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5.20 13:28
[일요시사 정치팀] 정인균 기자 = 애꿎은 정치싸움에 피해를 보는 건 항상 일반 시민들이다. <일요시사>와 만난 한 영등포구민은 “슬리퍼 신고 문화공연을 관람할 수 있다는 기대가 깨졌다. 계속 지연되더니 결국 최종 승인이 안 났나 보다”며 “이러니 정치를 믿는 사람이 없는 것 아니겠느냐”고 하소연했다. 정치인들의 어떤 헛발질이 이번 사태를 불러왔을까? 세종문화회관은 나라 세금으로 고퀄리티 문화 콘텐츠를 제공하는 일종의 ‘문화 향유소’다. 1978년 종로에 지어진 세종문화회관은 3800석 이상의 대극장과 532석의 소극장 등을 갖춘 당시로선 최대 규모의 문화시설이었다. 서울시무용단, 국악관현악단, 오페라단, 합창단 등 예술단체가 골고루 세종문화회관에 속해 있으며, 지금껏 이들이 이곳에서 제공한 문화 콘텐츠만 해도 수백, 수천가지가 넘는다. 문래동에… 그러나 이 ‘문화 향유권’을 서울 일부 지역에서만 누린다는 성토가 이어졌다. 세종문화회관이 서울 중심에 위치해 있긴 하지만, 접근이 어려운 지역, 특히 서울 인구의 30%가 거주하는 서울 서남권 지역 시민들이 이곳을 이용한다는 것은 매우 부담스러운 일이었다. 사안에 관심이 많은 한 영등포구민은 <일
[일요시사 정치팀] 정인균 기자 = 영등포구민들이 12년 동안 꿈꿔왔던 숙원사업인 제2세종문화회관 건립이 서울시와 영등포구의 합작(?)으로 최종 무산됐다. 제2세종문화회관 건립사업이 여의도 이전 논란을 일으키며 사실상 철회 수순을 밟고 있는 것이다. 영등포구 문래동 지역주민들은 “서울시가 우리를 버렸다”며 강력 성토하고 있다. 골탕? 앞서 서울시는 시민들의 문화 향유권을 인정하며 제2의 세종문화회관 건립을 최종 승인한 바 있다. 서울시의회는 치열한 논의 끝에 지난 2021년 서남권 ‘제2세종문화회관 국제현상설계 공모비’ 명목으로 7억5000만원, 2022년에는 ‘국제현상설계 공모 당선작에 대한 설계비 선지급금’ 명목으로 5억원의 예산을 편성한 바 있다. 그러나 서울시와 영등포구청 간의 무상 토지사용 협의가 지연되면서, 국제현상설계 공모 예산 7억5000만원은 2022년으로 명시 이월됐다. 이 과정에서 서울시는 국제 현상설계 공모 진행을 위해 영등포구청에 세 차례나 토지 무상사용 협약서를 보내고, 실무자 협의를 시도했지만, 영등포구청은 이에 응하지 않았다. 이에 호응이라도 하듯, 서울시도 공모 예산 이월을 위한 행정처리를 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반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