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독립문이 심각한 위기를 겪고 있다. 실적은 수년째 내리막이고, 매각 작업은 소리만 요란할 뿐이다. 위기 극복을 위해 오너 경영인이 구원투수로 등장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기에는 한계가 명확하다.
㈜독립문은 1947년 고 월암 김항복 선생이 자본금 1000만원으로 세운 대성섬유공업사에 뿌리를 둔 토종 패션기업이다. 가내수공업 형태로 만든 메리야스를 취급했던 대성섬유공업사는, 1960년대 평안섬유공업으로 사명을 변경한 이후 탄탄대로를 걸었다. 미 8군이라는 안정적인 매출처를 확보했고, 이를 기반으로 1970년대에 1300만달러 수출을 달성한 섬유전문회사로 자리매김하기에 이른다.
패션 한우물
심각한 위기
1971년 론칭한 캐쥬얼 브랜드 'PAT'는 대성섬유공업사 패션전문기업으로 재도약할 수 있게끔 만든 전환점이었다. PAT는 국내 패션기업으론 최초로 대리점 체제를 도입하는 등 기존과 다른 수익모델을 제시했고, 이 무렵 평안섬유공업은 내의 업체를 넘어 패션기업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했다.
그렇다고 마냥 탄탄대로만 달려온 건 아니다. 오일 쇼크 여파로 1980년에 법정관리를 받는 신세로 전락하는 등 위기를 겪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오너 2세인 고 김세훈 회장을 중심으로 경영 체제를 개편하고, 캐주얼, 스포츠, 골프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면서 변화를 꾀했다.
백화점 입점을 시도한 것도 이 무렵이다.
1990년대 들어선 해외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했다. 미국 브랜드 잔센을 들여와 국내서 생산했고, 중국 칭다오에서 대리점을 개설했다. 1998년에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재개된 수출에 힘입어 회사정리 절차를 끝내는 데 성공했다.
2000년 사업 지휘봉을 넘겨받은 오너 3세 김형섭 전 대표는 2005년 이탈리아 아웃도어 브랜드 ‘네파’를 인수하기로 결정했고, 이는 엄청난 성공으로 되돌아왔다. 상호를 평안L&C로 변경한 2010년에 1300억원 수준이던 회사 매출은, 네파의 활약에 힘입어 2년 후 4000억원대로 뛰어올랐다.
그리고 평안L&C는 2012년 네파를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에 매각하면서 큰 수익을 남길 수 있었다.
다만 네파를 정리한 이후 평안L&C는 심각한 실적 축소를 겪었다. 네파 매각 이듬해인 2013년에는 매출이 1600억원에 그쳤고, 영업손실 30억원을 기록했다.
이 무렵 김형섭 전 대표는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고, 동생 김형숙과 그의 남편 조재훈 전 공동대표에게 경영권을 이어받았다. 새롭게 부임한 선장의 지휘 아래 PAT 브랜드를 리뉴얼을 단행하고, 상호를 독립문으로 변경했지만, 경영 환경은 갈수록 악화됐다.
대표 브랜드인 PAT가 노후화된 상태에서 이를 대체할 만한 수익모델을 찾지 못한 게 컸다.
좋은 날 가고
힘든 현실
이후 오너 일가는 갈지자 행보를 반복했다. 시작은 2018년 10월경 타진했던 회사 주식 매각 결정이었다. 이 무렵 독립문 경영진은 한 교육전문기업에 보유 중이던 독립문 주식을 매각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매각에 앞서 인수 희망자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고, 연내에 모든 매각 작업이 마무리될 것처럼 여겨졌다.
그러나 매각은 막판에 결렬됐다. 매수자 측이 투자 철회 방침을 결정한 데다, 창업주의 후손인 독립문 주요주주들 역시 경영권을 유지하는 쪽으로 입장을 선회했다.
독자생존으로 가닥을 잡은 독립문 주요주주들은 기존 오너 경영 체제 대신 전문경영인에 힘을 싣기로 결정했다. 2019년 오너 일가는 경영 전면에서 물러났고, 네파 부사장을 역임했던 홍인숙 대표가 경영 총괄를 맡았다.
