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뱅뱅어패럴 후계자들에 대한 평가가 완전히 뒤바뀐 형국이다. 아쉬움을 남겼던 장남이 재평가의 계기를 마련한 반면, 수월했던 초창기를 보냈던 차남과 삼남은 자질에 대한 물음표에서 자유롭지 못한 현실에 직면해 있다.
권종열 회장이 1961년 창업한 뱅뱅어패럴은 1990년대에 토종 패션 브랜드 ‘뱅뱅’의 활약에 힘입어 국민 청바지 회사로 등극했다. 권 회장 일가는 뱅뱅어패럴에 대한 확고한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다. 회사 지분 100%를 권 회장 일가가 보유 중이고, 특히 권 회장의 지분율은 57.2%에 달한다.
떼어 주고
능력 검증
아흔을 넘긴 권 회장은 여전히 뱅뱅어패럴 대표이사를 맡아 경영 전반을 책임지고 있다. 대신 권 회장의 세 아들(성윤·성재·성환)은 뱅뱅어패럴 경영에 참여하기보다는 2000년대 중반 이후 계열분리된 법인을 운영하는 길을 택했다.
이 무렵 장남인 성윤씨는 유·아동복사업을 영위하는 ‘디시티와이’에 둥지를 틀었다. 차남인 성재씨는 UGIZ를 운영하는 ‘더휴컴퍼니’를, 삼남인 성환씨는 ‘에드윈’을 전개하는 ‘에드윈인터내셔널(현 헨어스)’에 터를 잡았다.
성윤씨는 미국 사우스이스턴대와 아메리칸대에서 MBA를 마친 후 1993년도에 뱅뱅어패럴에 입사했다. 1995년 리틀뱅뱅 운영에 참여했고, 이는 성윤씨가 2005년 디시티와이 대표이사로 낙점된 배경으로 작용했다.
다만 장남의 행보는 아쉬움을 남겼다. 디씨티와이는 2006년부터 부분자본잠식과 완전자본잠식을 오가는 처지로 전락했다. 신규매장 출점 거의 이뤄지지 않았고, 현상유지조차 버거웠다.
반면 차남과 삼남은 장남과 대비되는 행보를 밟았다.
성재씨가 대표이사를 맡은 더휴컴퍼니는 2006년 이래 1000억원대 매출을 유지하며 캐쥬얼 의류 시장에서 안정적인 입지를 구축했다. 2010년대 중반 연이은 신규 브랜드 론칭을 통해 업계의 시선을 집중시키기도 했다.
하나씩 맡아 검증 시험대
퍼주다가 본진마저 휘청
성환씨는 1994년 뱅뱅 홍콩 법인장을 거쳐 1997년부터 중국의 뱅뱅 비즈니스를 총괄했던 중국통이다. 2007년 에드윈인터내셔널 대표이사를 맡아 기존 에드윈을 ‘에드윈컬렉션’으로 리뉴얼하는 작업에 앞장섰다. 에드윈인터내셔널은 높은 인지도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매출을 올렸다.
하지만 최근 들어 권 회장 후계자들의 입지는 이전과는 완전히 뒤바뀐 양상이다. 제법 탄탄했던 차남과 삼남의 회사가 생존을 위협받는 환경에 내몰린 데 반해, 장남은 반전의 계기를 마련하는 데 성공한 모양새다.
2019년 12월 화승은 아웃도어 ‘머렐’의 사업을 종료한다고 밝혔다. 화승은 머렐의 미국 본사인 ‘울버린 월드 와이드사(이하 울버린)’와의 협의를 통해 당초 계약 종료 시점보다 한 해 앞당겨 사업을 종료하고 재고를 매각하기로 합의했다.
화승이 내놓은 머렐 사업권은 성윤씨가 대표이사를 맡고 있던 ‘엠케이코리아’가 넘겨받았다. 2019년 10월 설립된 엠케이코리아는 성윤씨가 자본금 전액을 출자한 회사로, 울버린과의 협의를 통해 기존 머렐 대리점과 백화점 매장도 인수하기로 합의했다.
시작과 다른
확연한 변화
머렐을 전개하기로 한 엠케이코리아의 결정은 가시적인 성과로 되돌아왔다. 엠케이코리아는 사실상 첫 회계연도인 지난해에 매출 396억원을 달성하며 산뜻한 출발을 알렸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28억5100만원, 35억6600만원이었고, 영업이익률은 7.2%로 집계됐다.
코로나19로 인해 아웃도어 브랜드 운영 업체 대다수가 적자전환 혹은 실적 악화를 경험한 가운데 거둔 호성적이었다.
머렐을 통해 가능성을 확인한 엠케이코리아는 올 초 다시 한 번 의미심장한 움직임을 드러냈다. M&A 매물로 나온 600억원대 몸값의 패션기업 독립문을 인수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비록 독립문 주요주주들의 매각 철회 방침으로 인해 인수협상은 결국 무산됐지만, 엠케이코리아의 외형 확장 의지는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기에 충분했다.
