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구지은호 캘리스코가 독자생존을 모색 중이다. 혈연으로부터 파생된 거래 관계를 끊고자 새로운 거래처를 확보했고, 그간 부진했던 실적은 때마침 반등세로 접어들었다. 다만 흠집 나기 시작한 재정건전성이 눈에 밟힌다.
캘리스코는 2009년 10월자로 아워홈의 외식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해 설립됐다. 돈가스 전문점 ‘사보텐’을 필두로 멕시칸 패스트푸드 ‘타코벨’, 한식 ‘반주’, 카츠 카페 ‘히바린’ 등 4개의 외식 브랜드와 컨세션(휴게소)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핏줄인데…
캘리스코는 태생부터 아워홈과 밀접한 관계다. 일단 구지은 캘리스코 대표가 구자학 아워홈 회장 슬하 1남3녀 중 셋째 딸이다. 구 회장 슬하에는 장남 구본성 아워홈 부회장(1957년생)을 비롯해 구미현씨, 구명진씨, 구 대표가 있다.
지분구조서도 두 회사 간 연관성이 엿보인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구 대표는 지분율 46.0%(92만주)로 캘리스코 최대주주에 등재된 상태고, 아워홈 외 4인은 지분 18.5%(37만주) 보유한 상태다. 구 대표는 아워홈 지분 20.7%(471만7400주)를 보유한 2대주주기도 하다. 아워홈 최대주주는 구 부회장(38.5%, 880만주)이다.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지만 두 회사는 결코 원만하지 않다. 구 부회장과 구 대표의 악연 탓이다.
2015년까지 구 대표는 아워홈 경영에 깊숙이 참여한 반면, 구 부회장은 경영 일선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이 같은 구도는 이듬해 구 대표가 캘리스코로 이동하고, 구 부회장이 아워홈 경영에 참여하면서 순식간에 뒤바뀐다. 이후 구 대표는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캘리스코에 집중하고 있다.
대신 사업상 유대관계는 갈수록 희미해지는 양상이다. 캘리스코는 지난 3월 식자재 공급 업체를 아워홈서 신세계푸드로 변경했다고 밝혔다. 공급처 변경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지난해 3월 아워홈은 당해 10월12일부터 상품 공급 중단을 통보했다. 캘리스코는 지난해 9월 “일방적인 부당한 거래 거절 행위”라며 법원에 아워홈의 ‘공급 중단 금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고, 법원이 캘리스코의 손을 들어주면서 지난 4월30일까지 식자재를 공급받기로 결정된 상태였다.
아워홈과의 사업상 연결고리를 끊은 캘리스코는 신사업 확장을 통한 자체 역량 강화에 집중해야 하는 처지다. 성패 여부에 따라 구 대표의 리더십이 재평가 받을 수 있다. 일단 주요 실적 지표가 회복 기미를 나타낸다는 점은 긍정적인 부분이다.
2018년 897억1800만원이던 캘리스코의 매출은 지난해 3.2% 감소한 868억2200만원에 머물렀다. 아워홈과의 거래량 감소가 매출 하락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캘리스코가 아워홈서 식자재를 매입하는 데 들인 비용은 62억8100만원으로 전년(86억4300만원) 대비 20억원 이상 줄었다.
대신 수익성은 반등세를 나타냈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13억4600만원으로 전년(3억3300만원) 대비 4배가량 뛰어올랐다. 23억8500만원을 달성했던 2013년 이래 최대치다.
영업이익 증가와 매출 하락이 발생하면서 2017년과 2018년에 각각 1.3%, 0.4%에 불과했던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1.6%로 소폭 상승했다. 8%를 상회했던 출범 초기와 비교하면 여전히 볼품없지만, 지난해를 기점으로 반전의 계기를 마련했는 점은 가시적인 성과다.
시험대 오른 구지은 리더십
실적 찔끔에…부채는 급증
다만 실적 상승세와 별개로 재정건전성은 매년 악화되는 추세다. 과도한 부채가 자칫 회사를 수렁에 빠뜨릴 가능성마저 엿보인다. 구 대표 체제의 순항을 위해서라도 풀어야할 숙제나 마찬가지다.
지난해 말 기준 캘리스코의 총자산(총자본+총부채)은 493억700만원으로, 전년(346억7900만원) 대비 42.2% 늘었다. 2018년 198억400만원서 지난해 348억5200원으로 급증한 총부채가 총자산의 증가로 이어졌음을 알 수 있다.
총부채의 비약적인 상승은 양호한 수준이던 캘리스코의 부채비율(총부채/총자본)을 순식간에 악화시켰다. 2018년 133.1%였던 캘리스코의 부채비율은 지난해 241.1%로 대폭 뛰어올랐다. 시장에선 부채비율 200% 이하를 적정 수준으로 인식한다.
기업이 보유하는 지급능력이나 신용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로 사용되는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 역시 적정치를 하회한다. 2018년 41.6%로 가뜩이나 적정 수준(200% 이상)을 밑돌던 캘리스코의 유동비율은 지난해 28.5%까지 떨어졌다.
2018년 171억7300만원이던 유동부채가 지난해 261억900만원으로 대폭 증가한 게 유동비율에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부채·유동비율의 악화는 회계기준 변경에 기인한다. 지난해 1월부터 새롭게 적용된 ‘K-IFRS 제1116호’는 운용리스를 금융리스와 동일하게 재무제표에 리스자산과 리스부채로 계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전까지는 금융리스 이용자만 리스 관련 자산·부채를 계상해왔다.
K-IFRS 제1116호 적용에 따라, 지난해부터 리스부채 119억원(유동 49억7600만원+비유동 69억2400만원)이 캘리스코 재무제표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회계기준 변경은 차입금 항목에도 급격한 변동을 가져왔다. 2018년 106억8000만원이던 캘리스코의 총차입금은 지난해 246억4700만원으로 2배 이상 확대된 상황이다. 리스부채 전액이 차임금으로 분류되면서 총차입금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총차입금이 급증한 영향으로 차임금의존도(차입금/총자산)는 무섭게 치솟았다. 2018년에 30.8%로 비교적 양호했던 차임금의존도는 지난해 50%로 집계됐다. 통상 차임금의존도는 30% 이하를 적정 수준으로 인식한다.
총차입금 중에서 1년 내 상환을 필요로 하는 금액은 2018년 89억3000만원서 지난해 말 기준 177억2200만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단기차임금(127억4600만원), 유동성리스부채(49억7600만원)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자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단기차입금은 회사의 순이익 감소로 직결된다. 2018년에 3억4400만원의 이자비용을 지급했던 캘리스코는 차입금 확대로 인해 이자비용이 지난해 5억7700만원으로 상승했다.
흠집 난 살림
차입금을 줄이지 않는 한 향후 비슷한 규모로 이자부담을 짊어져야 한다. 캘리스코는 지난해 영업이익 13억4600만원을 기록했음에도 이자비용이 커진 탓에 순이익은 3억원에 불과했다. 13억200만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던 2016년에는 순이익 11억6700만원을 올린 바 있다. 당시 단기차입금은 지난해의 절반 수준인 64억6000만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