상 불었다. 같은 기간 22억원이던 총자본은 364억원으로 무려 16배나 늘었다.

한국썸벧도 동물용 의약품 제조업체다. 닭, 돼지 등 동물들의 영양제, 항생제 등을 만든다. 2010년 한국썸벧판매에서 제조부문을 물적분할해 분리하면서 설립됐다.

매출 대부분 계열사서 올려…매년 수백억 거래 
김홍국 회장 100% 소유 "사실상 오너 개인회사"

한국썸벧은 설립 첫해 68억원의 매출을 냈다. 그런데 66억원(97%)이 한국썸벧판매(41억원), 제일사료(6억원), 팜스코(6억원), 하림(5억원), 제일곡산(4억원), 선진(2억원), 천하제일(2억원) 등 그룹 계열사에서 나왔다.


지난해엔 더 심했다. 거래 계열사들이 대폭 줄어든 반면 모회사와의 거래액이 급증했다. 한국썸벧은 지난해 내부거래 비중이 99%에 달했다. 총매출 275억원에서 한국썸벧판매 거래액이 273억원이나 됐다.

한국썸벧판매와 한국썸벧의 내부거래가 도마에 오를 수밖에 없는 이유는 오너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금감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한국썸벧판매는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이 지분 100%(20만4000주)를 보유하고 있다. 한국썸벧은 한국썸벧판매가 100%(20만주) 출자한 자회사다. 결국 두 회사 모두 김 회장이 소유한 사실상 오너의 개인회사인 셈이다.

전라북도 익산에서 태어난 김 회장은 11세 때 외갓집에서 병아리 10마리를 받아 키웠는데, 이게 바로 하림그룹의 시초가 됐다. 대학진학을 포기하고 양계사업을 시작한 김 회장은 익산농림고(현 익산대학) 재학 중인 1978년 18세에 자본금 4000만원으로 황등농장을 세웠지만 실패의 쓴잔을 마셨다.

영원사원까지 하며 재기를 노린 김 회장은 1986년 닭고기 전문업체 하림식품을 설립, 지금의 하림그룹을 일궈냈다. 사업 때문에 학업을 포기했던 김 회장은 1998년 호원대 경영학과를 나와 2000년 전북대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그러나 하림그룹을 바라보는 외부의 시선은 곱지만은 않다. 가축재해보험 강제 가입, 대출금 이자, 불공정한 상대평가, 사육비 관계, 수입닭고기 유통 등을 두고 전국의 양계 농가들과 갈등을 빚고 있다.

이 와중에 특혜 의혹까지 불거졌다. 지난달 농림수산식품부에 대한 국감에서 김재원 새누리당 의원은 "하림은 이제 단순한 닭 가공회사가 아니라 4개 지주회사와 58개 계열사, 매출액 3조1000억원에 영업이익만 2000억원을 상회하는 축산재벌기업이 됐다"며 "그런데도 이런 거대한 기업집단에 농림수산식품부가 지난 10년간 2016억원을 저리 융자해줘 하림의 배만 불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하림의 19개 농업회사법인 형태 계열사에 법인세 면제 등 각종 세제 혜택을 주고 있다"고 질타했다.

특혜 의혹 불거져

이 자리에선 김 회장과 한국썸벧판매도 언급됐다. 김 의원은 "김 회장은 자신이 지분 100%를 소유하고 있는 자본금 20억원짜리 한국썸벧판매를 통해 복잡한 순환출자 방식으로 많은 계열사들의 실질적인 경영권을 행사하고 있다"며 "김 회장의 보수는 10억원이 넘는다. 이런 회사에 2000억원이 넘는 융자금을 지원하는 게 말이 되냐"고 꼬집었다.

 

<한국썸벧판매·한국썸벧 기부는?>

받을 땐 '왕창' 나눌 땐 '찔끔'

 

하림그룹 계열사들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고 있는 한국썸벧판매와 한국썸벧은 기부를 얼마나 할까.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한국썸벧판매는 지난해 1120만원을 기부했다. 이는 매출(707억원) 대비 0.02%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2010년엔 매출(788억원)의 0.06%인 5000만원을 기부금으로 냈다. 557억원의 매출을 올린 2009년의 경우 단 한 푼도 기부하지 않았다.