장남이 엠케이코리아를 통해 새롭게 입지를 구축한 것과 달리, 차남은 경영 능력에 대한 의문부호를 지우기 힘든 상황에 내몰렸다. 2017년 10월 더휴컴퍼니가 30억원 규모의 만기어음을 막지 못하고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한 게 결정타였다.
이듬해 12월 80%의 채무를 탕감하고, 남은 20%의 부채를 10년간 상환키로 하면서 법정관리를 졸업했지만 경영난은 좀처럼 해결되지 않았다. 결국 더휴컴퍼니는 지난 2월 또 한 번 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처지로 전락했다.
주춤하는
아우들
더휴컴퍼니가 최악으로 치닫는 과정에서 성재씨의 회사에 대한 지배력은 급격히 약화됐다. 성재씨는 2017년 말 기준 지분 69.2%(392만8000주)를 보유한 최대주주였지만, 이듬해 두 차례에 걸친 감자로 인해 보유 주식은 기존 1/30 수준으로 줄었고, 지분율은 4.4%(13만2570주)로 축소됐다.
최대주주 지위를 내려 놓은 성재씨를 대신해 아버지가 구원투수로 등장했다. 이전까지 더휴컴퍼니 주식이 전무했던 권 회장은 2018년 출자전환을 통해 100만5150주를 취득하며 지분율 33.6%로 최대주주에 이름을 올렸다. 권 회장의 최대주주 지위는 올해 1분기까지 변동없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 더휴컴퍼니는 심각한 적자의 늪에 빠져 있다. ▲2015년 9억7900만원 ▲2016년 34억4700만원 ▲2017년 429억3400만원 ▲2018년 257억3300만원 ▲2019년 64억200만원 ▲2020년 45억7100만원 등 6년째 영업손실이 이어졌다.
부진한 흐름은 올해까지 계속되고 있다. 이미 1분기에 23억5300만원 손실을 기록했고, 총자본은 -135억원으로, 완전자본잠식 상태다.
삼남인 성환씨가 운영하는 헨어스 역시 녹록지 않은 현실에 직면해 있다. 헨어스의 최대주주는 지분 86%를 보유한 비앤지(창고업)이고, 비앤지는 성환씨가 자본금 전액을 출자한 개인회사다.
성환씨가 경영권을 장악한 이래 헨어스는 안정적인 수익원으로 거듭났다. 매년 300~400억원대 매출과 연이은 흑자 달성을 통해 2017년까지 이익잉여금만 76억6400만원을 쌓아둔 상태였다.
“형만 한 아우는 없었다”
뒤바뀐 2세들의 입지
하지만 2018년부터 회사의 수익성은 크게 나빠졌다. 당해에 57억5400만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고, 70억원에 육박하는 순손실 규모로 인해 이익잉여금이 불과 1년 만에 10억원 밑으로 떨어졌다.
이듬해에는 영업손실 규모가 70억원에 근접할 만큼 커졌다. 급기야 지난해에는 3년 연속 적자는 물론이고, 매출이 100억원대 밑으로 주저앉기에 이른다.
거듭된 적자 행진은 빚에 대한 높은 의존도로 되돌아왔다. 지난해 말 기준 헨어스의 총자산은 149억원으로, 전년(212억원) 대비 30.8% 줄었다. 부채를 70억원가량 덜어낸 게 총자산의 감소로 이어졌다.
그럼에도 재정건전성은 도통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2017년 290.6%였던 헨어스의 부채비율은 이듬해 1419.4%로 급격히 뛰어오른 데 이어, 2019년 17만3442.8%까지 치솟았다.
부채비율은 지난해 1만302.3%로 다소 내려앉았지만, 여전히 적정 수준(200% 이하)과 상당한 간극이 존재한다. 또 2019년부터 총자본이 자기자본을 하회하는 이른바 ‘부분자본잠식’에 놓여 있다.
재정건전성이 위협받는 와중에 차입금에 기대는 경향은 한층 뚜렷해졌다. 2019년 112억원이던 총차입금은 지난해 17억원가량 감소했지만, 차임금의존도는 52.6%였던 65%로 오름세를 나타냈다. 통상 차입금의존도는 30% 이하를 적정 수준으로 인식한다.
그나마 다행인 건 총차입금의 1/4에 해당하는 26억원은 상환 부담에서 비교적 자유롭다는 점이다. 이 금액은 성환씨의 아버지인 권 회장이 무이자로 빌려준 것이다. 앞서 위기에 처한 차남을 위해 우군으로 나섰던 권 회장이 삼남에게도 도움을 손길을 내민 셈이다.
자식 챙기느라
바쁜 아버지
권 회장이 두 아들 일에 관여하느라 동분서주하는 동안 뱅뱅어패럴에서는 심각한 실적 하향세가 이어지고 있다. 개별기준 2018년 31억5600만원이던 영업이익은 이듬해 24억1600만원으로 감소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17억5500만원 손실이 발생했다.
2003년부터 시작된 1000억원대 매출 행진마저 옛일이 돼버렸다. 뱅뱅어패럴은 2018년부터 3년째 개별기준 매출 1000억원 고지를 밟는 데 실패했고, 급기야 지난해 매출은 629억원에 머물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