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4.03 15:10
[일요시사 취재2팀] 김성화 기자 = 2025년 을사년 (乙巳年) 새해 첫날인 1월1일, 오늘의 날씨는 대체로 맑은 날씨 속 해돋이를 볼 수 있겠다. 전국 곳곳에 낮은 구름이 끼겠으나 오전 7시30분 전후 해맞이 하는데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우리나라는 중국 산둥반도 부근서 동쪽으로 이동하는 고기압의 가장자리에 들겠다. 강원 동해안과 경상권은 대체로 맑겠으며, 늦은 새벽부터 아침 사이 강원 중·북부 산지에는 1cm 미만의 눈이 내리는 곳이 있겠다. 그밖의 내륙과 산지에는 0.1cm 미만의 눈이 날리는 곳이 있겠다. 아침 최저기온은 –8~1도, 낮 최고기온은 6~10도로 예보됐다. 미세먼지 농도는 원활한 대기 확산의 영향으로 전 권역이 ‘좋음’~‘보통’ 수준을 보이겠다. 바다 물결은 동해 앞바다서 0.5~2.5m, 서해 앞바다서 0.5~1.5m, 남해 앞바다서 0.5~1.0m로 일겠다. 안쪽 먼바다(해안선서 약 200km 내의 먼바다)파고는 동해 1.0~3.5m, 서해·남해 0.5~2.0m로 예측된다.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주요 지점 해맞이 시각은 ▲서울 오전 7시47분 ▲강릉 7시40분 ▲대전·청주·전주 7시42분 ▲광주 7시4
[일요시사 취재1팀] 김민주 기자 = 2024년 무진년이 도래했다. 새해가 되면 제도가 바뀌거나 새롭게 시행되는 것들이 많다. <일요시사>에선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2024년 새해 정책들에 대해 살펴봤다. 2024년 새해 정부 예산의 75%는 상반기에 배정됐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12월26일 국무회의서 이 같은 내용의 ‘2024년도 예산배정계획’이 의결됐다고 밝혔다. 기금을 제외한 내년 세출예산(일반·특별회계 예산) 550조원 가운데 412조5000억원이 상반기에 배정됐다. 배정률은 지난해와 같은 75%다. 예산배정은 부처별로 예산 사용 권리를 부여하는 것으로, 자금 배정 절차 등을 거쳐 집행이 이뤄진다. 기획재정부는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예산의 조기 집행을 뒷받침하기 위한 것이다. 저소득층과 취약계층, 소상공인 등 사회적 약자 지원과 양질의 민간 일자리 창출에 중점을 뒀다”고 발표했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정부와 달리 민간의 활력을 바탕으로 시장경제 원칙과 건전재정 기조를 유지한 결과, 오히려 높은 고용률과 낮은 실업률을 기록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경기침체에 대응해 재정 지출을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도 컸지만, 건전재정
2023년 검은 토끼의 해 ‘계묘년’이 밝았다. 그러나 3고(고물가·고금리·고환율)의 악재가 지속될 것으로 보여 새해는 밝지 않아 보인다. 하지만 해는 지면 또다시 떠오른다. 올해는 작년보다 행복할 것으로 기대하며 풍성한 명절을 맞이해보길. 사진은 지난 3일 오후 서울 마포구 월드컵공원 내 토끼 조형물 사이로 해가 비치는 모습. 일요시사=박성원 기자(psw@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