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마켓컬리의 고공행진이 계속되고 있다. 구멍가게 수준에 불과했던 매출은 7년 만에 대기업 수준으로 불어났고, 이미 천문학적인 규모의 투자금이 유입된 상태. 다만 불안요소도 엿보인다. 그럴싸한 겉모습과 단 한 번도 흑자를 달성하지 못했다는 뼈아픈 현실이 공존하는 양상이다.
2014년 12월 출범한 ‘컬리(브랜드명 마켓컬리)’는 다소 생소했던 새벽 배송이라는 개념을 연착륙시킨 일등공신이다. 마켓컬리의 등장과 함께 전날 주문한 신선 식품을 새벽에 건네받는 시스템이 본격적으로 뿌리내렸고, 틈새시장에 불과했던 새벽 배송은 유통업계의 주류로 올라설 수 있었다.
주류가 된
비주류
마켓컬리가 제시한 성공모델은 새벽 배송 시장을 ‘황금알을 낳은 거위’로 인식하게 된 계기로 작용했다. 그 결과 2015년 100억원대에 불과했던 새벽 배송 시장은 어느덧 3조원대로 확대되기에 이르렀다.
시장규모가 커지는 과정에서 마켓컬리는 비약적인 성장을 거듭했다. 2015년 30억원에 불과했던 매출은 불과 3년 만에 1000억원을 돌파했고, 급기야 지난해(연결기준)에는 1조5616억원 수준으로 확대됐다. 이는 전년(9509억원) 대비 60% 이상 증가한 수치다.
마켓컬리의 눈부신 상승세는 쿠팡을 떠올리게 한다. 쿠팡이라는 기존 성공모델이 밟아온 길을 마켓컬리가 착실히 뒤따라가는 양상에 주목하는 모양새다.
2010년 창업한 쿠팡은 2014년 5월 기업가치를 90억달러(10조7000억원)로 평가받으며, 국내 1호 ‘유니콘 기업’으로 등재됐다. 2015년 매출 1조원을 돌파한 쿠팡은 연평균 67%에 달하는 성장세를 거듭한 끝에, 지난해 매출 규모를 23조원대로 끌어올렸다.
마켓컬리 역시 유니콘 기업 명단에 이름을 올린 상태다. 2015년 이래 500배 이상 매출을 키우며 쿠팡과 엇비슷한 상승곡선을 나타내고 있다.
증시 상장을 기업가치 극대화를 꾀했다는 점도 두 회사를 연결짓는 공통분모였다.
쿠팡은 지난해 3월 미국 증시 상장에 성공했다. 2011년 김범석 쿠팡Inc 이사회 의장이 “2년 안에 미국 나스닥에 상장해 세계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지 10년 만에 거둔 성과였다. 미국 증시에 상장하기 직전 현지 언론은 쿠팡의 기업가치를 30조~55조원 수준으로 평가하기도 했다.
마켓컬리의 상장 작업은 현재진행형이다. 주관사로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JP모건을 선정한 마켓컬리는 지난 3월28일 상장 예심을 청구했다.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는 상장 예심 결과를 이달 중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장에 성공하면 마켓컬리는 이커머스 업계 1호 상장사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불안정
재무구조
흥미로운 점은 쿠팡에서 목격된 작지 않은 불안요소가 마켓컬리에서도 비슷한 형태로 표면화됐다는 사실이다.
쿠팡은 오랫동안 흑자를 기대하기 힘든 회사였고, 지난해에도 별반 다를 게 없었다. 사상 최대치 매출을 기록한 반면 영업손실은 14억9396만달러(약 1조8868억원)에 달했다. 심지어 적자 규모는 전년(5억2773만달러·약 6667억원) 대비 180%가량 확대됐다.
다소 숨통이 트였을 뿐, 올해 들어서도 비슷한 기조가 이어졌다. 쿠팡의 올해 1분기 기준 영업손실은 2억575만달러(약 2652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23% 감소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21.6% 증가한 51억1668만달러(약 6조5900억원)를 기록했지만, 적자에서 빠져나오기에는 한계가 명확했다.
마켓컬리의 급격한 외형적 팽창은 동전의 단면을 비춘 것에 불과하다. 작지 않은 불안요소가 급성장의 이면에 도사리고 있으며, 해당 사안은 쉽사리 떨쳐내기 힘든 구조적 문제와 맞물려 있다.
특히 업계 1위라는 상징성에 어울리지 않는 적자 행진은 회사의 앞날을 부정적으로 보게 하는 시작점이나 마찬가지다. 마켓컬리는 매출 2조원을 눈앞에 둔 시점이지만, 재무제표가 공개된 이래 단 한 번도 흑자를 내지 못했다는 현실에 처해 있다.