한국썸벧은 지난해 고작 18만원만 기부했다. 매출(275억원) 대비 0.0007% 수준 밖에 되지 않는다. 2010년 기부금은 '0원'이었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변곡점’ 의정 갈등 엔드게임

‘변곡점’ 의정 갈등 엔드게임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구성원의 압도적인 지지로 당선된 수장이 반년 만에 끌려 내려왔다. 막말에 가까운 강한 발언과 제멋대로인 행보가 탄핵을 불렀다. 강성 수장이 물러나면서 변화를 기대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대화의 문이 열릴 것인가, 더 높은 벽이 쌓일 것인가.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 전 회장이 3년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탄핵당했다. 지난 5월 취임 이후 6개월 만으로 의협 역사상 2번째, 최단기간 내 불명예 퇴진한 회장이 됐다. 첫 번째는 2014년 4월 임기 1년여를 앞두고 탄핵당한 노환규 전 회장이다. 두 번째 최단기간 의협은 지난 10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서 임시대의원총회를 열고 임 전 회장의 불신임안을 처리했다. 참석 의원 224명 가운데 170명(75.9%)이 찬성했다. 반대는 50명, 기권 4명이다. 전체 대의원 249명 가운데 224명(91.1%)이 표결에 참여했다. 의협 정관에 따르면, 회장 불신임안은 제적 대의원 3분의 2 이상이 출석하고, 출석 대의원 3분의 2 이상이 찬성하면 가결된다. 지난 3월 임 전 회장은 선거서 유효 투표수 3만3084표 중 2만1646표를 받아 당선됐다. 65.43%의 압도적인 지지다. 의협 회장 선거는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발표로 의정 갈등 수위가 높아지고 있을 무렵에 치러졌다. 전공의가 병원을 떠났고 정부가 ‘2000명’을 강조하던 시기였다. 의협 회원들은 강성 중의 강성으로 분류되는 임 전 회장에게 힘을 실었다. 임 전 회장의 어깨에 너무 힘이 들어갔던 것일까? 임 전 회장의 언행은 사사건건 도마 위에 올랐다. SNS에 올린 글, 공식 석상서 했던 발언 등이 막말 논란으로 번졌고, 단식투쟁 등의 행보는 ‘쇼’라는 비판을 받았다. 무엇보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이하 대전협) 비대위원장과 갈등을 빚으면서 의료계 내부 분열을 조장한다는 지적이 뼈아팠다. 임 전 회장이 8개월 동안 보여준 모습은 고스란히 탄핵 사유가 됐다. 의협 회원 사이에서는 임 전 회장이 SNS로 막말과 실언을 해 의사단체의 명예를 훼손했다는 비판이 일었다. 또 ‘임 회장이 전공의 지원금을 빼돌렸다’는 허위 비방 글을 올린 시도의사회 임원에게 고소 취하 대가로 1억원을 요구한 사실이 녹취록을 통해 알려져 논란이 불거졌다. 특정 인물에 대한 수위 높은 비판은 여론의 역풍을 불렀다. 장상윤 대통령실 사회수석을 겨냥해 “정신분열증 환자 같은 개소리”라고 비난하는 글을 올렸다가 환자를 비하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임현택, 6개월 만에 탄핵당해 막말 논란·의대 증원 못 막아 또 2021년 한 의사가 80대 환자에게 ‘맥페란’ 주사제를 투여한 뒤 부작용이 나타나 기소된 재판에 대해서도 도 넘는 발언을 쏟아냈다. 이른바 ‘맥페란 재판’ 항소심서 판사가 1심의 금고 10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은 해당 의사의 항소를 기각하자 “이 여자 제정신입니까?”라는 글을 SNS에 올린 것이다. 임 전 회장의 발언에 법원은 이례적으로 “재판장의 인격에 대한 심각한 모욕일 뿐 아니라 국민의 신뢰를 크게 훼손할 수 있는 매우 부적절한 행동”이라고 공개적으로 유감을 표명했다. 의대 정원 증원 집행정지와 관련해 기각·각하 결정을 내린 재판장이 ‘회유’받았을 것이라는 주장으로도 입길에 올랐다. 서울고등법원 재판부가 결정을 내린 다음 날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재판장의 실명을 거론하면서 “지난 정권에서는 고법 판사들이 차후 승진으로 법원장으로 갈 수 있는 그런 길이 있었는데 제도가 바뀐 다음에는 그런 통로가 막혀서 이분이 아마 어느 정도 대법관에 대한 회유가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있다” 말했다. 