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모나미 오너 3세가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사내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 중인 데다, 창업주의 타계를 계기로 지분율에서도 사촌들을 앞선 상황이다. 황태자가 보유한 알짜배기 개인회사는 향후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쏠쏠한 쓰임새가 부각될 것으로 기대된다. 승계 재원 마련을 위한 전진기지로 활용될 여지가 충분하다.
모나미는 고 송삼석 창업주가 1960년 설립한 광신화학공업에 뿌리를 두고 있다. 송 창업주는 필기구의 심 끝에 금속구를 단 볼펜을 국내에서 처음 개발한 인물이다. 철필(펜촉에 펜대를 끼워 쓰는 필기구)이 주류였던 당시 문구 시장에 잉크를 필요로 하지 않는 볼펜은 사무 분야의 혁신을 몰고 왔다.
승계 윤곽
착실한 행보
모나미는 1993년부터 송하경 회장을 축으로 하는 2세 경영 체제를 가동했다. 송 창업주의 장남인 송 회장은 1984년 연세대 응용통계학과를 졸업하고 로체스터대 경영대학원 석사를 수료했다. 1986년 모나미에 입사해 과장, 차장 등을 거쳐 1993년 대표이사로 취임했다.
송 회장은 2000년이 돼서야 송 창업주부터 지분 12%(27만8000주)를 증여받아 모나미 최대주주에 올라섰다.
올해 들어 모나미에서는 주주 구성에서 변화가 목격된 상태다. 지난 4월 송 창업주가 94세에 숙환으로 타계한 게 계기였다. 송 창업주가 보유했던 모나미 지분 3.08%(58만1655주)에 대한 상속은 지난 9월이 돼서야 일단락됐다.
상속 대상은 손자·손녀 총 5명이었고, 당시 주식시세로 20억원(종가 3475원 기준) 상당이다. 송 창업주의 차남(송하철 부회장)과 삼남(송하윤 사장)의 자녀 4명은 송 본부장의 절반인 지분 0.51%씩을 받았다.
송 회장의 아들인 송재화 모나미 상무는 1.03%를 상속받았다. 이로써 송 상무의 보유 주식은 기존 15만9697주에서 35만3582주로 증가했고, 0.84%였던 지분율은 1.87%로 높아졌다. 오너 2세 가운데 송 회장만 자녀가 한 명이어서 송 상무가 상대적으로 많은 주식을 상속받을 수 있었다.
베일 속
아들 회사
관련업계에서는 이번 상속을 계기로 모나미 3세 경영 체제의 윤곽이 잡혔다고 평가하는 분위기다. 송 상무가 조부 보유 지분을 가장 많이 상속받은 데다, 송 상무가 오너 3세 중 유일하게 모나미에서 경영수업을 받고 있다는 점을 주목한 것이다.
향후 경영권 승계가 본격화 되더라도 송 상무를 축으로 하는 절차에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단 송 상무의 모나미 지분율이 오너 3세 가운데 가장 높다는 점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모나미의 경우 ‘모나미→항소·플라맥스·모나미이미징솔루션즈→엠텍’ 등으로 이어지는 지배구조를 갖추고 있다. 모나미에 대한 지배력이 나머지 계열회사로 연결되는 구조다. 모나미 최대주주는 모나미 지분 13.76%(260만310주)를 보유한 송 회장이다.
다만 송 회장의 지분율은 압도적인 수준이 아닌 만큼, 송 회장 단독으로 경영권을 안정적으로 행사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송 회장과 송 상무의 주식을 합쳐도 지분율은 15.63%에 그친다.
송 회장 측의 부족한 지배력을 보완하는 게 송 회장의 동생들이다. 송하윤 사장과 송하철 부회장의 지분율은 각각 5.13%(97만189주), 4.54%(85만8114주)로 2·3대주주에 이름을 올라 있다. 친인척의 주식을 모두 합치면 지분율은 28.23%(532만9661주)로 올라간다.
송 상무가 확실한 후계자로 발돋움하려면, 송 회장의 모나미 지분을 넘겨받는 작업이 뒤따라야 한다. 송 회장이 보유한 모나미 주식은 지난 17일 종가 기준 약 86억원으로 평가된다. 송 상무는 아버지 주식을 모두 흡수하려면 상속세를 감안해 50억원 가까운 금액이 필요한 상황이다.
측면 지원하는 확실한 우군
아버지 지분 흡수 어떻게?
1%대에 불과한 송 상무의 모나미 지분율을 고려하면, 현금배당 등으로 승계 재원을 마련하기에는 부족함이 엿보인다. 이 같은 부분을 보완하는 차원에서라도 송 상무에게 우군 역할을 하게 될 제3자가 필요하다. 모나미의 관계사인 물류업체 ‘티펙스(T-Pex)’를 예의주시해야 할 이유도 여기에 있다.
티펙스는 2008년 2월 설립된 물류·운송업체로 2012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했다. 자본금은 2억원. 티펙스는 감사보고서를 제출하지 않는 관계로 재무 상태, 지분구조 등을 명확하게 특정하기 힘든 상황이다. 또한 모나미 지배구조에 이름을 올린 회사도 아니다.
일단 모나미 사업보고서 상에서 티펙스를 기타 특수관계자로 분류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 회사가 오너 일가와 관련된 회사라는 걸 미뤄 짐작할 수 있다. 현재 송 상무와 그의 모친인 홍의숙씨는 티펙스 사내이사에 등재된 상태다.
송 회장이 티펙스의 전신인 익스프레스라인의 최대주주였다는 사실도 이 같은 시각을 뒷받침한다. 1999년 말 기준 익스프레스라인의 1대 주주는 지분 42%를 확보한 송 회장이었고, 아이포와 모나미가 각각 39.8%와 18%씩 보유한 상태였다.
익스프레스라인은 2000년 아이포를 흡수합병하는 등 지배구조에 변동이 생겼다. 이후 특정 시기를 거치며 송 회장이 보유한 익스프레스라인 지분이 송 상무에게 넘어갔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티펙스가 송 회장 일가의 가족회사 혹은 송 상무의 개인회사일 경우, 모나미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티펙스가 지렛대 역할을 담당할 가능성을 따져봐야 한다. 일단 티펙스가 쏠쏠한 수익을 올리는 알짜배기라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현황시스템에 따르면 티펙스는 2016년부터 2018년 사이에 매년 80억원 안팎의 매출과 6억5000만원에서 10억원가량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최근 들어 수익성이 다소 낮아졌지만, 흑자 기조는 이어지고 있다.
티펙스 매출은 대부분 모나미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2020년 티펙스가 모나미와의 거래를 통해 거둔 매출은 42억원(매입 4억원, 기타 38억원)으로, 당해 총매출(50억원)의 8할에 해당한다.
든든한 배경
기반도 조성
티펙스는 2018년 45억원이던 총자산이 2020년에 119억원으로 2.5배가량 늘었다. 같은 기간 총자본이 24억원에서 31억원으로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는 점에서, 부채의 급격한 증가가 총자산의 변동으로 이어졌음을 알 수 있다. 티펙스가 꾸준히 수익을 낸 회사임을 고려하면 부채의 급증은 시설투자를 위한 자금 조달 차원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