게다가 적자 규모는 나날이 커지는 양상이다. 2017년 100억원대에 진입한 영업손실은 불과 3년 만에 1000억원대를 넘겼고, 지난해에는 2177억원으로 확대됐다. 최근 3년간 영업손실 합산치는 4300억원을 훌쩍 넘긴다.
과도한 변동비가 적자의 원인으로 꼽힌다. 변동비는 매출액과 연동되는 비용으로 생산량에 따라 증감한다. 상품 판매와 직접 관련되는 운반비, 지급수수료, 포장비 등이 해당된다. 지난해 말 기준 마켓컬리의 운반비는 273억원으로, 전년(120억원) 대비 127%, 지급수수료는 815억원으로 전년(465억원) 대비 75% 상승했다.
잘나가지만…곳곳에 허점
빛과 그림자 공존하는 현실
마켓컬리 측은 공헌이익(매출액에서 변동비를 뺀 금액)으로 평가하면 3년 연속 흑자라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최근 물류센터 확충과 인력 증가의 영향으로 비용 지출이 많아졌지만, 제반시설 투자가 마무리 단계에 진입하면 흑자 전환이 이뤄질 거란 계산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말 기준 결손금은 1조8270억원으로 전년 대비 3.3배가량 확대됐다. 순손실 1조2766억원이 결손금으로 반영된 결과다.
지난해 기록한 천문학적인 순손실은 상환전환우선주(RCPS) 평가에 따른 손실이 금융비용으로 잡힌 데 따른 장부상 착시현상이라는 걸 감안할 필요가 있다. RCPS가 보통주로 전환되면, 파생상품평가손실이 발생한다. 최근 마켓컬리가 상장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RCPS를 재평가했고, 이 과정에서 기업가치가 커진 게 손실로 잡힌 것이다.
마켓컬리 관계자는 “RCPS를 부채로 인식함에 따른 회계상의 착시”라며 “지난해 말 RCPS를 보통주로 전환해 장부상 손실은 이미 해소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다만 RCPS 평가에 따른 손실분을 감안하더라도 결손금을 단시일 안에 이익잉여금으로 전환시키는 건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회계상 착시의 원인이 된 금액(1조659억원)을 제외한 지난해 결손금 규모는 약 7500억원대로 추산된다.
외부에서 차입한 금액이 좀처럼 줄지 않는 점도 불안요소다. 차입금으로 분류 가능한 ▲단기차입금 98억원 ▲유동성 리스부채 250억원 ▲장기차입금 247억원 ▲비유동성 리스부채 2463억원 등의 총합은 3058억원 수준이다. 총자산(6649억원)의 절반에 가까운 비중이다.
그나마 완전자본잠식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모두 해소된 상태다. RCPS의 보통주 전환이 이뤄지며 대규모 자본 확충이 진행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기업공개(IPO)를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 상장요건을 갖추기 위한 과정으로 해석된다.
회사 경영권이 언제든지 위협받을 수 있는 불안정한 경영 환경이라는 점도 마켓컬리를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게 하는 이유다. 2016년 경 최대주주는 지분 54.8%를 보유한 이상혁 옐로모바일의 대표였다. 이 대표는 이듬해 마켓컬리 지분 전량을 매각했고, 이 무렵부터 외국계 자금이 대거 유입되기 시작했다.
지난해 말 기준 최대주주는 지분 11.89%를 보유한 ‘HH SUM-XI Holdings’이고 ‘SCC Growth V Holdco H, Ltd.(10.19%)’ ‘DST Global VII, L.P.(10.17%)’가 지분 10% 이상을 보유 중이다. 이들은 지난해 하반기에 RCPS 전량을 보통주로 전환했다.
마켓컬리는 투자 유치 과정에서 RCPS를 활용해왔다. RCPS는 기업의 주식가치가 커지면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고 투자자는 이를 통해 차익을 실현할 수 있다. 투자자에게 유리한 조건이어서 스타트업의 투자 유치 시 자주 활용되는 투자 방식이다.
유입된 외부 자금은 경영 안정화를 뒷받침하는 수단으로 활용됐지만, 김슬아 현 대표의 지배력을 떨어뜨리는 부작용을 낳았다. 실제로 2016년 27.6%였던 김 대표의 지분율은 지난해 말 기준 5.75%로 낮아졌다. 회사 지분의 절반 이상을 외부 투자 세력이 보유 중이며, 김 대표는 6대 주주에 그친다.
경영권
위험 노출
천문학적인 규모의 외부 투자금이 주식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김 대표는 지분율 방어에 한계를 드러낸 셈이다. 김 대표의 경영권이 불안정하다는 점은 투자자들이 마켓컬리를 매력적인 투자 대상으로 분류하기 힘들게 만들 수 있다. 상장이 이뤄지더라도 해외 자본이 특정 시기에 투자금 회수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를 배제하기 힘들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