서울고법은 법원 명의로 입장문을 내고 “해당 단체장의 아무런 객관적 근거가 없는 추측성 발언은 재판장의 명예와 인격에 대한 심대한 모욕”이라면서 “사법부 독립에 관한 국민의 신뢰를 현저히 침해할 수 있는 매우 부적절한 언사다.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여기에 결정적으로 정부의 2025학년도 의대 증원을 막지 못한 점, 간호법 제정을 저지하지 못한 점이 탄핵 사유로 꼽혔다. 임 전 회장은 총회를 앞두고 의사 회원들에게 사과하고 페이스북 계정을 삭제하는 등 재신임을 호소했지만 반전은 없었다. 회장을 탄핵한 의협은 비대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고 지난 13일 새로운 회장 선거 전까지 단체를 이끌 비대위원장을 뽑았다. 그 결과 박형욱 대한의학회 부회장이 1차 투표서 총 유효 투표수 233표 중 123표(52.8%)를 얻어 과반으로 당선이 확정됐다. 임기는 내년 1월 차기 회장이 선출될 때까지다. 뒤늦게 호소했지만… 박형욱 비대위원장은 “정부는 의료 파탄이란 시한폭탄을 장착해놨다”며 “정말 대화를 원한다면 정부는 먼저 시한폭탄을 멈춰야 한다. 그래야 진정한 대화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비대위원들의 합의에 기초해 입장과 행동을 결정할 것”이라며 “비대위 운영서 소외돼왔던 전공의들과 의대생들의 견해가 충분히 반영될 수 있게 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임 전 회장이 물러나고 새로운 비대위원장이 등장하면서 의협의 투쟁 방향에 변화가 생길 가능성이 커졌다. 일각에서는 의협의 이번 행보를 의정 갈등의 중요한 변곡점으로 보고 있다. 강성 회장을 필두로 정부와 강하게 대립했던 이전 모습서 벗어나 대화에 참여할 것이라는 의견과 이전보다 더 수위 높은 대정부 투쟁이 예상된다는 의견으로 갈리는 중이다. 후자의 배경에는 대전협이 있다. 앞서 박단 비대위원장 등 전공의 70여명은 전날 의협 대의원들에게 “비대위원장으로 박형욱 교수를 추천한다”는 메시지를 보내 공개 지지 의사를 드러냈다. 대의원회서도 박단 비대위원장의 공개 지지에 대해 경고하는 등 잡음이 일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대전협의 지지를 등에 업은 박형욱 비대위원장이 당선되면서 전공의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의협과 대전협의 공조가 본격화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문제는 양측의 교류가 정부와의 대화로까지 이어질 수 있느냐는 점이다. 박형욱 비대위원장은 당선 소감부터 정부의 태도 변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또 윤석열 대통령의 변화도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의정 갈등서 줄곧 선봉에 선 전공의들은 ‘의대 정원 증원 백지화’라는 요구사항서 앞으로도 뒤로도 움직인 적이 없다. 전공의의 행보는 의대생, 의대 교수 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향력 커진 전공의 단체 의료계가 전공의 중심으로 굴러가고 있는 셈이다. 실제 대전협은 지난 11일 출범했던 여야의정협의체(이하 협의체)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다. 협의체는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이 불참하고 의료계에서는 학술 단체인 대한의학회와 의대 학장 모임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만 참석하는 등 ‘반쪽 출범’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협의체의 운영 기한은 올해 말까지로, 다음 달 22~23일 전에 의미 있는 결과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태도다. 하지만 박단 비대위원장은 협의체에 대해 ‘무의미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협의체가 첫발을 뗀 11일 SNS에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는 전공의와 의대생, 당사자 없이 대화나 하겠다는 한가한 소리를 하고 있다”며 “한 대표는 2025년 의대 모집 정지와 업무개시명령 폐지에 대한 입장부터 명확히 밝히시길 바란다”고 일갈했다. 