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에코프로그룹이 대기업 편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2차전지 사업이 그야말로 대박을 치면서 순식간에 그룹 위상이 높아진 모양새다. 물론 우려의 시선도 존재한다. 무작정 좋아하기에는 앞으로 뒤따를 각종 제약이 눈에 밟힌다. 성장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경영진의 인식을 감안하면 괜한 소리가 아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매년 5월 ‘공시대상기업집단’ 지정 현황을 발표해왔다. 직전년도를 기준으로 자산 5조원이 넘는 기업집단을 별도로 분류해 공개하는 것이다. 여기에 포함됐다는 건 공식적으로 ‘대기업’이 됐음을 의미한다.
지난해 공시대상기업집단에 이름을 올린 기업집단은 총 76곳이었고, 이 가운데 신규 지정된 기업집단은 총 8곳이었다. 올해 역시 어떤 기업이 신규 지정될지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대기업 지정이 확실시되는 에코프로그룹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지는 분위기다.
계속된 순풍
에코프로그룹은 지주사인 에코프로를 비롯한 상장사 3곳, 비상장사 21곳 등 총 24개 법인으로 이뤄진 기업집단이다. 창업주인 이동채 회장은 1998년 자본금 1억원으로 코리아제오륨을 설립했고, 2001년 현재의 사명으로 바꿨다.
에코프로는 2003년 2차전지 소재를 국산화하면서 본격적인 성공가도를 달리기 시작했다. 2007년 4월 제일모직으로부터 양극활물질 생산설비와 사업권을 인수하면서 2차전지 핵심 소재를 양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며 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
2016년 5월에는 에코프로에서 에코프로비엠을 물적 분할했다. 2021년 5월에는 에코프로에이치엔을 인적 분할하면서 현재와 같은 지주사 구조를 완성했다. 에코프로는 에코프로비엠 지분 45.6%와 에코프로에이치 지분 31.4% 보유하고 있다.
이른바 ‘에코프로 3형제(에코프로·에코프로비엠·에코프로에이치엔)’라 불리는 그룹 내 상장법인 3곳은 2차전지 관련 사업을 영위한다. 에코프로는 2차전지의 핵심 소재, 에코프로비엠은 양극재, 에코프로에이치엔은 대기 환경개선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그룹 지배구조의 정점에는 이 회장이 서 있다. 이 회장은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에코프로 지분 19.45%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특수관계인 지분의 총합은 26.77%로 집계됐다.
에코프로의 최근 실적 상승세는 경이적인 수준이다. 이 회사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5조6403억원, 영업이익 6189억원을 기록했다. 1조원대였던 매출은 1년 만에 무려 5조원대로 불어났고,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616% 급증했다.
코스닥에 상장된 에코프로 3형제의 몸값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 5일 에코프로의 주가는 8.42% 급등한 51만5000원에 마감했다. 올해 들어 에코프로의 주가는 5배 올랐으며 2조5966억원이던 시가총액은 13조3267억원으로 불어난 상태다. 유가증권 시장 기준으로 따지면 시총 20위에 해당하는 규모다.
실적·주가 동반 우상향
오너 구설 리스크 악재
에코프로비엠과 에코프로에이치엔 역시 비슷한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 4일 기준 두 회사의 주가는 연말 대비 각각 140.36%, 62.89% 올랐다.
다만 일각에서는 에코프로그룹의 제동 없는 고공행진에 우려를 표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대기업집단 편입으로 그룹의 위상이 높아지는 것과 별개로 각종 규제에 발목 잡힐 가능성이 커졌다는 건 걱정거리다.
경이로운 실적 상승세에 힘입어 에코프로그룹의 자산총액은 지난해 말 기준 5조원을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자산총액 1조원을 넘긴지 불과 2년 만에 공시대상기업집단 지정 기준을 충족시킨 것이다.
대기업으로 지정되면 그룹의 위상이 높아지는 것과 별개로 각종 제약이 뒤따른다. 경제력 집중을 막기 위해 상호지급보증 금지, 상호출자 금지 등 각종 규제에 발목 잡힐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이런 와중에 터진 불공정거래 의혹은 에코프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키우는 양상이다. 서울남부지검 금융증권범죄 합동수사단과 금융위원회 특별사법경찰은 지난달 16일, 충북 청주시 에코프로 본사에 수사 인력을 보내 내부 문서와 컴퓨터 저장자료 등을 압수했다.
검찰과 금융위는 2020~2021년경 에코프로 전현직 임직원이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주식거래한 뒤 부당이득을 얻은 정황을 추가로 포착한 것으로 전해진다. 금융위 특별사법경찰은 ‘패스트트랙’(신속 수사 전환) 절차를 활용해 검찰과 공조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우려 상존
오너 역시 불공정거래 의혹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이 회장은 지난해 5월 자본시장법 위반 등 혐의로 기소돼 1심서 징역 3년, 집행유예 5년, 벌금 35억원을 선고받은 바 있다. 2020년 1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중장기 공급 계약에 대한 공시 전, 차명 증권계좌로 주식을 미리 매수했다가 되팔아 11억원 상당의 차익을 올린 혐의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