홍인숙 대표는 조직개편을 단행하며 온라인 사업 확장에 힘을 기울였다. 이는 오프라인 유통채널에서의 판매 부진이 타개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됐다. 임차료 부담이 없는 온라인 채널에서 매출을 끌어올릴 경우 즉각적인 수익성 개선 효과가 나타날 거란 계산이 깔려 있었다.
홍인숙 대표 체제의 성적표는 기대치를 훨씬 밑돌았다. 특히 지난해의 경우 예상치 못한 코로나19의 여파로 인해 독립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7% 감소한 1134억원에 머물렀고, 영업손실만 75억원에 달했다.
이렇게 되자 독립문 오너 일가는 자체 회생이 힘들다는 판단 하에 또 한 번 매각 카드를 꺼내들었다. 올 초 아웃도어 브랜드 ‘머렐’을 운영하는 엠케이코리아가 600억원대 몸값으로 평가받던 독립문의 원매자로 나섰다.
그러나 이마저도 결국엔 불발됐다. 독립문 주요주주 간 의견이 하나로 모아지지 않았고, 매각 철회 방침을 고수한 주요주주들이 의견이 반영된 결과였다.
올해 1분기 기준 독립문 최대주주는 투자회사인 ‘코브 인베스트먼트(Corv. Investments)’다. 코브 인베스트먼트는 오너 4세인 김스캇의석이 지분 100%을 보유한 회사다. 싱가포르 투자회사인 팰 파트너스도 지분 26.1%를 보유 중이다.
이외에도 김형숙(3.1%), 김존민석(1.1%), 김스캇의석(1.7%), 조조수아민호(1.7%) 등이 특수관계인으로 이름을 올린 상태다.
이들 가운데 지배구조의 정점에 위치한 김형섭 전 대표의 장남 김스캇의석은 지분 매각에 긍정적이었지만, 나머지 오너 일가 구성원들은 반대했다. 특히 김형섭 전 대표의 어머니이자 창업주의 부인인 이정순 회장이 사업 유지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빛 바랜 74년 연혁
거듭 실패한 손 털기
두 번째 매각 작업마저 별다른 성과 없이 끝나자, 오너 일가는 또 한 번 독자생존을 내세우며 경영 전반에 대한 영향력 확대에 나선 상황이다. 지난 4월자로 이정순 회장과 김형숙 사장 등 오너 일가 구성원들이 책임경영을 내세우며 경영 일선에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경영 총괄을 맡았던 홍인숙 대표는 물러났다.
이정순 회장은 창업주와 비롯해 김형선 전 대표와 함께 60여년간 독립문 사업을 이끌어 온 인물이다. 수십년간 매장을 운영해 온 점주들과도 직접 소통하는 등 경영일선에서 함께 뛰었다.
다만 독립문 오너 일가가 또 한 번 지분 매각을 시도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M&A 시장에서 독립문은 여전히 매물로 나올 가능성이 높은 회사로 거론된다. 주주 간 의견 합치 여부에 따라 매각 작업이 다시 진행될 수 있는 셈이다.
이를 위해서는 실적 반등이라는 선결과제가 충족돼야 한다. 독립문 매출은 2017년 1607억원을 기록한 이래 매년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어느새 1000억원대 매출조차 위협받는 분위기다.
같은 기간 수익성 역시 악화됐다. 2017년 65억원에 달했던 영업이익은 이듬해 30억원으로 급감했고, 2019년에 적자로 전환이 이뤄졌다. 최근 2년간 적자가 지속된 가운데 올해 1분기마저 3억7000만원 손실이 발생한 상황이다.
팔려고 해도
못 파는 속내
다행인 건 회사의 재정상태가 매우 양호하다는 점이다. 올해 1분기 기준 총자본과 총부채는 각각 1033억원, 415억원이고, 같은 기간 부채비율은 40.2%에 불과했다. 통상 부채비율은 200% 이하를 적정 수준으로 인식한다.
외부 차입에 대한 의존도 역시 그리 높지 않다. 올해 1분기 기준 독립문의 총차입금과 차입금의존도는 각각 184억원, 12.7%에 그쳤다. 2018년 총차입금이 606억원으로 불어나면서 차임금의존도가 35.4%까지 올랐지만, 내실 위주의 경영을 통해 재정건전성을 위협하는 요인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