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든든한 소방수가 될 거란 기대는 이미 사라졌다. 세간의 눈총을 받으면서까지 무리하게 복귀한 것 치고는 보여준 게 영 시원찮다.
정운호 네이처리퍼블릭 대표이사는 화장품 업계에서 ‘미다스의 손’으로 통한다. 1993년 화장품 사업과 인연을 맺은 정 대표는 2003년 설립한 더페이스샵을 앞세워 로드숍 화장품 시장을 공략했고, 더페이스샵은 출범 2년 만에 업계 선두로 등극했다. ‘정 대표가 있었기에 더페이스샵이 업계 1위로 올라섰다‘는 말이 공공연하게 나올 정도로 그의 사업 수완은 독보적이었다.
잘나갔던
옛 기억
정 대표는 덩치가 커진 더페이스샵을 매각하기로 결정했고, 이 과정에서 막대한 부를 축적할 수 있었다. 2005년 사모펀드에 더페이스샵 지분 70%, 2009년 LG생활건강에 나머지 지분을 넘기면서 2000억원대 현금을 확보했다.
다음 행선지 역시 동종업계였다. 정 대표는 2010년 네이처리퍼블릭(옛 장우화장품)을 인수해 또 한 번 로드숍 화장품 시장을 노크했고,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네이처리퍼블릭은 ‘수딩젤’ ‘아쿠아 수분크림’ 등 히트상품의 활약에 힘입어 정 대표가 인수한 지 1년 만에 흑자 기업으로 탈바꿈하기에 이르렀다. 정 대표의 트렌드를 읽는 능력에 대한 찬사가 뒤따른 건 당연했다.
하지만 정 대표와 네이처리퍼블릭의 성공신화는 그리 오래가지 않았다. 정 대표의 은밀한 사생활이 네이처리퍼블릭의 탄탄대로에 걸림돌로 작용한 양상이다.
정 대표는 2015년 7월 100억원대 해외 원정도박 혐의로 고등법원에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1심은 징역 1년을 선고했지만, 2심에서는 정 대표가 잘못을 뉘우친 점 등을 고려해 1심보다 4개월 줄어든 징역 8개월을 확정했다.
왕년의 미다스…지금은 마이너스
오너 비리 직격탄에 한숨만 푹푹
원정도박이 정 대표의 이미지를 실추시켰다면, 복역 중 터진 ‘정운호 게이트’는 정 대표를 나락으로 떨어뜨린 결정적 계기였다. 정운호 게이트는 정 대표가 판사 및 검사 출신 전관 변호사들에게 구명과 관련해 로비를 벌인 초대형 법조 비리 사건이다.
최유정 변호사, 홍만표 전 검사장, 김수천 전 부장판사 등 법조계 인사들이 정운호 게이트에 연루됐다.
결과적으로 정운호 게이트는 정 대표의 옥살이를 3년6개월 연장시켰다. 2017년 12월 대법원 3부는 특경법상 횡령 및 뇌물공여 등 혐의로 구속 기소된 정 전 대표에게 징역 3년6개월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2016년 6월 재판에 넘겨진 이래 1년6개월 만에 나온 확정 판결이었다.
네이처리퍼블릭은 정 대표가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인해 경영진에서 이탈한 직후 내리막을 타기 시작했다. 오너리스크의 영향이라고 봐도 무방한 심각한 실적 하향세가 표면화된 것이다.
네이처리퍼블릭은 2014년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32.7% 증가한 2552억원을 기록했고, 같은 기간 -4억8800만원이던 영업이익은 238억원 흑자로 돌아섰다.
막 내린
성공신화
그러나 순풍은 오래가지 않았다. 정 대표의 징역형이 확정된 2015년에 네이처리퍼블릭은 완연한 실적 하향세로 돌아섰다. 전년 대비 매출은 300억원가량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75억원 감소했고, 2014년 9.3%에 달했던 영업이익률은 1년 새 3.6%p 낮아졌다. 상장 준비작업에 제동이 걸린 것도 이 무렵이다.
여기서 끝이 아니었다. 2014년 200억원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던 네이처리퍼블릭은 2016년 95억6300억원 영업손실로 돌아섰고 ▲2017년 16억8000만원 ▲2018년 190억원 ▲2019년 128억원 등 매년 적자를 거듭했다. 옥살이하는 정 대표를 대신해 김창호 대표(2016년 6월), 호종환 대표(2016년 12월), 곽석간 대표(2019년 1월) 등이 구원투수로 나섰지만 반전을 꾀하기에는 한계가 명확했다.