이어 “눈치만 보며 뭐라도 하는 척만 하겠다면 한동훈의 ‘여야의정 협의체’ 역시 임현택 전 의협 회장의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올특위)’와 결국 같은 결말일 것”이라고 우려했다. 올특위는 의료계의 입장을 하나로 모으기 위해 의협 주도로 구성한 범의료계 특별위원회다. 전공의와 의대생이 해당 위원회에 불참하면서 파행 운영되다 지난 7월 해체됐다. 정부는 협의체서 의료계가 제안한 내용에 대해 “진정성 있게 검토하겠다”는 견해를 밝혔다. 지난 11일 협의체서 의료계는 한국의학교육평가원 자율성 보장, 추가 합격 제한 등을 통한 2025학년도 의대 선발 인원 축소 등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윤순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지난 14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면서 “마주 앉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 만큼 활발한 대화와 소통을 통해 누적된 갈등을 해소하고 신뢰를 회복해 국민이 원하는 결과를 끌어낼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의협과 전공의 등 다른 의료계 단체의 참여를 호소했다. 박단 공개 지지 새 비대위원장 강경 투쟁이냐 VS 노선 변화냐 의료계 내부 상황은 크게 바뀌었지만 향후 상황은 여전히 ‘시계 제로(0)’ 상태다. 임 전 회장과 박단 비대위원장 간 갈등의 불씨도 여전히 살아있다. 대전협은 임 전 회장의 탄핵을 공개적으로 요청하는 등 ‘(임 전 회장과)같이 갈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밝힌 바 있다. 실제 대전협은 임 전 회장의 탄핵을 요청하면서 “이해와 소통이 가능한 새로운 회장을 필두로 의협과 대전협 두 단체가 향후 상호 연대를 구축할 수 있길 기대한다”는 입장문까지 냈다. 임 전 회장의 탄핵안 가결 직후 박 비대위원장이 “결국 모든 길은 바른 길로”라는 내용의 SNS 글을 올리기도 했다. 문제는 임 전 회장이 박단 비대위원장을 상대로 반격을 진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임 전 회장은 탄핵 사흘 만에 닫았던 페이스북 계정을 다시 열고 “박단과 그 뒤에서 박단을 배후 조종해 왔던 자들이 무슨 일을 해왔는지 전 의사 회원들에게 아주 상세히 밝히겠다”며 박단 비대위원장을 저격하는 글을 올렸다. 그러면서 “의협 대의원회 비대위원장과 의협 회장 선거가 더 이상 왜 필요한가”라면서 “박단이 의협 회장 겸 비대위원장을 맡아 모든 권한과 책임하에 의료 농단을 해결하면 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지해주셨던 모든 분에게 우선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유가 어떻든 회장 취임 전부터 탄핵하겠다고 마음먹고 있던 자들에게 빌미를 주어 넘어간 것 자체가 제 잘못”이라고 주장했다. 또 의협의 근본적인 개혁의 첫걸음으로 의협 대의원회 폐지 등을 내용으로 하는 민법상의 사원총회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원총회는 민법에 규정된 사단법인의 최고의사결정 기관이다. 의협 최고의결기구로 알려진 대의원총회보다 상위에 있고 정관의 규정으로 폐지할 수 없다. 사원총회는 이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우나 총 사원 5분의 1 이상이 회의의 목적 사항을 제시해 청구하는 경우 소집될 수 있다. 반격 시작 내부 갈등? 올해 2월 시작된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이 10개월째로 접어들었다. 온갖 말이 오갔지만 되짚어보면 조금도 좁혀지지 않은 평행선 상황이 계속되는 모양새다. 정부와 의료계의 대치 상황이 길어질수록 ‘의료 붕괴’는 가시화되고 있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이렇게 말했다. “이제는 정말로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jsj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