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김태일 기자 = 인천 월미도 테마파크서 놀이기구 추락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실이 전해지면서 월미도 테마파크 놀이기구의 안전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이미 예전부터 월미도 테마파크의 놀이기구 안전 문제는 이용자들 사이서 유명했다. ‘안전장치 부실’과 ‘허술한 관리’라는 고질적인 문제로 꾸준히 사람들의 입방아에 오르내렸다. 월미도 테마파크의 놀이기구를 이용했던 사람들 사이에선 ‘터질 게 터졌다’ ‘너무 늦게 터졌다’는 반응이다. 특단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지난달 26일 인천 월미도 테마파크서 놀이기구 ‘크레이지 크라운’을 타던 두 남녀가 약 3m 아래 바닥으로 추락했다. 이 사고로 이들은 어깨와 다리 등을 다쳐 병원 치료를 받았다. 다행히 생명에는 지장이 없었다.
위험천만
이번에 일어난 탑승자 추락사고는 전형적인 ‘인재(人災)’로 밝혀졌다. 인천시 중구는 월미테마파크 놀이기구 ‘크레이지 크라운’에 대해 점검을 의뢰한 결과 ‘피로가 누적된 부속품(볼트)이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면서 사고를 촉발했다’는 결과를 받았다고 지난달 29일 밝혔다.
놀이기구 점검기관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은 특히 크레이지 크라운의 부속품이 제때 교체되지 않은 점을 지적했다. 해당 부속품인 볼트는 권고 교체주기가 5년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2009년 놀이기구 설치 이후 된 현재까지 단 한 번도 교체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결국 놀이기구에 대한 정기·일일 점검과 정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고가 발생한 셈이다.
연구원에 따르면 놀이기구는 관광진흥법에 따라 매년 1∼2차례의 정기검사와 일일검사를 하도록 돼있다. 검사 항목은 맨눈검사, 부속품 강도 검사, 시험운행 등이다.
특히 볼트 등 부속품은 접합부위를 칠로 표시해 ‘풀림 현상’ 등 이상 유무를 매일 점검해야 안전사고를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사고 놀이기구의 볼트에는 그런 표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원 관계자는 “대형 테마파크들은 놀이기구 볼트 등 부속품에 칠을 해두고 움직임 유무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일일점검을 한다. 또 교체주기에 따라 부속품을 교체한다”며 “하지만 월미도 테마파크는 이런 점검행위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놀이기구 관리·감독 주체인 인천시 중구는 점검결과를 토대로 사고 놀이기구에 대한 운행중지를 명령하고 관련법에 따라 행정조치를 내릴 방침이다.
월미도 테마파크의 놀이기구 사고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15년 2월에는 월미도 유원지 바이킹이 운행 중 안전바가 풀리는 아찔한 사고가 발생했다. 다행히 바닥으로 추락한 이용자는 없었지만, 탑승객 14명 중 6명이 기구에 부딪혀 타박상을 입었고 놀이공원이 잠정 폐쇄되기도 했다.
두달 전에는 ‘회전 컵’ 놀이기구를 타던 어린이들이 머리와 코를 부딪쳐 피를 흘리는 일도 있었다. 당시 다친 어린이의 어머니 A씨는 한 라디오 프로그램서 “사고가 났는데 놀이기구를 멈춰줄 기사가 없었다”며 “1명이 3∼4개의 놀이기구를 조작하느라 자리를 비웠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같은 기구 두 달 전도 결함 정황
“드디어 터질 게 터졌다” 반응
A씨는 “아이들 3명(8세 2명, 6세 1명)이 회전컵에 탔는데 (기구가)막 돌아가다 보니까 아이들 목이랑 몸이랑 같이 흔들려서 머리와 코가 서로 부딪혔다”며 “코피가 너무 심하게 나서 일단 기계를 멈춰달라고 했는데 (운전석에)사람이 없더라. 그래서 옆에 있는 사람한테 기계 좀 멈춰달라 했더니 자기는 담당자가 아니어서 멈출 수 없다고 했다”고 떠올렸다.
그는 “기계 운전석은 공석이었다”며 “옆에 있는 사람한테 물어보고 또 저희가 어디 있나 찾아보고 해서 정확한 시간은 모르겠는데 (기사를 찾는데)상당히 지체됐다”고 말했다. 이어 “(찾고 보니)조작 기사가 다른 놀이기구를 운전하고 있더라. 한 명이 서너 개를 하는 것 같았다”고 언급했다.
A씨는 “컵 하나에 1명만 태워야 하는 것도 나중에 알았다. 키 제한이 있는 것도 단속을 안 하더라. 저희 아이가 기준에 조금 못 미치는 데도 ‘그냥 타세요’이런 식으로 해서 아이들이 좋아하니까 그냥 태웠다. 그런데 그렇게 위험할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대학생 B씨도 월미도서의 아찔한 경험을 털어놨다.
B씨는 2015년 여자친구와 인천 월미도 놀이공원을 찾았다가 기겁을 했다. B씨는 악명 높은 놀이기구인 바이킹의 맨 뒷자리에 탑승했다. 바이킹이 거의 90도 가까이 올라가자 공포감에 안전바를 붙잡았지만 덜렁거렸고 기구가 움직일 때마다 엉덩이가 들썩거렸다.
B씨는 “스릴이 넘치는 것이 아니라 떨어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무서웠다”며 “이거 타다가 한 번쯤 사고가 나겠구나 생각을 했었다”고 말했다.
이번 사고소식을 들은 누리꾼들은 “월미도 바이킹 생각난다. 안 좋은 추억” “옛날에 자극적인 놀이기구 좋아할 때는 일부러 월미도까지 가서 바이킹 타러 몇 번 계속 갔는데 높이 올라갔을 때 안전바가 풀어지곤 했다” “드디어 터질 게 터졌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안전 점검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시민안전감시센터 관계자는 “안전조치를 먼저 마친 뒤 가동해야 하는데 일단 운행하면서 고장 나면 땜질식으로 고쳐 쓰는 것이 관행”이라며 “10년 이상 된 놀이기구는 안전 검사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형적 인재
이어 “안전 요원도 턱없이 부족하다”며 “영세한 업체는 성수기에만 계약직을 쓰는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업체들이 경쟁적으로 놀이기구를 스릴 있게 만들기 위해 무리하게 운행하는 것도 문제”라며 “바이킹 각도를 높인다거나 놀이기구 회전수를 높이는 등을 반복하면 부품 마모가 심해져 사고가 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