이 과정에서 야심차게 시작했던 해외 사업마저 표류했다. 네이처리퍼블릭은 ▲2012년 미국 하와이와 일본 ▲2013년 홍콩 ▲2014년 중국 ▲2015년 미국 본토 등에 순차적으로 법인을 설립했지만 투자의 결실을 맺는 데 실패했다. 오너 공백기에 해외 사업에 대한 의사결정이 효율적으로 이뤄지지 않았던 게 미진한 성과로 되돌아왔다는 게 동종업계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키우고
망치고
공교롭게도 정 대표가 복역하던 시기에 표면화된 네이처리퍼블릭의 실적 악화는 정 대표의 경영 복귀를 정당화시키는 배경으로 작용했다. 위기 탈출을 위해서라도 정 대표의 현장 복귀가 필요하다는 분위기가 조성된 것이다.
지난해 3월 네이처리퍼블릭은 주주총회를 열고 정 대표를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정 대표가 4년4개월에 걸친 옥살이를 끝낸 지 불과 3개월가량 지난 시점이었다.
당시 네이처리퍼블릭은 극약처방 차원에서 내린 결정이라는 뜻을 내비쳤다. 코로나19의 여파로 시장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정 대표의 경영 노하우가 경영 정상화의 밑거름이 될 거란 논리였다. 물론 정 대표의 경영 복귀는 정 대표가 75.37%(604만6663주)에 달하는 네이처리퍼블릭 지분을 쥐고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일선에 복귀한 정 대표는 곧바로 비상경영을 선포하고 해외사업 정리를 위해 칼을 빼들었다. 자본잠식 상태인 홍콩, 중국, 미국 등 4개 법인을 철수하고 중국 법인은 1곳으로 통합하는 등 고강도 체질 개선을 단행했다. 또한 브랜드 포트폴리오 다각화 차원에서 코로나19로 수요가 급증한 손소독제와 마스크도 사업 영역에 포함시켰다.
일련의 과정은 가시적 성과를 내기 위한 준비작업이라고 봐도 무방했다. 그러나 정 대표의 원대한 포부와 현실 사이에는 엄청난 간극이 존재했다. 복귀 첫해 성적표가 이를 뒷받침한다.
네이처리퍼블릭은 지난해 매출 1384억원을 올린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무려 전년 대비 27.1% 감소한 규모다. 또한 역대 최대치를 찍었던 2015년(매출 2848억원)과 비교하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약발 안 통하는 암울한 현실
혹시 했는데 역시 끝없이 추락
수익성도 예년보다 더 악화됐다. 203억원에 달하는 영업손실 규모는 역대 최악으로 평가받던 2018년(영업손실 190억원)을 뛰어넘었다.
수년간 지속된 네이처리퍼블릭의 적자 행진은 해를 넘기도록 이어지고 있다. 네이처리퍼블릭의 올해 1분기 기준 영업손실은 4억900만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적자 규모를 10억원가량 줄였다는 긍정적이지만, 흑자 전환은 끝내 실패했다.
수익성에 빨간불이 켜진 가운데 회사 재정은 급속도로 나빠졌다. 거듭된 적자로 인해 빚에 의존하는 경향이 한층 심각해진 것이다.
올해 1분기 기준 네이처리퍼블릭의 총자산은 495억원으로, 전년 동기(684억원) 대비 27.5% 줄었다. 295억원이던 총자본이 1년 새 1/15 수준인 18억8700만원으로 급감한 게 결정적이었다. 총자본이 납입자본금(40억1100만원)에도 미치지 못한 반면 총부채는 90억원 가까이 늘어난 476억원으로 집계됐다.
총자본의 급감과 총부채의 급증이 맞물리면서 재정건전성은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2017년 64%에 불과했던 네이처리퍼블릭의 부채비율은 2019년 128.2%까지 뛰어 오르더니, 지난해에는 무려 1601.5%를 찍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올해 1분기에는 2524.5%까지 치솟은 상황이다. 통상적인 부채비율 적정 수준(200% 이하)과는 상당한 간극이 존재하는 셈이다.
귀환했지만
달라진 현실
재무상태가 악화되는 과정에서 차입금에 기대는 경향은 한층 뚜렷해졌다. 2019년 28억8200만원이던 총차입금은 올해 1분기 기준 6배가량 늘어난 182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차임금의존도(적정 수준 30% 이하)는 4.4%에서 36.7%로 뛰어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