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5.21 01:01
<외계+인> 1부의 흥행 참패, 2부를 편집하면서 어떤 마음이었나요? - 시나리오를 새로 쓴 건 아닌데 본질은 변하지 않지만 여러 가지 디테일들을 많이 바꾸려고 노력했어요. 이하늬씨의 첫 번째 등장은 이것과는 좀 다른 장면이었는데 그 장면보다 조금 더 빠르고 좀 임팩트 있고 ‘민개인’이라는 캐릭터가 어떤 건지 본능적으로 알 수 있게 신을 새로 써서 너무너무 바쁜 그에게 하루만 시간을 내달라고 해서 재촬영했어요. 1부 재편집하면 너무 좋은데 한 번 해보고 싶기도 하고 꿈에서 계속 아른거려서? ‘내가 뭘 잘못했던가’ 해서 제작자와 얘기를 많이 하는데 우리가 지금 그런 거에 신경 쓸 때가 아니다? 2부나 열심히 하자고 했고 2부 작업 끝난 지 한 달이 채 안 돼요. 아마 이게 끝나고 나면 뭔가 새로운 자극이 들어오고 그렇다면 어떤 방식이든지 다시 재편집해보는 것도, 저한테도 너무너무 즐거운 작업이 될 것 같고 혹시나 다른 버전을 보고 싶어 하시는 분들이 있다면 저는 언제나 열려 있습니다. 속편이 나온다면 출연 의향이 있나요? - 류준열 당연하다고 말씀드리고 싶고 사실 이 영화를 처음 시작할 때 1·2부로 나눌 때도 “감독님 이거는 1·2부로 끝낼 게 아
[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배우 김태리는 등장부터 드라마틱하다. 국내에서 거장으로 꼽히는 박찬욱 감독의 복귀작 <아가씨>에 무려 1500:1이라는 놀라운 경쟁률을 뚫고, 노출 연기도 감행했다. 신인답지 않은 연기력을 보인 김태리를 향해 쏟아진 스포트라이트는 매우 강렬했다. 혜성처럼 등장했다가 빛을 잃은 배우들이 부지기수인 데 반해, 김태리가 써낸 서사는 데뷔 이후가 더 매력적이다. 출연하는 작품마다 흥행했으며, 그 안에서의 보여준 연기는 매번 호평을 받기 충분했다. 신작 <승리호>에서도 김태리는 또 한 번 성공 공식을 써내는 듯하다. 배우 김태리의 필모그래피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주체성이다. 서열이 낮은 하녀(<아가씨>)일 때도, 주위 친구들과 달리 민주주의를 억지로 외면하던 대학생일 때도(<1987>), 그는 당돌했다. 재미와 주체성 단단한 신념 집 떠난 엄마를 기다리는 사회 초년병(<리틀 포레스트>)일 때도 매사 자발적이었으며, 나라를 지키는 독립운동가(tvN <미스터 션샤인>)의 얼굴에서는 당당함을 넘어 비장함이 깃들어 있었다. 어디에 있든 어떤 상황에 놓여 있든 김태리가 연기한