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최근 5년간 1.6배로 늘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가운데 여행·음식배달·레저 등 서비스가 온라인 성장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는 지난달 26일 올해 상반기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120.4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7% 성장했다고 밝혔다. 이 중 상품 거래액은 85.2조원(70.8%), 서비스 거래액은 35.2조원(29.2%)이었다.
이 같은 성장은 여행, 음식배달, 레저 예약이나 e-쿠폰 같은 서비스 거래의 확대서 비롯된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을 통한 서비스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12.8% 증가한 반면, 상품 거래액 성장률은 8.4%로 전체 성장률(9.7%)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거래 상품군별로는 ‘음식(배달)서비스’와 ‘여행·교통서비스’ 규모가 각각 13.6조원, 13.1조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가운데, 성장률 기준으로는 ‘e-쿠폰 서비스’가 20.1%로 가장 높았으며, ‘여행 및 교통서비스’가 16.5%, ‘문화 및 레저서비스’가 8.9%, ‘음식서비스’ 6.8% 순으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판매 매체별 온라인쇼핑 거래액을 살펴보면, 모바일을 통한 거래 규모는 89.8조원(74.6%)인 반면, PC를 통한 거래는 30.6조원(25.4%)으로 모바일쇼핑 규모가 PC쇼핑 대비 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상반기 온라인쇼핑 서비스 거래 규모의 변화(판매 매체별원·연도별)를 살펴보면, 음식서비스가 코로나를 기점으로 큰 폭으로 성장한 이후 14조원 규모의 시장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대부분의 거래(98.5%)가 모바일을 통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여행·교통서비스는 코로나 당시(4조, 2020년 상반기)와 비교해서 올해 상반기(13.1조)에 3배 이상 규모가 커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바일쇼핑 거래 규모도 PC쇼핑보다 3배 이상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120조 넘어
음식·여행이 1·2위 차지
장근무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간편 결제시스템 정착, 사용자 친화적 모바일 시스템(UX) 도입 등으로 모바일이 주요 온라인 거래 매체로 자리매김하게 되면서 온라인쇼핑의 성장을 이끌고 있다”고 분석했다.
서비스 거래 성장률만큼은 높지 않지만 온라인 상품거래 규모도 지속적으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쇼핑 거래액에서 여행, 레저 등 서비스 거래액을 제외한 상품거래 실적은 올해 상반기 85.2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4% 늘어났다.
상품거래액은 코로나 기간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2021년 상반기에 19.1% 성장했으나 2022년 8.5%, 2023년 3.2%로 성장률이 내려앉았다가 올해 8.4%로 반등하는 분위기다.
하헌구 인하대 교수는 “올해 상반기에 중국 C커머스의 공격적인 진출로 저가 생활용품들이 물밀듯 들어오면서 잠시 주춤했던 온라인 상품거래 성장률이 예전 수준을 회복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지난 상반기는 모바일을 중심으로 한 음식 배달서비스, 여행업 등이 온라인시장의 성장을 이끌었다”면서 “최근 티몬·위메프 사태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이 온라인쇼핑 거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온라인 쇼핑업체들은 소비자 신뢰 회복을 위한 환불·교환 절차의 투명성 강화 및 소비 진작을 위한 행사 마련 등 다양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webmaster@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