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가 지난 8일 경제부총리 주재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K-Startup 글로벌 진출 전략’을 발표했다. 중기부는 벤처·스타트업이 내수 과밀 경쟁을 넘어 글로벌 디지털 경제를 선도할 수 있도록, 벤처·스타트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촉진하고 그 기반이 되는 국내 창업·벤처생태계의 개방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우선 민간 역량을 적극 활용하고 부처 협업을 통해 지원 전문성을 높일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23년부터 구글, 에어버스 등 시장 지배력을 갖춘 9개 글로벌 기업과 함께 270개 스타트업의 성장과 해외 진출을 지원하고, 국내 대기업이 보유한 글로벌 네트워크와 인프라를 활용한 해외시장 진출 지원 규모도 2배(협업 대기업 수: 5개→10개)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다음 해에는 ‘글로벌 유니콘 프로젝트’를 추진, 스케일업 단계의 유망 벤처·스타트업이 글로벌 유니콘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민간 컨설팅사를 활용해 글로벌화 전략 수립과 자금, 네트워킹을 지원한다. 또한 분야별 전문화된 해외 진출 지원을 위해 부처 협업으로 각 부처에서 산업별 유망 스타트업 140개사를 발굴하고, 중소벤처기업부의 현지 액셀러레이팅 및 분야별 후속 지원을 연계 운영한다.
벤처·스타트업 글로벌 진출 전략 발표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해외 거점 확대
또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해외거점을 확대한다. 이번 달에는 미국 현지에서 국내 스타트업과 글로벌 대기업, 글로벌 벤처캐피털 간 네트워킹 및 협업 기회를 마련할 예정이며, 국내 최대 규모의 스타트업 행사인 컴업을 완전히 민간으로 이양하여 민간의 전문성과 네트워크를 활용함으로써 세계 5대 글로벌 스타트업 축제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내년부터는 재외공관 네트워크를 활용, 국내 벤처·스타트업의 현지 창업생태계 안착을 돕는 ‘재외공관 K-스타트업 네트워킹 지원 사업’도 시범 운영한다. 또 해외 인재·자본의 국내 유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외국인·유학생 등 해외 우수 인재의 국내 유치를 위해 비자제도 활성화 및 특화 프로그램 신설을 추진한다. 펀드 운용·관리를 분리하는 ‘실리콘밸리식 펀드 지배구조’, 투자 위험을 분산하는 ‘조건부지분전환계약’ ‘투자조건부융자’ 등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벤처투자제도 도입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대한민국 벤처·스타트업 대표브랜드를 마련해 국내 창업생태계 및 벤처·스타트업의 인지도를 높여 나갈 방침이다. 이영 중기부 장관은 “벤처·스타트업은 디지털 경제의 선발대로, 글로벌 디지털 경제의 선도국가 도약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며 “9월 한미 스타트업 행사를 시작으로, 우리 벤처·스타트업이 내수 시장에만 머물지 않고 좋은 아이템과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적극적으로 해외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중소벤처기업부가 앞장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