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봄철을 맞아 도시락, 김밥 등 배달 음식으로 인한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지난달 28일, 식품안전정보원서 배달 음식 프랜차이즈 업체와 간담회를 열고 대량 조리식품의 철저한 안전관리를 당부했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간담회서 최근 배달음식 식중독 발생 현황을 공유하고 조리 단계서 식중독을 예방하는 방법, 음식점 위생등급제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기온이 상승하는 봄(3~5월)에는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균에 의한 식중독이 많이 발생하고, 최근 배달 음식에 의한 퍼프린젠스 식중독이 증가하고 있어 철저한 식중독 예방 관리가 필요하다.
또 퍼프린젠스균 식중독은 음식점, 집단급식소서도 많이 발생하고 있는 만큼 식중독 예방 수칙 준수 등 식품접객업소의 위생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퍼프린젠스균은 육류를 주원료로 하는 조리 식품서 주로 발생하는데, 열에 강한 아포(Spore)를 만들어 살아남기 때문에 충분히 끓인 음식이라도 다시 증식할 수 있다.
식약처-프랜차이즈 업체 예방 간담회
음식점 위생등급제 활성화 방안 논의
이에 음식점, 집단급식소에서는 주요 도시락 반찬인 고기찜, 제육 볶음 등 육류 요리와 김밥을 대량으로 조리한 후에 보관 방법과 온도를 준수하고 즉시 제공해야 한다.
김성곤 식품안전정책국장은 이날 회의서 “대량으로 조리하는 배달음식은 취급에 부주의한 경우 집단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식재료 준비와 조리·보관·운반 등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며 “업계는 나들이철에 국민이 안심하고 식품을 소비할 수 있도록 손 씻기, 익혀 먹기 등 식중독 예방 요령을 준수하고 음식점 위생등급제 활성화에도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주요 식중독 원인 식품과 발생 시설에 대한 집중관리를 지속하고 식중독 예방 교육·홍보를 강화하는 등 국민의 안전하고 건강한 식생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webmaster@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